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보고서 초록/이춘길=2,3,1

요약문=3,4,2

SUMMARY=5,6,2

CONTENTS=7,8,1

목차=8,9,1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9,10,1

1절 연구의 필요성=9,10,2

2절 연구의 목표와 범위=10,11,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1,12,1

1절 국내외 연구동향=11,12,3

2절 향후 기술개발 전망 및 기대성과=14,15,1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5,16,1

1절 안구운동신호의 시각게 통합 연구=15,16,1

1. 시각피질 시각반응과 도약안구운동 신호의 상호작용=15,16,23

2. 운동지각에 미치는 도약안구운동의 영향=38,39,8

3. 운동지각을 위한 안구운동신호의 통합에서의 주의의 역할=46,47,13

2절 인공안구의 개발=59,60,40

3절 인공안구의 신경제어=99,100,18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17,118,1

1절 연구 목표 달성도=117,118,2

2절 관련분야 기술 발전 기여도=118,119,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120,121,1

1절 향후 연구 계획=120,121,2

2절 기대 성과 및 활용 계획=121,122,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122,123,1

1절 국외 기술현황=122,123,1

제7장 참고문헌=123,124,5

[첨부1] 연구결과 활용계획서=0,129,6

[첨부2] 기술 요약서=0,135,6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7

CONTENTS=7,8,2

Ch. 1. Project Outline=9,10,1

Par. 1. Necessities of Proposed Study=9,10,2

Par. 2. Specific Goals and Scope=10,11,1

Ch. 2. Current State=11,12,1

Par. 1. Current Research Trends=11,12,3

Par. 2. Prospects=14,15,1

Ch. 3. Contents and Results=15,16,1

Par. 1. Integration of Eye Movement Signal=15,16,1

1. Interaction between Visual Signal and Saccade=15,16,23

2. Influence of Saccade to Movement Perception=38,39,8

3. Role of Attention=46,47,13

Par. 2. Development of Bio-mimetic Ophthalmotrope=59,60,40

Par. 3. Neuronal Controls of the Ophthalmotrope=99,100,18

Ch. 4. Accomplishments and Contributions=117,118,1

Par. 1. Accomplishments=117,118,2

Par. 2. Contributions=118,119,2

Ch. 5. Applicatons=120,121,1

Par. 1. Future Research Plans=120,121,2

Par. 2. Expected Applications=121,122,1

Ch. 6. Related Information=122,123,1

Par. 1. Current Works=122,123,1

Ch. 7. References=123,12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