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용역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0,2,1

제출문=i,3,1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ii,4,1

Project Summary=iii,5,1

목차=iv,6,2

표차례=vi,8,1

그림차례=vii,9,3

제1장 서론=1,12,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1,12,2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내용=3,14,2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5,16,1

제1절 고량 색소=5,16,3

제2절 사프란 색소=8,19,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0,21,1

제1절 고량색소의 정량방법=10,21,1

1. 방법과 재료=10,21,1

(1) 실험재료와 시약 및 기구=10,21,1

(2) 시료의 전처리=10,21,3

(3) 간이 검출법=12,23,2

(4) 시판 고량색소 및 수수 추출물 비교=13,24,2

(5) 고량색소의 분리 정제=14,25,2

(6) 고량색소의 HPLC 분석법=15,26,1

(7) 회수율 시험=16,27,2

2. 결과와 고찰=17,28,1

(1) 전처리 조건=17,28,3

(2) 고량색소의 간이 검출법=19,30,2

(3) 시판 고량색소 및 수수 추출물 비교=20,31,5

(4) 고량색소의 주 색소 분리ㆍ 정제=24,35,6

(5) 고량색소의 aplgenin 함유 비율=29,40,1

(6) 고량색소의 HPLC 분석조건=29,40,4

(7) 식품 중의 고량 색소 분포=32,43,4

제2절 사프란 색소의 분석방법=36,47,1

1. 방법과 재료=36,47,1

(1) 실험재료와 시약 및 기구=36,47,1

(2) 시료의 전처리=36,47,2

(3) 간이 검출법=38,49,1

(4) 샤프란 색소의 HPLC 분석법=38,49,2

(5) 회수율 시험=39,50,1

(6) safranal 함량에 대한 온도의 영향=39,50,1

2. 결과와 고찰=39,50,1

(1) 전처리 조건=39,50,3

(2) 간이 검출법=41,52,3

(3) HPLC 분석조건=43,54,7

(4) 식품 중의 사프란색소 분포=49,60,4

(5) Safranal 에 대한 온도의 영향=53,64,1

제3절 종합 결론=54,65,1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55,66,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56,67,1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56,67,1

제7장 참고문헌=57,68,7

총괄 연구과제 요약문=64,75,2

표목차

[표 1] 고량색소 정제용 semi-prep HPLC의 분석조건 (Semi-prep HPLC conditions for the purification of kaoliang colorant)=14,25,2

[표 2] 고량 색소의 HPLC의 분석조건 1 (HPLC condition 1 for kaoliang colorant)=16,27,1

[표 3] 고량 색소의 HPLC의 분석조건 2 (HPLC condition 2 for kaoliang colorant)=16,27,1

[표 4] 고량 색소의 HPLC의 분석조건 3 (HPLC condition 3 for kaoliang colorant)=17,28,1

[표 5] 시판 고량색소의 색가 (Color value of commercial kaoliang colorants in Korea)=21,32,1

[표 6] 시판 고량색소 및 수수 추출물의 색비교 (Lab values of commercial kaoliang colorants and pigments extracts from sorghums)=21,32,1

[표 7] 고량색소 잊 수수 추출물의 총페놀 및 탄닌 함량 (Total phenol and tannin content of kaoliang colorants and sorghum extracts)=22,33,1

[표 8] 시판 고량색소 용액 및 분획의 최대흡수파장 (Absorption scanning of fractions from kaolin g colorants)=25,36,1

[표 9] 고량색소의 적갈색 색소와 apigenin의 HPLC 크로마토그램 면적 (HPLC peak area ratio between major pigments and apigenin from kaoliang colorants)=30,41,1

[표 10] 고량 색소 HPLC 조건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of selected HPLC conditions for kaoliang colorant analysis)=31,42,1

[표 11] HPLC 시스템 별 분석 결과 비교 (Comparison of analysis data of kaoliang pigments by three HPLC systems, respectively)=33,44,1

[표 12] HPLC법에 의한 고량 색소의 회수율 (Recovery rate of kaoliang pigments deformined by HPLC)=34,45,1

[표 13] 식품중의 고량 색소 항량 (Determination of kaoliang pigments in foods)=35,46,1

[표 14] 사프란 색소의 HPLC의 분석조건 (HPLC conditions for saffron pigments)=38,49,1

[표 15] 사프란 색소 검정용 HPLC 조건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of HPLC conditions for saffron colorant)=47,58,1

[표 16] 시료별 회수율 (Recovery rate of saffron colorants in food)=48,59,1

[표 17] HPLC 시스템 별 비교 (comparison of saffron pigments and sample by various HPLC system=50,61,1

[표 18] 사프란 색소의 회수율 (Recovery rate of saffron pigments in food)=51,62,1

[표 19] 식품중의 사프란 색소 함량 (Determiuation of saffron pigments in foods)=52,63,1

그림목차

그림 1. 고량 색소 분석용 시료의 전처리 과정 (Extraction procedures for the analysis of kaoliang colorants in foods)=12,23,1

그림 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고량색소의 정제 (Fractionation procedure of kaoliang colorant through chromatographic columns)=14,25,1

그림 3. 중국산 통수수 색소의 추출수율 비교 (Absorbances of colorant extracted from a chinese whole sorghum grain by selected solvent, respectively)=18,29,1

그림 4. 햄 시료의 용매별 고량색소 추출수율 비교 (Absorbances of colorant extracted from ham by selected solvent, respectively)=18,29,1

