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보고서 초록/한수빈=i,3,2
요약문=iii,5,3
SUMMARY=vi,8,4
CONTENTS=x,12,1
목차=xi,13,2
그림목차=xiii,15,4
표목차=xvi,18,1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19,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1,19,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2,20,2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3,21,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4,22,1
제1절 광파이프 시스템의 종류 및 현황=4,22,3
1. 광파이프(프리즘) 시스템=6,24,3
2. 반사거울 시스템=8,26,2
3. 렌즈ㆍ광섬유 시스템=10,28,2
제2절 국외의 광파이프 시스템 개발현황=11,29,1
1. Solar Tube System=11,29,3
2. Sunpipe System=13,31,1
3. Sunstar System=13,31,2
4. Solite System=14,32,4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8,36,1
제1절 서론=18,36,2
제2절 1[kw]/10만[1m]급의 무전극 방전등 시스템 기술=19,37,1
1. 무전극 방전등 발광실험용 시스템구성=19,37,6
2. 석영구와 반사경 설계 및 제작=24,42,2
3. 효율적 Coupling을 위한 도파관 및 Cavity 설계 및 제작=26,44,2
4. 1.2[kW]급의 무전극 황전등 시제품 제작=28,46,11
제3절 광파이프를 이용한 광전송 및 조명기술=38,56,2
1. 광전송 기술개발 추이=39,57,3
2. 광파이프를 이용한 광전송 및 조명기술=41,59,7
3. 광파이프 조명기구 시제품 설계 및 제작=47,65,8
제4절 광파이프를 이용한 자연광 채광기술=55,73,3
1. 수동시스템=57,75,2
2. 능동시스템=59,77,2
3. 인공조명과의 통합=60,78,5
4. 광파이프를 이용한 새로운 자연광 채광기술=64,82,14
제5절 광파이프 조명시스템 제어기술=78,96,1
1. 조명제어기술=78,96,4
2. 광파이프 조명시스템의 조광제어기 구현 및 성능실험=82,100,5
제6절 결론=87,105,1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88,106,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89,107,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90,108,89
제7장 참고문헌=179,197,1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180,198,1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1
CONTENTS=x,12,7
Chapter 1. Introduction=1,19,1
Section 1. Objectives=1,19,1
Section 2. Necessity=2,20,2
Section 3. Contents and Scope=3,21,1
Chapter 2. State of Art=4,22,1
Section 1. Classification of Light Pipe System=4,22,8
Section 2. Domestic and Foreign R&D State=11,29,7
Chapter 3. Substances and Results=18,36,1
Section 1. Introduction=18,36,2
Section 2. Operation of Electrodeless Discharge Lamp=19,37,20
Section 3. Light Transmission and Illumination using Light Pipe=38,56,17
Section 4. Light Collection using Microstructured Film=55,73,23
Section 5. Integration Control of Light Pipe System=78,96,9
Section 6. Conclusion=87,105,1
Chapter 4. Achievement and Contribution=88,106,1
Chapter 5. Application Plan=89,107,1
Chapter 6. Related Information=90,108,1
Section 1. Hollow Light Guides Technical Report=91,108,1
Section 2. Related Papers=91,108,89
Chapter 7. Reference=179,197,12
[그림 2-1] 덕트 전송에 의한 자연채광장치방식=5,23,1
[그림 2-2] 공중 전송에 의한 자연채광장치=5,23,1
[그림 2-3] 광섬유 전송에 의한 자연채광장치=6,24,1
[그림 2-4] 광 파이프 시스템=7,25,1
[그림 2-5] 광 파이프 시스템 설치 예=7,25,1
[그림 2-6] 평판 프리즘 적용 사례=8,26,1
[그림 2-7] 선 수쿠프 시스템=8,26,1
[그림 2-8] 반사거울 시스템=9,27,1
[그림 2-9] 반사거울 시스템 적용 예=9,27,1
[그림 2-10] 렌즈ㆍ광섬유 방식=10,28,1
[그림 2-11] 렌즈ㆍ광섬유 방식의 적용 예=10,28,1
[그림 2-12] Solar Tube System=12,30,1
[그림 2-13] 태양광 집광부(roof dome)=12,30,1
[그림 2-14] Sunpipe System=13,31,1
[그림 2-15] Sunstar System=14,32,1
[그림 2-16] Solite System의 제어=15,33,1
[그림 2-17] Solite System의 구성과 적용=15,33,1
[그림 2-18] 요코하마시 노유자시설의 채광장치 및 실내=16,34,1
