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최종연구보고서 초록/김용배=0,3,2
요약문=I,5,4
SUMMARY(영문요약문)=V,9,4
CONTENTS(영문목차)=IX,13,1
목차=X,14,3
표목차=XIII,17,4
그림목차=XVII,21,8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29,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1,29,1
1. 목적=1,29,1
2. 필요성=1,29,1
가. 기술적 측면=1,29,2
나. 경제ㆍ산업적 측면=2,30,2
다. 사회 ㆍ문화적 측면=3,31,1
제2절 연구개발의 범위=3,31,2
1. 노심 감시시스템 개발 및 현장설치=4,32,1
2. 경수 내 미량 중수감시기술 개발=4,32,1
3. 노심 운전지원시스템 개박=4,32,1
4. 감속재 내 C-14 거동의 규명을 통한 예측 모델링=4,32,1
5. 노심 운전지원시스템 현장설치 및 감시/운전지원시스템 통합=4,32,2
6. 수화학 계통의 연속감시 및 설치/종합적 관리 시스템 구축=5,33,1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6,34,1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6,34,1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6,34,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8,36,1
제1절 노심감시 시스템 개발 및 현장 설치=8,36,1
1. 온라인 출력계산 시스템 상세 설계 완성=8,36,1
가. 출력계산/입력전환 알고리즘 상세 설계=8,36,26
나. 통신(네트워크) 모듈 상세 설계=33,61,9
다. 데이터베이스 상세 설계=41,69,4
라. DB Access 모듈 상세 설계=44,72,5
마. Client 프로그램 상세 설계=49,77,10
바. 서버 관리 모듈 상세 설계=58,86,4
사. 입력 자퐁화 모듈 상세 설계=61,89,2
2. 시스템 통합 및 GUI 구축=63,91,1
가. 통신(네트워크) 모듈 구현=63,91,1
나. DBMS 구축=63,91,3
다. Client 프로그램 구축=65,93,5
라. 서버관리 모듈 구축=69,97,4
마. DB Access 모듈 구축=72,100,2
바. 입력자동화 모듈 구축=73,101,2
사. 시스템 통합=74,102,4
3. 노심감시 시스템 최적화 및 온라인시스템 제작=77,105,1
가. 현장의 상황을 고려한 시스템 구축=77,105,2
4. 노심감시 시스템 발전소 설치 및 성능시험=79,107,1
가. 현장 설치=79,107,1
나. 성능 시험=80,108,5
제2절 노심 운전지원시스템 개발=84,112,1
1. 노심조건 탐색기능 개발=84,112,2
가. 노심조건 Prediction 모듈 설계/구현=85,113,1
나. 노심조건 Prediction 모듈 GUl/DB 설계/구현=85,113,2
다. 모듈 시험=87,115,3
2. 원자로기동 방법 평가 및 노심 제어방댑 모델 개발=89,117,2
가. 원자로 기동관련 자료 수집=90,118,11
나. 원자로 정지/기동시 노심상태분석=101,129,8
다. 윈자로 반응도조절설비 블능조건에서의 노내 LOCA(PTR) 사고 해석=108,136,37
라. 원자로 반응도조절설비 작동조건에서의 노내 LOEA(PTR) 사고 해석=145,173,21
마. 냉각재와 감속재의 순도에 따른 영향분석=166,194,5
바. 윈자로 기동모델 설정 및 노물리 특성분석=171,199,6
사. 결론 및 월성 윈자로를 위한 기동모델 제안=177,205,1
3. 최적운전전략 탐색 모듈 개발=178,206,1
가. 최적운전을 위한 친체 채널 선정 모듈 개발=178,206,4
4. 정상상태 운진지원코드 검증=181,209,1
가. 정상상태시 CCMS 검증=181,209,2
5. 운전 과도상태 운전지원포드 검증=183,211,1
가. 핵연료 교체에 따른 과도상태시 CCMS 검증=183,211,2
제3절 노심 운전지원시스템 현장 설치 및 감시/운전지원 시스템 통합=185,213,1
1. 노심 운전지원시스템 밭전소설치=185,213,1
가. 노심 운전지원시스템 구성 및 설치=185,213,2
나. 현장 시험=186,214,3
2. 노심 운전지원시스템 성능시험 및 현장 요청사항 반영=188,216,1
가.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자료 분석 방법=188,216,3
나. 월성 1호기 이력자료 분석=190,218,13
다. Gentilly-2 경험 자료 분석 및 비판=202,230,10
