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2

목차=0,4,2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노석신=1,6,3

Project Summary/Roh Seok Seon=4,9,3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7,12,1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7,12,1

1-1. 최종 연구개발목표=7,12,1

1-2. 연구개발 추진체계=8,13,1

1-2-1. 기능적 추진체계=8,13,1

1-2-2. 연차별 연구개발 추진계획=9,14,1

1-2-3. 연구과제의 배경=10,15,1

1-2-4. 연구과제의 목적 및 범위=11,16,2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13,18,1

2-1. 이론적 연구 방법=13,18,5

2-2. 실험적 연구 방법=18,23,1

2-2-1. 추출용매 선택=18,23,1

2-2-2. 추출물의 분획(Fracination)=18,23,2

2-2-3. 세포독성=19,24,1

2-2-4. Allergenicity 평가(LLNA;Local Lymph Node Assay)=19,24,2

2-2-5. Compound 48/80의 자극에 의한 국소 알레르기 반응(Evansblue skin extravasation)=20,25,2

2-2-6. Anti-DNP IgE의 자극에 의한 국소 알레르기 반응=21,26,1

2-2-7. Compound 48/80의 자극에 의한 rat peritonal mast cell(RPMC)로부터 히스타민 정량=21,26,2

2-2-8. Anti-DNP IgE의 자극에 의한 rat peritonal mast cell(RPMC)로부터 히스타민 정량=22,27,1

2-2-9. HMC-1에서 cytokines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22,27,3

2-2-10. 우방자 시료 추출물의 Prick test=24,29,1

2-3. 연구 내용 및 결과=25,30,1

2-3-1. 세포독성=25,30,1

2-3-2. Allergenicity 평가(LLNA : Local Lymph Node Assay)=26,31,3

2-3-3. 메밀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평가=29,34,7

2-3-4. 우방자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평가=36,41,7

2-3-5. 수종의 한약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평가=43,48,21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64,69,1

3-1. 세포특성 결과 및 고찰=64,69,1

3-2. Allergenicity 평가(LLNA:Local Lymph Node Assay)결과 및 고찰=64,69,1

3-3. 메밀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평가 결과 미치 고찰=64,69,2

3-4. 우방자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평가 결과 및 고찰=65,70,3

3-5. 수종의 한약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평가 결과 및 고찰=67,72,3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70,75,3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73,78,1

6. 첨부서류=74,7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