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2,2,1

요약문=3,3,6

SUMMARY=9,9,6

CONTENTS=15,15,2

목차=17,17,4

제1장 서론=21,21,2

제2장 재료 및 방법=23,23,1

1. 저장 송이 버섯의 품질 균일화 방법=23,23,1

가. 재료 및 저장 방법=23,23,1

나. 일반 성분=23,23,1

다. 전자코에 의한 향기 분석=23,23,2

라. GC/MSD에 의한 향기 분석=24,24,1

마. 관능검사=24,24,1

바. 처리 방법에 따른 저장송이의 색도 변화=24,24,2

2. 송이 버섯 김치의 표준 제조 방법 확립=25,25,1

가. 재료 및 방법=25,25,1

나. pH 및 적정 산도=26,26,1

다. 염도=26,26,1

라. 미생물 균수=26,26,1

① 총균수=26,26,1

② 젖산균수=26,26,1

③ Leuconostoc=26,26,2

④ Enterococcus 및 Pediococcus=27,27,1

⑤ Lactobacillus=27,27,1

마. 유리당 및 유기산=27,27,1

바. 관능검사=27,27,2

3. 송이버섯 장아찌의 표준 제조 방법 확립=28,28,1

가. 재료 및 방법=28,28,1

나. 피클형 조미액을 위한 향신료 선발=28,28,1

다. 피클형 송이버섯 장아찌 조미액의 염도 및 당도 조절=28,28,2

라. 최적 송이 버섯 장아찌의 배합비 조절=29,29,1

마. 관능검사=29,29,1

4. 송이 가공 제품의 포장 및 유통방안 확립=29,29,1

가. 최적 배합비로 제조된 송이 김치의 발효중 품질 특성 조사=29,29,1

(1) 제조방법=29,29,2

(2) 포장 방법에 따른 송이 버섯 김치 제조=30,30,1

(3) pH,총산도,염도,미생물수,유리당,유기산 및 관능검사=30,30,1

나. 최적 배합비로 제조된 송이 버섯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 특성 조사=30,30,1

(1) 제조방법=30,30,1

(2) 대장균수=30,30,1

(3) 조미액의 탁도=30,30,2

(4) 텍스쳐 측정=31,31,1

5. 송이 가공 제품의 품질 지표 확립=31,31,1

6. 송이 가공 제품의 경제성 분석=31,31,1

7. 송이 가공 제품의 신선도 유지 개발=31,31,1

가. 송이 버섯 김치=31,31,1

나. 송이 버섯 장아찌=32,32,1

8. 송이가공제품의 시제품 생산=32,32,1

제3장 결과 및 고찰=33,33,1

1. 저장 송이 버섯의 품질 균일화 방법=33,33,1

가. 등급별 생송이 버섯과 냉동송이 버섯의 일반 성분=33,33,2

나. 전자코에 의한 향기 분석=34,34,3

다. GC/MSD에 의한 향기 분석=36,36,3

라. 관능검사=39,39,1

마. 처리 방법에 따른 저장송이의 색도 변화=40,40,10

2. 송이 버섯 김치의 표준 제조 방법 확립=50,50,1

가. 송이 버섯 김치 배합비에 따른 품질 특성 조사=50,50,7

나. 최적 송이 버섯 김치 배합비 선발=57,57,1

3. 송이버섯 장아찌의 표준 제조 방법 확립=58,58,1

가. 배합비에 따른 송이 버섯 장아찌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조사=58,58,1

나. 피클형 조미액을 위한 향신료 선발=58,58,2

다. 피클형 송이버섯 장아찌 조미액의 염도 및 당도 조절=59,59,2

라. 최적 송이 버섯 장아찌의 배합비 조절=60,60,2

마. 최적 송이 버섯 장아찌 배합비 선발=62,62,1

4. 송이 가공 제품의 포장 및 유통방안 확립=63,63,1

가. 최적 배합비로 제조된 송이 김치의 발효중 품질 특성 조사=63,63,2

나. 최적 배합비로 제조된 송이 버섯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 특성 조사=65,65,1

