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보고서 초록/홍영남=i,3,1
요약문=ii,4,2
SUMMARY=iv,6,1
Contents=v,7,1
목차=vi,8,3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11,3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4,14,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5,15,1
제1장 재료 및 방법=5,15,1
가. 재료 및 시약=5,15,1
(1) 식물 재료=5,15,1
(2) 시약=5,15,2
(3) 대장균 균주 및 배양=6,16,1
나. 핵산의 분리=6,16,1
(1) 플라스미드 DNA의 분리=6,16,1
(2) 고추의 게놈 DNA의 분리=6,16,2
(3) 고추의 전체 RNA의 분리=7,17,1
(4) mRNA의 분리=7,17,3
다. 혼성화 반응=9,19,1
(1) 탐침 DNA의 제조=9,19,1
(2) Southern 혼성화 반응=9,19,2
(3) Northern 혼성화 반응=10,20,1
라. cDNA 라이브러리 제작 및 부분 단편 획득=10,20,1
(1) cDNA 라이브러리 제작=10,20,2
(2) 차별혼성화 반응=11,21,2
(3) In vivo excision을 통한 pahgemid로의 전환=12,22,1
마. CaHKI Full-length 확보=12,22,1
(1) cDNA 라이브러리 검색=12,22,1
(2) RACE=12,22,2
바. CaHKI의 프로모터 획득=13,23,1
(1) 고추 게놈 라이브러리 제작=13,23,1
(2) 게놈 라이브러리 검색=13,23,2
(3) DNA walking=14,24,1
사. Yeast two-hybrid assay=14,24,1
(1) bait 벡터제작=14,24,1
(2) Matchmaker 라이브러리 제작=14,24,2
(3) 라이브러리 검색=15,25,1
아. In vitro Coimmunoprecipitation=15,25,1
(1) In vitro transcripition and translation=15,25,1
(2) Coimmunoprecipitation=15,25,2
자. 형질전환체 제작=16,26,1
(1) PCR을 통한 CaHKI의 증폭=16,26,1
(2) 발현벡터 제작=16,26,1
(3) Agrobacterium 형질전환=16,26,2
(4) 형질전환 균주의 준비=17,27,1
(5) 애기장대 형질전환=17,27,1
(6) 형질전환 식물의 확인=17,27,2
차. ATHKI knock-out 돌연변이체 획득=18,28,1
(1) 돌연변이체 순종라인 선별=18,28,1
(2) Northern blot=18,28,1
카. CaHKI 자가인산화=18,28,1
(1) PCR에 의한 CaHKI 증폭=18,28,1
(2)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과 정제=18,28,2
(3) 자가인산화 반응=19,29,1
타. CaHKI의 생체내 기능검정=19,29,1
(1) 식물체 스트레스 처리=19,29,1
(2) 발아율 측정=19,29,1
제2절 결과=20,30,1
가. cDNA 라이브러리 제작 및 차별혼성화 반응=20,30,1
(1) cDNA 라이브러리 제작=20,30,1
(2) 차별 혼성화 반응=20,30,1
나. RACE=21,31,1
다. CaHKI 염기서열 분석=21,31,9
라. 고추 게놈 라이브러리 제작=29,39,1
마. DNA walking=29,39,8
바. CaHKI의 고추게놈내 존재 양상 분석=36,46,1
사. CaHKI의 환경 스트레스에 따른 발현양상분석=36,46,1
아. Yease Two-hybrid assay=36,46,6
자. CHP의 클로닝=41,51,1
차. In vitro coimmunoprecipitation=41,51,4
카. CaHKI 자가인산화=44,54,1
(1) 발현벡터 제작을 통한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44,54,3
(2) CaHKI 자가인산화=46,56,1
타.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작=46,56,1
(1) CaHKI 발현벡터 제조=46,56,1
(2) CaHKI 과발현 형질전환체 확인=46,56,6
파. ATHKI knock-out 돌연변이체 확인=51,61,1
하. CaHKI 생체내 기능검정=51,61,1
(1) 수분 스트레스 반응=51,61,5
(2) 염 스트레스 반응=55,65,1
(3) 고온 스트레스 반응=55,65,4
(4) 저온 스트레스 반응=59,69,1
(5) ABA에 대한 반응=59,69,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61,71,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62,72,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내용없음=63,73,1
제7장 참고문헌=64,74,7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6
Contents=0,7,4
Chapter 1. Introduction=1,11,3
Chapter 2. State of The Art=4,14,1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 of the research=5,15,56
Chapter 4. Objectives of R&D and possible contribution=61,71,1
Chapter 5. Application=62,72,1
Chapter 6. Collecting information during research=63,73,1
Chapter 7. Reference=64,74,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