라. RFSP Time-Average 모델 수행 결과 분석 및 비교=211,239,20
마. 채널별 연료친체에 따른 LZC 수위 변화 예측=231,259,6
바. 월성1호기 이력자료와의 오차 비교=237,265,1
사. 결과 분석=237,265,2
3. 노심 감시/운전지원시스템 통합=238,266,1
가. 통합시스템 구성=238,266,2
나. 주요 Ul(User Interface)=239,267,6
제4절 경수 내 미량 중수감시기술 개발=245,273,1
1. 미량 중수 스펙트럼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수립=245,273,1
가. 표준중수를 이용한 감도시헝 및 자료생산=245,273,3
2. 분광법/질량분석법 등을 이용한 경수 내 저농도 중수 분석 기초 연구=247,275,1
가. 적외선 분광기술=247,275,7
나. 마이크로파 유도 플라스마를 이용한 질량 분석 기술=253,281,30
3. 고 감도 중수누설 연속 감시시스템의 현장 설치 및 성능 평가=282,310,3
제5절 감속재 내 C-14 거동의 규명을 통한 예측 모델링=285,313,1
1. 감속재 계통에서의 탄산 이온 거동 해석=285,313,3
2. 탄산이온의 이온교환 특성=287,315,5
3. 이온교환수지를이용한 중탄산이온 전환기술=291,319,1
가.이온전환 괼요성 및 방법=291,319,3
나.중탄산이온 검출 기술개발=293,321,38
4. 음이온 수지탑 이온 누출 감기장치 설계 및 제작=330,358,1
가. 실험 장치=330,358,3
나. 실험 방법=332,360,2
다. 실험 결과=333,361,2
라. 결과 및 분석=334,362,4
5. 수지탑 성능 저하 예측 프로그램 모델의 상세 설정=337,365,1
가. 모델의 개념과 알고리즘=337,365,4
나. 모델의 상세 설정=340,368,4
다. 월성 3호기에의 적용을 통한 모델의 신리성입증=343,371,4
제6절 수화학 계통의 연속감시 및 설치ㆍ종합적 관리 시스템 구축=346,374,1
1. 현장에 적합한 중수누설감시 기술의 선정 및 감시 프로그램에로의 통합=346,374,1
가. 현장 측정 화학 항목의 조사=346,374,5
나. 현장 측정 화학 항목의 감시 프로그램에로의 통합을 위한 알람값 실정=350,378,5
다. 조사된 현장 측정 화학항목에 대한 PI 상의 Tagname 부여=354,382,4
2. 수화학 계통 감시ㆍ진단 및 평가용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358,386,1
가. ChemMED의 개요=358,386,1
나. SHM의 개념,필요성 및 기능=358,386,1
다. ChemMED의 특징,구성,작동기구 및 기능 (그림 3.6.2.다-1 참조)=358,386,15
4. 수화학 계통 연속 감시 프로그랜의 신뢰성 입증=373,401,1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374,402,1
1. 최종목표=374,402,1
2. 당해 단계목표 및 달성도=374,402,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376,404,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377,405,3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4
SHMMARY(Korean)=I,5,4
SUMMARY(English)=V,9,4
CONTENTS(English)=IX,13,1
CONTENTS(Korean)=X,14,3
List of Tables=XIII,17,4
List of Figures=XVII,21,8
Chapter 1 Summary=1,29,1
Section 1 Objects and Needs=1,29,3
Section 2 Scope=3,31,3
Chapter 2 State of Home and Overseas Technology Development=6,34,2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s=8,36,1
Section 1 Development of Core Monitoring System and System Installation=8,36,77
Section 2 Development of Core Operation Support System=84,112,101
Section 3 Installation of Cor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Tntegration of Core Monitoring and Operation Support Systems=185,213,60
