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보고서 초록/송락현=i,3,2

요약문=iii,5,8

Summary=xi,13,4

Contents=xv,17,4

목차=xix,21,4

표차례=xxiii,25,1

그림차례=xxiv,26,6

제1장 서론=1,32,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1,32,2

제2절 연구 추진 상황,연구 내용=2,33,2

제2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술 개발 현황분석=4,35,4

제1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이론적 배경=8,39,1

1 연료전지 발견 배경=8,39,1

2.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원리 및 특성=9,40,7

제2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구성재료=16,47,2

1. 전해질(electrolyte) 재료=18,49,2

2. 양극재료(cathode)=20,51,2

3. 음극재료(anode)=21,52,2

4. 연결재(interconnect) 재료=23,54,1

5. 밀봉재=23,54,2

제3절 박막코팅법=24,55,1

1. 전기화학 증착법(electrochemical vapor deposition)=24,55,2

2. plasma spray 코팅법=26,57,2

3. 전착법(Electrophoretic Deposition)=28,59,1

4. 담금법(dipping coating)=29,60,1

제3장 습식법에 의한 대면적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제조기술 개발=30,61,1

제1절 연료극 제조 기술 개발=30,61,1

1. 연료극 분말 합성=30,61,1

2. 연료극 슬러리 제조=30,61,3

3. 연료극 지지체 제조[원본불량;p.37]=33,64,11

4. 전기전도도 측정=44,75,2

5. 기공률측정=46,77,3

6. 강도측정=49,80,2

제2절 전해질 제조=51,82,1

1. 슬러리 제조=51,82,1

2. 전해질 제조=51,82,7

3. 가스투과도 측정=58,89,4

제3절 공기극 제조=62,93,1

1. LSM(La0.85(이미지참조)Sr0.15(이미지참조))0.9(이미지참조)MnO₃분말 합성=62,93,1

2. LSCF(La0.6(이미지참조)Sr0.4(이미지참조)Co0.2(이미지참조)Fe0.8(이미지참조)O₃분말제조=62,93,1

3. 공기극 코팅=62,93,3

4. 공기극 특성=65,96,5

제4절 단전지의 제조 및 성능측정=70,101,1

1. 단전지의 제조=70,101,2

2. 성능측정=72,103,8

제4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나노 전해질 기술개발=80,111,1

제1절 국내외 기술 현황=80,111,1

1. 국외의 기술현황=80,111,22

2. 국내의 기술현황=102,133,3

제2절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나노기술적용=105,136,1

1. 나노 전해질 코팅용 연료극 지지체 제조=105,136,5

2. 나노 전해질 제조=110,141,14

3. YSZ의 이온전도도=124,155,2

제5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고전도성 galate계 전해질의 개발=126,157,1