그림 5. 햄 시료의 고량 색소 추출 시 적용한 진탕 도는 교반 조작이 색소 추출물에 미치는 영향 (Absorbances of kaoliang colorant extracted from ham with shaking or stirring Iron ham)=18,29,1

그림 6. 고량색소의 SeP-Pak R(이미지참조) C 18(이미지참조) cartridge 처리용 농도별 메탄올의 색소회수율 (Recoveries of kaoliang colorant eiuted by methanol solutions through SeP-Pak R(이미지참조) C 18(이미지참조)cartridge=19,30,1

그림 7. Prussian blue 발색을 응용한 시판 첨가물급 고량색소의 간이검출 (Spot tests for the simpie detection of food additive grade kaoliang colorants by the method modified from prussian blue color reagent)=20,31,1

그림 8. Vanillin-HCI 발색을 응용한 시판 첨가물급 고량색소의 간이검출 ,(Spot tests for the simule detection of food additive grade kaoliang colorants by the method modified from vaniliin-HCI color reagent)=20,31,1

그림 9. 시판 고량색소의 HPLC 크로마토그램 (HPLC chromatograms of kaoliang colorants ir commercial)=23,34,1

그림 10. 수수 아세톤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 (HPLC chromatograms of acetone extracts from sorghum grains)=23,34,1

그림 11. 고량색소 중의 apigenin Peak 확인 (HPLC peak of apigenin in kaoliang colorants)=24,35,1

그림 12. RP-18 컬렁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은 고량색소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 (Thin layer chromatograms of kaoliang colorants fractionated through RP-18 open column chromatography)=25,36,1

그림 13. 고량색소 분획의 흡수파장 (Absorption scanning of fractions from kaoliang colorant)=26,37,1

그림 14. 고량색소 분액의 HPLC 크로마토그램1 (HPLC chromatograms of fractions from kaoliang colorant 1)=27,38,1

그림 15. HPLC 크로마토그램 2 (HPLC chromatograms of fractions from kaoliang colorant 2)=27,38,1

그림 16. Apigenin의 HPLC 크로마토그램(HPLC chromatogram of apigenin)=28,39,1

그림 17. 표품 apigenin과 정제물의 질량분석 스펙트럼 (MS spectra of apigenin authentic standard and purified material from fraction)=28,39,1

그림 18. Apigenin 표준물질과 정제물의 ¹H-NMR 스펙트럼 (¹H-NMR spectrum of apigenin authentic standard and purified material from fraction)=29,40,1

그림 19. HPLC 이동상 조건에 따른 크로마토그램 (HPLC chromatograms towardmobile phase condition)=31,42,1

그림 20. 고량색소와 apigenin의 검량곡선 (Calibration curves of kaoliang pigment and apigenin=31,42,1

그림 21. 고량색소의 검출한계 (Detection limit of kaoliang pigments)=32,43,1

그림 22. 사프란 색소 분석용 시료의 전처리 과정 (Extraction procedures for the analysis of saffron pig ments in foods)=37,48,1

그림 23. 사프란의 추출수율 (Absorbance of saffron extract by selected solvents)=40,51,1

그림 24. 식품 시료(바나나 스낵)에 대한 추출수율 (Absorbance of a snack food extract by selected solvents)=40,51,1

그림 25. 사프란색소 추출 시 적용한 진탕 또는 교반 조작이 색소 추출율에 미치는 영향 (Absorbances of saffron coiorant extracted with shaking or stirring)=41,52,1

그림 26. 사프란 색소 Sep-Pak R(이미지참조) C 18(이미지참조) cartridge 처리 용 농도별 메탄올의 색소 회수율 (Recoveries of saffron coloTant eiuted by methanol solutions through SeP-Pak R(이미지참조) C 18(이미지참조) cartridge)=41,52,1

그림 27. 사프란 표준용액의 간이 검출 (Spot test for the detection of saffron cole rants)=42,53,1

그림 28. 사프란 색소와 유사 황색소의 비교 (Spot test for the detection of other yeliow pigments)=42,53,1

그림 29. 사프란 색소 와 시료의 간이 검출 (Spot test for the detection of saffron coiorants and samples)=43,54,1

그림 30. 사프란색소의 HPLC 용매 (HPLC chromatograms of saffron colorant mobiled by selected solvents)=43,54,1

그림 31. 사프란색소와 치자색소 표준용액의 최대흉수파장 (The λ(mar) of saffron pig ments and gardenia yellow)=44,55,1

그림 32. Crocin 과 Safranal 표준용액의 최대흉수파장 (The λ(mar) of crocin and safranal stan dard)=44,55,1

그림 33. Crocin, safranal 및 geniposide 표준품의 HPLC 크로마토그램 (HPLC chromatograms of crocin, safranal and geniposlde standards)=45,56,1

그림 34. 사프란 추출물의 HPLC (HPLC chromatograms of saffron extracts)=45,56,1

그림 35. 사프란색소와 치자황색소의 HPLC (HPLC of saffron colorant and gardenia yellow)=45,56,1

그림 36. Crocin과 geniposided의 검량곡선 (Calibration curve of crocin and geniposide)=46,57,1

그림 37. 황색 색소 첨가물과 사프란 색소의 비교 크로마토그램 (HPLC chromatogram of yellow colorants)=46,57,1

그림 38. 사프란색소의 검출한계 (Oetection limit of saffron colorants)=49,60,1

그림 39. 시간과 온도에 따른 crocin 및 safaranal의 농도 변화량 (Changes ofcrocin and safranal contents for time and tempeprature)=53,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