Section 4 Technique for microanalysis of heavy water in light water=245,273,40
Section 5 Predicting Modeling via exanunation of C-14 behavior in moderator system=285,313,62
Section 6 Construction of real-tlme monitonng and management system for chemistry system=346,374,28
Chapter 4 Object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to other Researches=374,402,2
Chapter 5 Utilization Plan of Results=376,404,1
Chapter 6 Oversea'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in this Research=377,405,3
그림 3.1.1.가-1 수직방향 중성자속 계측기 어셈블리 위치=8,36,1
그림 3.1.1.가-2 Flux Mapping을 위한 계측기 위치=9,37,1
그림 3.1.1.가-3 헥연료 다발 출력 계산 흐름도=10,38,1
그림 3.1.1.가-4 LZC(#1-#7) 수위 변화=11,39,1
그림 3.1.1.가-5 LZC(#8-#14) 수위 변화 변화=12,40,1
그림 3.1.1.가-6 계측값과의 평균 백분율 오차 변화=13,41,1
그림 3.1.1.가-7 최대 양(ㆍ)백분율 오차 변화=13,41,1
그림 3.1.1.가-8 계측중성 자속과의 최대 음(-) 백분율 오차 변화=15,43,1
그림 3.1.1.가-9 계측중성자속과의 백분율 오차에 대한 표준편차 변화=15,43,1
그림 3.1.1.가-10 확산방정식의 유하차분해석에 따른 잉여반응도 변화=16,44,1
그림 3.1.1.가-11 각 계산 알고리즘에 따른 최대 번들 출격 변화=17,45,1
그림 3.1.1.가-12 각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대 채닐 출쳔 변화=17,45,1
그림 3.1.1.가-13 JO5 채널의 핵연료 교체에 따른 수위 영역변화(5528FPD)=24,52,1
그림 3.1.1.가-14 JO5 채널의 핵연료 교체동안의 노심출구 헤드 온도 변화(SS28FPD)=25,53,1
그림 3.1.1.가-15 MCA 실제 이동거리 및 오차=27,55,1
그림 3.1.1.가-16 조절봉 실제 이동거리 및 오차=27,55,1
그림 3.1.1.가-17 총출력 변화에 따른 냉각재온도 변화=28,56,1
그림 3.1.1.가-18 총출력 변화에 따른 냉각재 밀도 변화=28,56,1
그림 3.1.1.가-19 총출력 변화에 따른 연료 온도 변화=28,56,1
그림 3.1.1.가-20 Fuel Heat Rating 변화=28,56,1
그림 3.1.1.가-21 시뮬레이션 기간동안의 Core Thermal Power 의 변화=30,58,1
그림 3.1.1.가-22 계산방법에 따른 최대 채널출력 변화=30,58,1
그림 3.1.1.가-23 계산 방법에 따른 최대 번들출력 변화=30,58,1
그림 3.1.1.가-24 중성자속 계산 방법에 따른 평균 백분율 오차=32,60,1
그림 3.1.1.가-25 중성자속의 평균 백분율 오차에 대한 표준편차=32,60,1
그림 3.1.1.나-1 Gateway/Application Server 간 통신 모듈 클래스 다이어그램=35,63,1
그림 3.1.1.나-2 Gateway/Application Server 간 통신 모듈 시퀀스 이어그램=36,64,1
그림 3.1.1.나-3 RFSP Server/Application Server 간 통신 모듈 를래스 다이어그램=36,64,1
그림 3.1.1.나-4 RFSP Server/Applicati()n Server 간 통신 모듈 시퀀스 다이어그램그림=38,66,1
그림 3.1.1.나-6 Elient/Application Server 간 통신 모듈 시퀀스 다이어그램=41,69,1
그림 3.1.1.다-1 CANDU 온라인 출력계산 시스템 ERD=44,72,1
그림 3.1.1.라-1 DB Access 모듈 클래스 다이어그램=46,74,1
그림 3.1.1.라-2 DB Access 모듈 시뭔스 다이어그램=47,75,1
그림 3.1.1.마-1 Client모듈의 ADf와 RFSPRun를래스의 클래스 다이어그램=56,84,1
그림 3.1.1.마-2 클래스의 계층도=57,85,1
그림 3.1.1.마-3 클래스 멤버변수의 호출 계층도=57,85,1
그림 3.1.1.마-3 Client모듈의 클래스 다이어그램=58,86,1