(1) 저장중 송이 버섯 장아찌 조미액 안정성 조사=65,65,2

다. 포장재에 따른 송이 가공 제품의 품질 특성 조사=66,66,1

(1) 송이 버섯 김치=66,66,6

(2) 송이 버섯 장아찌=72,72,7

5. 송이 가공 제품의 신선도 유지 개발=79,79,1

가. 초기 pH 조절에 다른 송이 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79,79,6

나. 송이 버섯 장아찌의 신선도 유지=85,85,7

6. 송이 버섯 가공 제품의 경제성 분석=91,91,4

7. 송이 버섯 김치 및 송이 장아찌의 품질 지표 제시=95,95,1

8. 송이 버섯 김치 및 장아찌의 공정도=95,95,3

9. 송이 버섯 가공 시제품의 생산=98,98,1

참고문헌=99,99,5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8

SUMMARY=9,9,6

CONTENTS=15,15,6

Chapter 1. Introduction=21,21,2

Chapter 2. Materials and Methods=23,23,1

1. Method setup for quality maintenace of storage pine mushroom=23,23,1

a. Material and storage method=23,23,1

b. Proximate composition=23,23,1

c. Flavor analysis by Aromascan=23,23,2

d. Flavor analysis by GC/MSD=24,24,1

e. Sensory evaluation=24,24,1

f. Color value of pine mushroom according to various treatment=24,24,2

2. Setup of standard preparation method for pine mushroom Kimchi=25,25,1

a. Material and method=25,25,1

b. pH and titratable acidity=26,26,1

c. Salt content=26,26,1

d. Number of microbes=26,26,1

① Total viable cell count=26,26,1

② Lactic acid bacteria=26,26,1

③ Leuconostoc=26,26,2

④ Enterococcus 및 Pediococcus=27,27,1

⑤ Lactobacillus=27,27,1

e. Free sugar and organic acid=27,27,1

f. Sensory evaluation=27,27,2

3. Setup of standard preparation method for pine mushroom pickle=28,28,1

a. Material and method=28,28,1

b. Selection of spice for pine mushroom pickle=28,28,1

c. Control of salt and sugar content for pickle seasoning liquid=28,28,1

d. Optimum recipe for pine mushroom pickle=29,29,1

e. Sensory evaluation=29,29,1

4. Setup of package and circulation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29,29,1

a.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ion of pine mushroom Kimchi by optimum recipe=29,29,1

① Preparation method=29,29,2

② Preparation of pine mushroom Kimchi according to various package=30,30,1

③ pH,titratable acidity,microbial,organic acid,sugar and sensory evaluation=30,30,1

b.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ion of pine mushroom pickle by optimum recipe=30,30,1

① Prepartion method=30,30,1

② Number of E. Coli=30,30,1

③ Transmittance of seasoning liquid=30,30,2

④ Texutre analysis=31,31,1

5. Setup of quality indicator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31,31,1

6. Economical analysis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31,31,1

7. Development of quality maintenance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31,31,1

① Pine mushroom Kimchi=31,31,1

② Pine mushroom pickle=32,32,1

8. Production of processed foods by pine mushroom=32,32,1

Chapter 3. Results and discussions=33,33,1

1. Method setup for quality maintenance of storage pine mushroom=33,33,17

2. Setup of standard preparation method for pine mushroom Kimchi=50,50,8

3. Setup of standard preparation method for Pine mushroom pickle=58,58,5

4. Setup of package and circulation method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63,63,16

5. Development of quality maintenance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79,79,13

6. Setup of quality indicator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91,91,4

7. Economical analysis for processed food by pine mushroom=95,95,1

8. Production of processed foods by pine mushroom=95,95,4

Reference=99,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