제1절 서론=126,157,1

제2절 전해질 특성분석=126,157,2

제3절 전해질 특성 비교=128,159,1

1. LBGM 전해질의 특성=128,159,4

2. LBGM9182 and LSGM9182의 특성비교=132,163,6

제4절 Conclusion=138,169,1

제6장 공기극과 전해질 계면에서의 산소 확산과 미세구조 분석=139,170,1

제1절 서 론=139,170,1

제2절 LaMn0₃/YSZ 계면의 특성분석=140,171,1

1. 시료합성=140,171,1

2. LaMn0₃film/ysz의 계면 미세구조 측정=140,171,1

3. 산소 동위원소 교환 안정성 및 SIMS 분석=140,171,2

제3절 LaMn0₃/YSZ 계면의 특성=141,172,1

1. LaMn0₃/YSZ 계면과 LaMn03막 의 미세구조=141,172,1

2. LaMnO₃/YSZ 계면의 미세구조의 온도특성=141,172,6

3. LaMn0₃/YSZ 계면에서 18(이미지참조)0의 온도에 따른 확산=147,178,2

4. 열처리에 의한 LaMn0₃막/YSZ 계면에서 물질이동=148,179,1

제4절 요약=148,179,3

제7장 Fe-Cr합금계 금속연결재 특성 평가=151,182,1

제1절 시료의 특성 및 분석=151,182,1

1. 시료 특성=151,182,1

2. 시료의 산화(H₂-H₂O 처리)=151,182,1

3. 합금의 분석=151,182,1

제2절 Fe-Cr 합금의 특성=152,183,1

1. H₂-H₂O의 처리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152,183,2

2. 합금표면과 산화막의 단면의 미세구조분석=153,184,4

3. 산화막/합금계면의 단면에서의 원소의 분포분석=157,188,6

4. 산화막의 성장 속도=163,194,1

5. 산화합금의 전기 전도도=163,194,3

제8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제조 기술개발=166,197,1

제1절 5 ×5 스택설계 및 제작=166,197,1

1. 스택의 설계=166,197,9

2. 스택의 제조 및 성능실험=175,206,3

제2절 10 ×10 스택 제작 및 성능측정=178,209,1

1. 10 ×10 스택의 설계 및 제작=178,209,1

2. 성능특성평가=178,209,7

제9장 결론=185,216,6

제10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191,222,2

제11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193,224,3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6

Contents=xv,17,15

Chapter 1. Introduction=1,32,1

Session 1. Objectives and necessity of theis research work=1,32,2

Session 2. Status,contents and scope of this project=2,33,2

Chapter 2. Status of solid oxide fuel cell technology=4,35,4

Session 1. Theoretical background of solid oxide fuel cell=8,39,1

1. Background of fuel cell for the discovery=8,39,1

2. Principles and charcteristiesl of solid oxide fuel cell=9,40,7

Session 2. Compon ents of solid oxide fuel cell=16,47,2

1. Electrolyte=18,49,2

2. Chthode=20,51,2

3. Ahode=21,52,2

4. Interconnect=23,54,1

5. Sealant=23,54,2

Session 3. Thin film coating process=24,55,1

1. Elcctrochemical vapor deposition=24,55,2

2. Plasma spray coating process=26,57,2

3. Electrophoretic deposition=28,59,1

4. Dipping coation=29,60,1

Chapter 3. Developement of planar Solid Oxide Fuel Cell by Wet Process=30,61,1

Session 1. Developmeme of anode electrode=30,61,1

1. Synthesis of anode powder=30,61,1

2. Fabricaltion of anode slurry=30,61,3

3. Fabrication of anode support=33,64,11

4. Measur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44,75,2

5. Measurement of porosity=46,77,3

6. Measurement of strength=49,80,2

Session 2. Fabrication of electrolyte=51,82,1

1. Fabrication of slurry=51,82,1

2. Fabrication of electrolyte=51,82,7

3. Measurement of gas permeability=58,89,4

Session 3. Fabrication of air electrode=62,93,1

1. Fabrication of LSM(La_0.85Sr_0.15)_0.9MnO₃powder=62,93,1

2. Fabrication of LSM(La_0.6Sr_0.4Co_0.2Fe0.8O₃) powder=62,93,1

3. Air electrode Coating=62,93,3

4. Characteristic of air electrode=65,96,5

Session 4. Fabrication of single cell and performance test=70,101,1

1. Fabrication of single cell=70,101,2

2. Performance test=72,103,8

Chapter 4. Development of nano-electrolyte technology for solid oxide fuel cell=80,111,1

Session 1. Oversea and domestic status of technology=80,111,1

1. Oversea status=80,111,22

2. Domestic status=102,133,3

Session 2. Application of nano-technoloty for solid oxide fuel cell=105,136,1

1. Fabrication of anode support for nano-electrolyte coation=105,136,5

2. Fabrication of nano-electrolyte=110,141,14

3. Ionic conductivity of YSZ=124,155,2

Chapter 5. Development of LaBaGaMgO와 LaSrGaMgO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126,157,1

Session 1. Introduction=126,157,1

Session 2. Analysis of electrolyte=126,157,2

Session 3. Comparison of electrolyte=128,159,1

1. Characteristic of LBGM electrolyte=128,159,4

2. Comparison of LBGM9182 and LSGM9182=132,163,6

Session 4. Conclusion=138,169,1

Chapter 6. Oxygen diffusion and microstructure at the LaMnO₃film/yttria-stabilized zirconia(YSZ) interface=139,170,1

Session 1. Introduction=139,170,1

Session 2. Characterization of LaMnO₃/YSZ interface=140,171,1

1. synthesis of materials=140,171,1

2.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 at the LaMnO₃film/YSZ interface=140,171,1

3. Stable isotope oxygen exchange and SiMS analysis=140,171,2

Session 3. Characteristics of LaMnO₃/YSZ interface=141,172,1

1. Microstruture of LaMnO₃/YSZ interface and LaMnO₃film=141,172,1

2,Effect of the heat treatments on microstructure at the LaMnO₃/YSZinterface=141,172,6