그림 3.1.1.바-1 Gaterway,RFSP Server,DAF 세팅 관런 글래스 다이어램=59,87,1
그림 3.1.1.바-2 Gateway,RFSP Server,DAF 세팅 관련 시퓐스 다이어램=60,88,1
그림 3.1.1.바-3 Calibration Factor File 및 사용자 계정 관련 플래스 다이어그램=60,88,1
그림 3.1.1.바-4 Calibration Factor File 및 사용자 계정 관련 플래스 다이어그램=61,89,1
그림 3.1.1.사-1 입력자동화모듈의상세 프로세스=62,90,1
그림 3.1.2.가-1 RFSP원격 실행 화면=63,91,1
그림 3.1.2.나-1 CANDU 온라인 출력계산 시스템 테이블 구조도=64,92,1
그림 3.1.2.다-1 Client UI의 전체모습=66,94,1
그림 3.1.2.다-2 Client의 조회항목별 예=67,95,1
그림 3.1.2.다-3 Client의 채널이혁조회 래프작성 UI=68,96,1
그림 3.1.2.라-1 CGWSetting Class의 Dialog=70,98,1
그림 3.1.2.라-2 CRfSPSSetting Class의 Dialog=70,98,1
그림 3.1.2.라-3 CDAFSctting Class의 Dialog=71,99,1
그림 3.1.2.라-4 CDIRSetting Class의 Dialog=71,99,1
그림 3.1.2.라-5 CUserAccuntsetting Elass의 Dialoge=71,99,1
그림 3.1.2.라-6 CUserAccountAdd Elassfl Dialog=72,100,1
그림 3.1.2.마-1 입력자동화 모듈의 구축=73,101,1
그림 3.1.2.사-1 CANDU 출력계산 시스템 서버 프로그램 실행 순서=76,104,1
그림 3.1.2.사-2 서버 프로그램의 메인 UI=77,105,1
그림 3.1.3.가-1 노심 같시 시스템의 논리적인 구성=78,106,1
그림 3.1.4.가-1 현장시험을 위해 사용된 노심 감시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성=79,107,1
그림 3.1.4.나-1 성능시험 기간중 Channel Power Distribution치 시간벽 추이=82,110,1
그림 3.1.4.나-2 성능시험 기간중 Channel Over Power Distribution의 시간별 추이=82,110,1
그림 3.1.4.나-3 성능시험 기간중 K Increase on Rejueling의 시간별 추이=83,111,1
그림 3.1.4.나-4 성능시험 기간중 Average Exit Rurnup의 시간벽 추이=83,111,1
그림 3.1.4.나-5 성능시험 기간중 Channe Temperature의 시간별 추이=84,112,1
그림 3.2.1.-1 노심조건 탐색시스템 구조=85,113,1
그림 3.2.1.나.1 CCMS목된 노심조건 탐색딘듈 DB 구축을 위한 다이아그램=86,114,1
그림 3.2.1.나.2 모듐별 디폴트 디렉토리 지정=86,114,1
그림 3.2.1.다.1 시험기간의 최대채널출력변화(6170-6270FPD)=88,116,1
그림 3.2.1.다.2 시험기간의 최대번들출력변화(6170-6270FPD)=88,116,1
그림 3.2.1.다.3 시험기간의 최대리플변화(6180-6270FPD)=88,116,1
그림 3.2.1.다.4 시험기간의 최대잉여반응도변화=89,117,1
그림 3.2.2.가.1 CANDU 원전 출력 기동 절차=93,121,1
그림 3.2.2.가.2 월성 발전소 출력 증가 주요 단계도=94,122,1
그림 3.2.2.가.3 월성2호기 간이정비 후 출련 상승=95,123,1
그림 3.2.2.가.4 월성 원자력 발전소 계획 예방 정비 후 출력 상승=95,123,1
그림 3.2.2.가.5 캐나다 발전소의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에 따른 원자로 출력 한계=97,125,1
그림 3.2.2.가.6 캐나다 밭전소의 원자로 출력에 따른 채널 출력 한계=98,126,1
그림 3.2.2.가.7 캐나다 GentilIY-2 밭전소의 재기동 일정 사례=99,127,1
그림 3.2.2.가.8 원자로 기동을 위한 사전 Simulation 사례=100,128,1
그림 3.2.2.나-1 원자로 가동 정지후 핵분열생성물에 의한 반응포 변화-I=104,132,1
그림 3.2.2.나-2 원자로 가동 정지후 핵분열생성물에 의한 반응도 변화-II=104,132,1
그림 3.2.2.나-3 원자로 가동 정지후 핵분열생성물에 의한 반응도 변화-III=105,133,1
그림 3.2.2.나-4 원자로 가동 정지후 핵분열생성물에 의한 반응도 변화-IV=105,133,1
그림 3.2.2.나-5 월성 4호기 발전소의 재기동 사례=106,134,1
