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보고서 초록/이종섭=2,3,1

요약문=3,4,2

SUMMARY=5,6,1

CONTENTS=6,7,1

목차=7,8,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9,10,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9,10,1

제2절 연구개발의 기술적 배경=9,10,1

1. 애기장대 전체 게놈 해독에 의해 전체 유전자 기능 연구 가능성 열림=9,10,1

2. 유전자 기능 연구 도구로서의 기능 손실 돌연변이체 집단 제조와 그 한계=9,10,2

제3절 이론적,실험적 접근 방법=11,12,1

1. 활성화 표지 선별법의 적용=11,12,1

2. 개선된 애기장대의 형질전환법 사용=11,12,2

3,기존 삽입 돌연변이체 집단과 문제점=12,13,3

제4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4,15,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환=15,16,1

제1절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15,16,1

1. 식물 유전체 구조 연구=15,16,1

2. 식물 유전자 기능 연구=15,16,2

제2절 본 연구결과가 국내외 기술 개발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16,17,2

제3장 연구개발순행 내용 및 결과=18,19,1

제1절 연구 개발의 목표=18,19,1

제2절 연구내용=18,19,1

1. 대규모 형질전환=18,19,2

2. 활성화 표지 돌연변이체 표현형 데이터베이스 제작 및 관리=19,20,1

3. 7-DNA 절편의 클로닝=19,20,1

4. 대규모 염기서열 결정과 생물정보학=19,20,1

5. 전장 cDNA (Full length cDNA) 클로닝=19,20,1

제3절 연구 결과 I:삽입 돌연변이체 집단 제조=20,21,1

1. 대규모 삽입 돌연변이체 집단 제조=20,21,3

2. T-DNA 삽입 위치 결정=22,23,20

3. 역 유전학 데이터베이스의 제작=41,42,1

4. 본 연구의 역 유전학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장점=41,42,3

제4절 연구 결과 II:유전자 기능 탐색=44,45,1

1. ECLI(Early flowering and Curly Leaf1)=44,45,4

2. ATK10-003(Activation Tagging Line 10-003)=47,48,2

3. ATL10-004=48,49,2

4. yucca4-ID=49,50,2

5. ATL37-201=50,51,2

6. pecl-ID=51,52,3

7. Lovl-ID=53,54,4

8. 종자 관련 돌연변이체=56,57,3

9. 자성 배우체 돌연변이=58,59,2

10. 유전자 기능탐색 돌연변이체=59,60,8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67,68,1

제1절 목표 달성도=67,68,1

1. 제 1 단계 목표 달성도=67,68,1

2. 각 연차별 목표 달성도=67,68,3

제2절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69,70,1

1. 학술적 측면=69,70,1

2. 경제ㆍ산업적 측면=69,70,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71,72,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순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73,74,4

제7장 참고문헌=77,78,2

부록=79,80,237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6

CONTENTS=6,7,3

1. An outline of this research project=9,10,6

2. A current status of home and foreign technology development=15,16,3

3. Details and results of research=18,19,49

4. Measure of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to related fields=67,68,4

5. A plan of practical use=71,72,2

6. Information collected regarding foreign science and technology=73,74,4

7. References=77,78,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