[그림 2-19] 군마현 영지버섯공장의 채광장치 실내=16,34,1
[그림 2-20] 군마현 냉동공장의 채광장치 및 실내=17,35,1
[그림 2-21] 나가노현 주택의 채광장치 및 실내=17,35,1
[그림 3-1] 2-KW 급 무전극 방전등 발광실험용 시스템=20,38,1
[그림 3-2] 마이크로파력 300W에서 발광된 Sulfur lamp=20,38,1
[그림 3-3] 실험의 Side view[〈200W]=21,39,1
[그림 3-4] 실험의 Side view[〈200W]=21,39,1
[그림 3-5] 방전시 스펙트럼 특성 변화=22,40,1
[그림 3-6] 시간에 따름 발광 프로세스의 관찰 실험=23,41,1
[그림 3-7] 실린더 방전관의 발광 사진=24,42,1
[그림 3-8] 제작된 무전극 방전구들=24,42,1
[그림 3-9] 진공 자켓을 가진 무전극 방전구=25,43,1
[그림 3-10] 제작된 여러 Waveguide=26,44,1
[그림 3-11] 실험용 각종 Cavity=27,45,1
[그림 3-12] H-H(자기장-자기장)의 Coupling Waveguide=27,45,1
[그림 3-13] 시제품 I=28,46,1
[그림 3-14] 시제품 II=29,47,1
[그림 3-15] 시제품 I의 발광 스펙트럼=29,47,1
[그림 3-16]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TE11 mode=30,48,1
[그림 3-17] 마그네트론의 회로화된 모델=31,49,1
[그림 3-18] 마그네트론의 I-V 동작 특성=32,50,1
[그림 3-19] 마그네트론의 온도에 따른 특성=32,50,1
[그림 3-20] 마그네트론의 전류에 따른 플리커 특성=33,51,1
[그림 3-21] Linear power supply에 의한 황전등 점등 특성=34,52,1
[그림 3-22] 점등시간에 따른 광출력 변화특성=34,52,1
[그림 3-23] 주 전력회로로 가능한 형태=37,55,1
[그림 3-24] 설계에 적용된 주회로 방식=37,55,1
[그림 3-25] SMSP 전력공급 시스템의 구성도=37,55,1
[그림 3-26] 거울을 이용한 광전송 수단=39,57,1
[그림 3-27] 광전송용 광파이프의 종류=40,58,1
[그림 3-28] 일반조명과 광파이프 조명시스템의 비교=41,59,1
[그림 3-29] 광파이프의 형태 및 프리즘의 동작원리=42,60,1
[그림 3-30] 광파이프 조명기구=43,61,1
[그림 3-31] 광파이프내에서의 광의 움직임=44,62,1
[그림 3-32] 광파이프 조명기구내의 광추출기=45,63,1
[그림 3-33] Single Endfeed 형태의 광파이프=46,64,1
[그림 3-34] Dual Endfeed 형태의 광파이프=46,64,1
[그림 3-35] Midfeed 형태의 광파이프=46,64,1
[그림 3-36] Double-Ended 형태의 광파이프=47,65,1
[그림 3-37] 광전송 효율의 이론적 해석을 위한 개념도=48,66,1
[그림 3-38] 입체각의 개념=49,67,1
[그림 3-39] 광전송 효율 곡선=50,68,1
[그림 3-40] K. Eder모델의 검증(Osram Halopar 20D,film cone angle 30)=51,69,1
[그림 3-41] 시제품 설계에 사용된 광원=51,69,1
[그림 3-42] 광파이프 배광 시스템 시제품 설계=52,70,1
[그림 3-43] 프리즘 광파이프 조명기구 시제품=53,71,1
[그림 3-44] 조명기구 중심에서의 휘도 분포=53,71,2
[그림 3-45] 광천창 및 광선반의 단면=55,73,1
[그림 3-46] 학교 체육관 주광 조명시설의 실의 및 실내=56,74,1
[그림 3-47] 전송부의 메카니즘=58,76,1
[그림 3-48] 솔라 추적시스템의 적용 모습=59,77,1
[그림 3-49] 복합조명시스템 설치공간 및 구성도=65,83,1
[그림 3-50] 자연광 집광장치=66,84,1
[그림 3-51] 제작된 광변환기 모습=66,84,1
[그림 3-52] 광변환부 설계도=67,85,1
[그림 3-53] 광파이프 조명기구의 내부구조=68,86,1
[그림 3-54] 제작된 광파이프 조명기구=68,86,1
[그림 3-55] 광파이프 조명기구 내부모습=69,87,1
[그림 3-56] 광파이프 조명기구 설계도=69,87,1
[그림 3-57] 실험공간에 설치된 복합조명제어시스템=70,88,1
[그림 3-58] 자연채광시스템의 효율 흐름도=71,89,1
[그림 3-59] 프레넬 렌즈 모의실험 모델=72,90,1
[그림 3-60] Ray Tracing 모의실험 결과=73,91,1
[그림 3-61] Irradianc Mapping 모의실험결과=73,91,1
[그림 3-62] 복합조명시스템의 효율 측정 모습=74,92,1
[그림 3-63] 자연채광시스템 효율=75,93,1
[그림 3-64] 형광등의 소비전력에 따른 광속비=76,94,1
[그림 3-65] 형광등의 출력광속=76,94,1
[그림 3-66] 시간대별 및 평균 조명전력 절감량=77,95,1
[그림 3-67] 실험공간의 평균조도=77,95,1
[그림 3-68] 조광방식에서 주광과 인공과의 조절 패턴=80,98,1
[그림 3-69] 창가에서부터의 주광과 인공광의 영향 비중=80,98,1
[그림 3-70] 시간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공급조도 변화=81,99,1
[그림 3-71] 조도제어시 에너지 절감의 원리=81,99,1
[그림 3-72] 일정 광출력 감식 및 제어시스템=82,100,1
[그림 3-73] 광파이프 구조와 배광=83,101,1
[그림 3-74] 시스템의 측정을 위한 센서 배치=83,101,1
[그림 3-75] 주광제어를 위한 실험실 전경=84,102,1
[그림 3-76] 주광이 차단된 모습=84,102,1
[그림 3-77] 주광이 유입되는 모습=85,103,1
[그림 3-78] 인공광원만의 경우의 조도 분포=85,103,1
[그림 3-79] 조명제어를 수행한 경우의 조도 특성=86,104,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