3. Effect of treatment on 18(이미지참조)O diffusion at the LaMnO₃film/YSZ interface=147,178,2

4. Mass transports around the LaMnO₃film/YSZ interface=148,179,1

Session 4. Summary=148,179,3

Chapter 7. Evaluation of Fe-Cr Alloys as Interconnects for reduced operation Temperature SOFC=151,182,1

Session 1. Characteristic and analysis of material=151,182,1

1. Material property=151,182,1

2. Material osidation (H₂-H₂O treatments)=151,182,1

3. Analysis of Alloys=151,182,1

Session 2. Property of Fe-Cr alloy=152,183,1

1. Surface microsturcture change with H₂-H₂O treatment=152,183,2

2. Analysis of microstructure at the surface and cross section=153,184,4

3. Element distribution at the cross section of oxide scale/alloy interface=157,188,6

4. Kineics of the oxide scale growth=163,194,1

5. Electrical conductivity of oxidized alloy=163,194,3

Chapter 8. Develpment of stack technology for solid oxide fuel cell=166,197,1

Session 1. Design and fabrication of 5×5 stack=166,197,1

1. Stack design=166,197,9

2. Fabrication of stack and performance test=175,206,3

Session 2. Fabrication of 10×10 stack and performance test=178,209,1

1. Desing and fabrication of 10×10 stacj=178,209,1

2. Performance test=178,209,7

Chapter 9. Conclusion=185,216,6

Chapter 10. Achievements and extranal contribution=191,222,2

Chapter 11. App[location Plan=193,224,3

표목차

[표 2-1] 연료전지의 종류 및 특성비교=7,38,1

[표 2-2] 고체산화물 인료전지 구성요소의 요구조건=16,47,1

[표 2-3] SOFC 구성요소의 재료=17,48,1

[표 2-4] YSZ(Ya₂O₃-Stabilized-ZrO₂)의 특성=19,50,1

[표 2-5] Ni/ysz cermet의특성(환원분위기)=22,53,1

[표 3-1] 지지체의 기공 파라미터=47,78,1

[표 3-2] 지지체의 강도비교=49,80,1

[표 4-1] YSZ 분말의 제조 방법과 결정 크기=80,111,1

[표 5-1] LBGM9182와 LSGM9182 표면의 반응속도상수와 확산계수=132,163,1

[표 5-2] LSGM9182와 LBGM9182의 저항값과 과전압=133,164,1

[표 6-1] Diffusion coefficients of 18(이미지참조)O in the LaMn03 film(D') and oxygen surface exchange coefficients (k') annealed at several temperatures.=147,178,1

[표 7-1] 1073 K에서 3시간 동안 Ha-HaO 처리 후 산화된 합금표면의 각 원소의 원자 농도=152,183,1

그림목차

[그림 2-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작동원리 및 전기화학 반응=10,41,1

[그림 2-2] 연료전지의 전형적인 분극거동=15,46,1

[그림 2-3] 전기화학증착법(EYD)의 원리=25,56,1

[그림 2-4]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공정도=27,58,1

[그림 2-5] 디핑코팅 법=29,60,1

[그림 3-1] 세라믹 공정에 의한 연료극 분말 제조공정도=31,62,1

[그림 3-2] 연료극 슬러리 제조공정도=32,63,1

[그림 3-3] 슬러리 혼합장치=34,65,1

[그림 3-4] 캐스팅 장치=35,66,1

[그림 3-5] 캐스팅 개략도=35,66,1

[그림 3-6] 캐스팅된 슬러리=36,67,1

[그림 3-7] 건조 후 크랙이 발생한 성형체=37,68,1

[그림 3-8] 적은 바인더를 사용했을 때 발생한 크랙=37,68,1

[그림 3-9] 지지체의 소결 모습=39,70,1

[그림 3-10] 제조된 크기별 지지체 (a) 150 cm²,(b) 150m²,100cm²,25cm²=40,71,1

[그림 3-11] 제작된 원반형 지지체=41,72,1

[그림 3-12] 12 wt.%와 13 wt.% 첨가하여 제조된 지지체의 표면과 단면 (a) 12 wt.% 파면,(b) 13 wt.% 파면 (c) 12 wt.% 표면 (d) 13 wt.% 표면=42,73,1

[그림 3-13] 12 wt.%와 13 wt.% 첨가하여 제조된 지지체의 환원전후 단면 (a) 12 wt.% 환원전,(b) 13 wt.% 환원전 (c) 12 wt.% 환원후 (d) 13 wt.% 환원후=43,74,1

