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2

목차=iii,5,1

그림목차=iv,6,2

표목차=v,7,1

제1장 서론=1,8,1

제1절 연구의 목적=1,8,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2,9,1

제2장 요업용 shuttle의 기술 특설=3,10,7

제1절 요업용 batch 소성킬른의 종류 및 특성=10,17,5

제2절 기존 shuttle kiln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15,22,5

제3장 요업용 shuttle kiln의 설치 및 시운전=20,27,1

제1절 요업용 shuttle kiln의 설계 및 제작=20,27,7

제2절 고속가스버너의 경량,국산화=27,34,10

제3절 성능시험 결과 및 분석=37,44,15

제4장 결론=52,59,1

참고문헌=52,59,1

부록=53,60,14

그림목차

[그림 2-1] 전형적인 소성곡성=3,10,1

[그림 2-2] carbell kiln=11,18,1

[그림 2-3] shuttle kiln=11,18,1

[그림 2-4] large scale shuttle kiln=12,19,1

[그림 2-5] vertcal type shuttle kiln=12,19,1

[그림 2-6] 상향식 배기방법=13,20,1

[그림 2-7] 하향식 배기시스템=14,21,1

[그림 2-8] 기존 venturi burner,설치장소 및 배가스 배출경로=17,24,1

[그림 3-1] shuttle kiln 조립도=21,28,1

[그림 3-2] shuttle kiln 외양=21,28,1

[그림 3-3] 상,하 연돌의 구조=22,29,1

[그림 3-4-1] 버너 상,하 위치도=24,31,1

[그림 3-4-2] 평면배치 및 환원가스공급구=24,31,1

[그림 3-5] 실험로의 T/C 위치도=25,32,1

[그림 3-6] 기존 대차와 경량화 대차와의 비교=26,33,1

[그림 3-7] sand sealing=26,33,1

[그림 3-8] shuttle kiln용 경량 고속가스버너=28,35,1

[그림 3-9] 고속버너 실험장치 구성도=29,36,1

[그림 3-10] 외산버너의 조립도=30,37,1

[그림 3-11] 온도장 측정 결과 그래프=31,38,1

[그림 3-12] NO_(x) 배출결과 그래프=31,38,1

[그림 3-13] 개발버너의 화염사진=33,40,1

[그림 3-14] 화염사진(외산버너)=34,41,1

[그림 3-15] orifice(공기용)=35,42,1

[그림 3-16] orifice(가스용)=35,42,1

[그림 3-17] 공기배관 오리피스 유량곡선=36,43,1

[그림 3-18-1] 상부버너 가동시 온도분포도=38,45,1

[그림 3-18-2] 하부버너 가동시 온도분포도=38,45,1

[그림 3-19-1] 임의의 실험곡선(1)=39,46,1

[그림 3-19-2] 임의의 실험곡선(2)=39,46,1

[그림 3-20] 소성실험 온도그래프=40,47,1

[그림 3-21] 대차에 적재한 1차 소성품=41,48,1

[그림 3-22] 2차실험시 대차에 적재한 소성전의 모습=43,50,1

[그림 3-23] 2차실험시 대차에 적재한 소성후의 모습=44,51,1

표목차

[표 2-1] 국내 기술 수준 비교=15,22,1

[표 2-2] 재래식 shuttle kiln과의 기술적인 제원비교=16,23,1

[표 3-1] 1차 소성실험 내용=40,47,1

[표 3-2] 1차소성실험중 주요 온도대별 로내 온도분포=42,49,1

[표 3-3] 2차 소성 내용=43,50,1

[표 3-4] 2차 소성실험중 주요온도대별 온도분포=45,52,1

[표 4-1] 개발된 shuttle kiln과 기존 shuttle kiln과의 비교=50,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