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2,2,1
보고서 초록/이기우=3,3,2
요약문=5,5,3
SUMMARY=8,8,3
CONTENTS=11,11,2
목차=13,13,4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7,17,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17,17,2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범위=18,18,1
1. 연구의 필요성=18,18,4
2. 연구의 범위=21,21,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2,22,1
제1절 국내ㆍ외 기술개발현황=22,22,1
1. 국외현황=22,22,1
2. 국내현황=22,22,2
3. 앞으로의 전망=23,23,2
제2절 연구결과의 위치=24,24,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26,26,1
제1절 윅식 히트파이프의 설계 기술=26,26,1
1. 메쉬윅 히트파이프의 설계 이론=26,26,1
가. 파이프 및 스크린 메쉬윅의 사양=26,26,1
나. 스크린 메쉬 히트파이프 설계 이론=26,26,4
다. 모세관 압력 및 열수송한계의 결과 및 고찰=29,29,1
(1) 모세관 압력 및 펌핑 압력=29,29,2
(2) 메쉬윅에 따른 액체 및 증기 마찰 계수=30,30,3
(3) 모세관 열수송 한계=32,32,4
(4) 음속한계,비산 한계 및 비등한계 열수송량=35,35,2
(5) 히트파이프의 열저항=37,37,1
(6) 메쉬윅 내의 작동유체량=37,37,2
라. 결론=38,38,2
2. 최적작동유체 주입량의 결정=39,39,2
가. 히트파이프 모델 결정=40,40,1
(1) 작동유체 및 파이프 재질=40,40,1
(2) 모세관 구조물 결정=40,40,3
(3) 작동유체의 양=42,42,2
나. 실험장치 및 방법=43,43,1
(1) 실험 조건=43,43,1
(2) 실험 장치=43,43,2
(3) 실험 방법=44,44,2
다. 실험결과 및 고찰=45,45,1
(1) 작동유체주입량에 따른 열성능=45,45,5
(2) 스크린메쉬 겹수에 따른 열저항 및 온도분포=49,49,4
라. 결론=52,52,2
3. 100-mesh 스크린 윅을 삽입한 동-물 히트파이프 열전달 성능=53,53,1
가. 100-mesh screen wick 1겹=53,53,2
나. 100-mesh screen wick 2겹=54,54,2
다. 100-mesh screen wick 3겹=55,55,2
라. 열저항 및 한계열쟝=56,56,6
마. 결론=61,61,1
4. 150,200-mesh 스크린 윅을 삽입한 동-물 히트파이프 열전달 성능=61,61,1
가. 온도분포=61,61,1
(1) 150-mesh=61,61,3
(2) 200-mesh=63,63,2
나. 열저항 및 한계열량=64,64,5
다. 결론=68,68,2
5. 모세관 한계 성능 해석=69,69,1
가. 성능 예측-메쉬의 영향=69,69,2
나. 실험 결과-열저항 및 한계 열량=70,70,5
다. 결론=74,74,2
6. 작동유체의 주입 방식에 따른 열전달 성능 해석=75,75,2
가. 온도 분포=76,76,2
나. 열저항 및 한계 열량=77,77,3
다. 작동유체 주입 방식에 따른 성능 비교=80,80,2
라. 결론=81,81,2
제2절 전자냉각용 히트파이프 히트싱크=82,82,1
1. 서론=82,82,3
2. 실험장치=84,84,4
3. 시뮬레이션=87,87,3
4. Thermal resistance analogy=89,89,5
5. 고찰 및 결과=93,93,10
6. 결론=102,102,2
제3절 가변 전열 히트파이프 열전달 성능의 해석=104,104,1
1. 물-동 스크린 Mesh형 가변 전열 히트파이프의 열전달 성능의 해석=104,104,1
2. 이론적 관계식 및 해석 방법=104,104,1
가. 기초 이론=104,104,4
나. 해석 방법=107,107,2
3. 결과 및 토의=108,108,1
가. 불응축 가스량의 영향=109,109,1
나. 가스저장소 크기의 영향=109,109,2
다. 윅 두께의 영향=110,110,2
4. 결론=111,111,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13,113,3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116,116,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118,118,5
제7장 참고문헌=123,123,4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127,127,14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0
CONTENTS=11,11,6
Charpter 1. Introduction=17,17,5
Charpter 2. R&D Status of Foreign and Domestic Heat Pipe=22,22,1
Section 1. R&D Status=22,22,3
Section 2. Position in Results=24,24,2
Charpter 3. Contents and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26,26,1
Section 1. Heat Pipe Design Method with Screen Mesh Wick=26,26,1
1. Design Technology of Screen Mesh Wick Heat Pipe=26,26,14
2. Optimum Working Fluid Injection Method=39,39,15
3. Hea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pper-Water Heat Pipe with 200 Mesh Screen Wick=53,53,9
4.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pper-Water Heat Pipe with 150 and 200 Mesh Screen Wick=61,61,9
5. Performance Analysis of Capillary Limitation=69,69,7
6. Heat Transfer Analysis by Working Fluid Injection Method=75,75,8
Section 2. Heat Sink Design Method with Heat Pipe=82,82,1
1. Introduction=82,82,3
2. Experimental Equipment=84,84,4
3. Heat Sink Simulation=87,87,3
4. Thermal Analysis for Electronic Cooling=89,89,5
5. Result=93,93,10
6. Conclusion=102,102,2
Section 3. VCHP Thermal Analysis=104,104,1
1. Heat Transfer Analysis of VCHP with Copper-Water Screen Mesh=104,104,1
2. Theoretical Analysis Method=104,104,5
3. Result and Discussion=108,108,4
4. Conclusion=111,111,2
Charpter 4. Achievement Degree and Contribution=113,113,3
Charpter 5. Future Plans for the Applications of Achievements=116,116,2
Charpter 6. Information of Foreign Science Technology=118,118,5
Charpter 7. References=123,123,1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