[그림 3-14]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지지체 연결도=44,75,1

[그림 3-l5] 12% 바인더를 첨가한 지지체의 전기전도도=45,76,1

[그림 3-16] 환원전(a)과 환원후(b)의 기공분포=48,79,1

[그림 3-17] 4 point 방법을 강도측정형태=50,81,1

[그림 3-18] 강도측정 장치=50,81,1

[그림 3-19] 전해질 슬러리 제조 공정=53,84,1

[그림 3-20] 전해질 1회 코팅후의 표면(하)과 단면(상)=54,85,1

[그림 3-21] 전해질 3회 코팅후의 표면(상)과 단면(하)=55,86,1

[그림 3-22] 10 wt. % 슬러리가 3회 코팅된 전해질의 표면(상)과 단면(하)=56,87,1

[그림 3-23] 농도에 따라 코팅 전해질:10 wt.% (좌) 20 wt.%(우)=57,88,1

[그림 3-24] 가스투과율 측정장치 개략도=59,90,1

[그림 3-25] 가스투과율 장치=60,91,1

[그림 3-26] 가스투과율 측정 곡선 전해질 및 지지체(상),10 wt.% 전해질(하)=61,92,1

[그림 3-27] 공기극 분말(LSM) 제조공정도=63,94,1

[그림 3-28] 공기극 분말(LSCF) 제조공정도=64,95,1

[그림 3-29] 공기극 분말의 XRD 패턴=66,97,1

[그림 3-30] 코팅된 공기극 (LSM-YSZ,LSM,LSCF)=67,98,1

[그림 3-31] 제작된 단전지웨 추포=67,98,1

[그림 3-32] 산소이온전달 반응 model=68,99,1

[그림 3-33] 단전지 형태 (상)건포된 쪽지체,소결된 지지체,전해질 공기극,(하) 지지체,환원지지체,단전지,환원단전지=69,100,1

[그림 3-34] 단전지 모식도(상)와 5 X 5 CM²단전지 매니폴더(하)=71,102,1

[그림 3-35] 전해질 30 ㎛ 단전지의 온도별 성능특성=74,105,1

[그림 3-36] 전해질 10 ㎛ 단전지의 온도별 성능특성=74,105,1

[그림 3-37) 전해질 30 ㎛ 단전지의 온도별 임피던스=75,106,1

[그림 3-38] 전해질 10 ㎛ 단전지의 온도별 임피던스=75,106,1

[그림 3-39] 850℃ 에서 전해질 두께에 따른 성능특성 비교=76,107,1

[그림 3-40] 850℃ 3일 운전 후 성능곡선=76,107,1

[그림 3-41] 스택용 단전지 온도별 성능 특성(100 CH²)=77,108,1

[그림 3-42] 스택용 단전지 3일후 성능 특성 (100 CH²)=77,108,1

[그림 3-43] 성능 테스트후 파괴된 전극=78,109,1

[그림 3-44] 성능테스트 후 단전지=78,109,1

[그림 3-45] 성능테스트 장치=79,110,1

[그림 4-1] 8YSZ의 TEM 이미지 (NexTech materials,Ltd.)=85,116,1

[그림 4-2] (a) 소결 온도와 (b) 소결 유지시간에 따른 YSZ의 이온전도도=86,117,1

[그림 4-3] 1250℃에서 공소결된 YSZ/LSM Bilayers=87,118,1

[그림 4-4] 나노 YSZ분말을 이용한 전해 질 지지체관=88,119,1

[그림 4-5] LBNL의 연료극 지지체식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제조의 흐름도=90,121,1

[그림 4-6] 박막 세리아 전해질이 형성된 단위전지의 성능곡선=90,121,1

[그림 4-7] (a) composite ceria(Backscatter-mode)와 (b) submicron-grain doped ceria의 SEM 이미지=91,122,1

[그림 4-8] 공기극의 산소이온전달 반응 model=93,124,1

[그림 4-9] Polarization 곡선(IR-Free)=94,125,1

[그림 4-10] 개선된 공기극의 개략도와 SEM 이미지=95,126,1

[그림 4-11] Combustion CVD법에 의해 제조된 Ag-GDC의 미세구조=95,126,1

[그림 4-12] 박막 SOFC의 단면 개략도=97,128,1

[그림 4-13] 포토리소그래픽 패터닝과 에칭 공정을 이용한 Ni 연료극의 SEM 이미지=97,128,1

[그림 4-14] Sputter deposition 법으로 제조뢴 연료극과 공기극=98,129,1

[그림 4-15] MEMS-Thin Film SOFC의 개략도 (a) 하부기판,(b) 상부기판,(c) 연료극,(d) 전해질,(e)공기극,(f) 히터 분리체,(g) 창,(h) 발열체,(i)접촉패드=99,130,1

[그림 4-16] Ceo.sGao.201.9 입자의 TEM 이미지=103,134,1

[그림 4-17] BYSZ의 이온전도도(NexTech materials,Ltd.)=104,135,1

[그림 4-18] 전해질의 SEM 이미지=104,135,1

[그림 4-19] 압출용 페이스트 제조용 혼련기=107,138,1

[그림 4-20] 연료극 지지체관 제조용 압출기=107,138,1

[그림 4-21] 압출관 rolling 건조=108,139,1

[그림 4-22] 압출관 건조=108,139,1

[그림 4-23] 원통형 연료극 지지체=109,140,1

[그림 4-24] 마이크로 tube=109,140,1

[그림 4-25] 나노 YSZ의 입도 분포=112,143,1

[그림 4-26] YSZ 분말의 SEM 이미지=113,144,1

[그림 4-27] 나노 YSZ 분산 장비=113,144,1

[그림 4-28] 나노 YSZ 전해질막 제조 방법=115,146,1

[그림 4-29] 나노 YSZ의 분쇄 후 입자 크기=115,146,1

[그림 4-30] 분산제 첨가에 따른 입도 분포=116,147,1

[그림 4-31] lowt% 나노 YSZ 서스펜션 코팅=116,147,1

[그림 4-32] 수계 나노 YSZ 서스펜션 코팅=117,148,1

[그림 4-33] 나노 서스펜션의 DTA 곡선=118,149,1

[그림 4-34] NiO-YSZ 분말과 나노 YSZ 분말의 Zeta potential=120,151,1

[그림 4-35] 지지체의 pH 조절에따른 YSZ의 SEM 이미지=121,152,1

[그림 4-36] 구성요소의 SEM 이미지=122,153,1

[그림 4-37] 세리아의 SEM 이미지(1400℃,3 hr)=123,154,1

[그림 4-38] YSZ의 이온전도도=125,156,1

[그림 5-1] La₁-x(이미지참조)Mx(이미지참조)Ga₁-rMgy(이미지참조)0₃-δ(M=129,160,1

[그림 5-2] 소결온도의 함수로써 La0.9(이미지참조)Ba0.1(이미지참조)Ga0.8(이미지참조)Mg0.2(이미지참조)O2.85(이미지참조) 전해질의 전도도=129,160,1

[그림 5-3] 소결온도에 따른 La0.9(이미지참조)Ba0.1(이미지참조)Ga0.8(이미지참조)Mg0.2(이미지참조)O2.85(이미지참조) 전해질의 XRD 패턴=130,161,1

[그림 5-4] La₁-x(이미지참조)Bax(이미지참조)Ga0.8(이미지참조)O2.90-0.5x(이미지참조) 전해질의 전도도=131,162,1

[그림 5-5] La₁-x(이미지참조)Bax(이미지참조)Ga0.8(이미지참조)O2.90-0.5x(이미지참조) 전해질의 XRD 패턴=131,162,1

[그림 5-6] LSGM9182 and LBGM9182의 전기전도도=135,166,1

[그림 5-7] LSGM9182 and LBGM9182의 깊은곳의 산소 동위원소를 이용한 확산 profile=135,166,1

[그림 5-8] LSGU19182 and BGM9182의 Ga의 definition profiles=136,167,1

[그림 5-9] LSGM9182 and LBGM9182을 이용한 SOFC 단전지의 전력밀도=136,167,1

[그림 5-10] 단전지 실험후의 연료극 표면의 LSGM9182 과 LBGM9182 XRD 패턴=137,168,1

[그림 6-1] 열처리 전의 LaMn0₃막/YSZ 계면 (a) TEM 사진,(b) IsO-확산 profile ("as-deposited taMn03 film" on YSZ) (l6(이미지참조)0/18(이미지참조)o exchange at 1073 K for 300s)=143,174,1

[그림 6-2] LaMn0₃막/YSZ 계면의 단면 TEM 사진(after heat-treated at 1473 K for S h) (a) cross-section,(b) LaMn0₃/YSZ.LaMn0₃삼상계면,(C) the LaMn0₃/YSZ 이상계면=144,175,1

[그림 6-3] LaMn0₃ 막 제거 후의 YSZ 표면의 (a) AFM 사진,(b) the line analysis (heat-treated at 1273 K for 5 h)=145,176,1

[그림 6-4] LaMn0₃ 막/YSZ 계면의 원소 분포 (a) SIMS (b) TEM/EDX=146,177,1

[그림 6-5] 열처리 된 시료의 LaMn0₃/YSZ 계면에서의 18(이미지참조)0-확산 profile (heat-treated at 1473 K for S h,tHe 16(이미지참조)0/18(이미지참조)0 exchange at 1073 K for 300 5)=149,180,1

[그림 6-6] LaMn0₃제거 후의 YSZ 표면의 SIMS 사진=150,181,1

[그림 6-7] LaMn0₃막/YSZ 계면에서의 Mass transports 모식도. (1) 삼상계면으로의 18(이미지참조)0 확산,(2) 이상계면으로의 18(이미지참조)0 확산,(3) traverse 확산,(4) YSZ에서 계면으로의 18(이미지참조)0의 역확산=150,181,1

[그림 7-1] 1073 K에서 산화된 금속 표면의 광학현미경 사진 (H₂-H₂O 처리시간:(a)24,(b)144,and (c) 1114 h)=154,185,1

[그림 7-2] 1073 K에서 H₂-H₂O 처리 후 SEM 사진:(a) 3h,(b) high magnification of the sample treated for 3h;(c) 24 h,high magnification of the sample treated for 1114 h=154,185,1

[그림 7-3] 1073 K에서 H₂-H₂O 처리 후 산화된 Ff-Cf 합금의 표면 XRD patterns (■) spinels(Cr₂Mn0₄or M₄O₄),(●) Cr₂0₃,Duration times:(a) 3,(b) 18,and (c) 1114 h=155,186,1

[그림 7-4] 1073 K에서 1114시간 H₂-H₂O 처리후의 산화막/합금의 미세구조=156,187,1

[그림 7-5] 1073 K에서 H₂-H₂O 3시간 처리 후 산화합금의 각 원소들의 SfMS 확산 profiles=158,189,1

[그림 7-6] 1073 K에서 H₂-H₂O 처리시간에 따른 산화합금의 Cr+의 SIMS 확산 profile=159,190,1

[그림 7-7] 1073 K에서 H₂-H₂O 처리시간에 따른 산화합금의 Fe+의 SIMS 확산 profile=160,191,1

[그림 7-8] 1073 K에서 H₂-H₂O 처리시간에 따른 산화합금의 Cr+의 STMS 확산 profile. Each secondary ions for 3-144 h,(a) Al+,(b) Si+,(c) Mn+,(d) Zr+,and (e) La+=161,192,1

[그림 7-9] H₂-H₂O 처리 후의 산화막/합금 계면간의 모식도=162,193,1

[그림 7-10] 처리유지 시간과 산화막과의 관계=165,196,1

[그림 7-11] 온도의 함수로써 산화합금의 전기전도도(R-lAs)=165,196,1

[그림 8-1] 분리판 모식도=167,198,1

[그림 8-2] 분리판(우) 및 윗판(좌) 설계도면=168,199,1

[그림 8-3] 제작된 분리판 모습=168,199,1

[그림 8-4] 5단 스택 모식=169,200,1

[그림 8-5] 제작된 3단 스택 사진=170,201,1

[그림 8-6] 챔버형 가스관 스택의 분리판 모식도=172,203,1

[그림 8-7] 챔버형 가스관 스택의 분리판 모식도=172,203,1

[그림 8-8] 챔버형 가스관 스택의 설계 도면=173,204,1

[그림 8-9] 제작된 챔버형 가스관 스택=174,205,1

[그림 8-10] 테스트 후 니켈펠=176,207,1

[그림 8-11] 챔버형 가스관 스택의 테스트 후 모습=177,208,1

[그림 8-12] 스택에 사용된 단전지=179,210,1

[그림 8-13] 10 ×10 크기의 챔버식 스택=180,211,1

[그림 8-14] 스택의 가스관 연결부위=181,212,1

[그림 8-15] 제작된 스택 사진=182,213,1

[그림 8-16] 테스트 로에 설치된 스택 모습=183,214,1

[그림 8-l7] 외부 가스관 연결 형태=184,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