그림 3.2.2.나-6 월성 4호기 출력증가에 따른 핵분열물질에 의한 반응도 분석-I=107,135,1
그림 3.2.2.나-7 월성 4호기 풀력증가에 따른 핵분열물질에 의한 반응도'분석-II=107,135,1
그림 3.2.2.나-8 월성4호기 출혁증가에 따른 핵분열물질에 의한 반응도 분석-III=108,136,1
그림 3.2.2.다-1 핵연료 압력관 파단 사고 해석을 위한 Flow Chart (Without RRS)=127,155,1
그림 3.2.2.다-2 CATHENA 계동 모델링을 위한 노드=128,156,1
그림 3.2.2.다-3 압력관 파단 위치 및 파난 채널 모델깅을 위한 노드=129,157,1
그림 3.2.2.다-4 원자로 출력에 따른 06_mod 채널 출력 제한치=129,157,1
그림 3.2.2.다-5 월성 2호기의 감속재계통 개략도=130,158,1
그림 3.2.2.다-6 월성 2호기의 감속재계통 노드화=130,158,1
그림 3.2.2.다-7 출력변화 반복계산 추이 (75%FP,25mk)=131,159,1
그림 3.2.2.다-8 출력변화 반복계산 과정의 수렴오차 (75%FP,25mk)=131,159,1
그림 3.2.2.다-9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냉각재 방출유량 (65%FP)=132,160,1
그림 3.2.2.다-10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핵연료 피복관 온도 변차 (65%FP)=132,160,1
그림 3.2.2.다-11 65%FP 출력시 감속재 독물질에 따른 감속재로 열전달=133,161,1
그림 3.2.2.다-12 65%FP 출력시 감속재 독물질에 따른 갑속재 체적평균 온도=133,161,1
그림 3.2.2.다-13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변화 (65%FP)=134,162,1
그림 3.2.2.다-14 감속재 순도 변화 (65%FP)=134,162,1
그림 3.2.2.다-15 감속재 밀도 변화(65%FP)=135,163,1
그림 3.2.2.다-16 사고 진행에 따근 출력 변화(65%FP)=135,163,1
그림 3.2.2.다-17 감녹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렁각재 방출유량 (75%FP=136,164,1
그림 3.2.2.다-18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핵연료 피복관 온도 변화 (75%FP)=136,164,1
그림 3.2.2.다-19 75%FP 출력시 감녹재 독물질에 따른 갑속재로 열전달=137,165,1
그림 3.2.2.다-20 75%FP 출력시 감속재 독물짙에 따른 감속재 체적평균 온도=137,165,1
그림 3.2.2.다-21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변화(75%FP)=138,166,1
그림 3.2.2.다-22 감속재 순도 변화(75%FP)=138,166,1
그림 3.2.2.다-23 감속재 밀도 변화(75%FP)=139,167,1
그림 3.2.2.다-24 사고 진행에 따른 출력 변화(75%FP)=139,167,1
그림 3.2.2.다-25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냉각재 방출유량 (100%FP)=140,168,1
그림 3.2.2.다-26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핵연교 피복관 온도 변화 (100%FP)=140,168,1
그림 3.2.2.다-27 100%FP 출력시 감속재 독물질에 따른 감속재로 열전달=141,169,1
그림 3.2.2.다-28 100%FP짙에 따근 감속재 체적평균 온도(100%FP)=141,169,1
그림 3.2.2.다-29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변화(100%FP)=142,170,1
그림 3.2.2.다-30 감속재 순도 변화(100%FP)=142,170,1
그림 3.2.2.다-31 감속재 밑도 변화(100%FP)=143,171,1
그림 3.2.2.다-32 사고 진행에 따른 출력 변화(100%FP)=143,171,1
그림 3.2.2.다-33 원자로 출력에 따른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제한치=144,172,1
그림 3.2.2.라-1 핵연료 압력관 파단 사고 해석을 위한 Flow Chart (With RRS)=153,181,1
그림 3.2.2.라-2 보론 농도에 따근 반응도 변화=154,182,1
그림 3.2.2.라-3 감속재 밀도에 따른 반응도 변화=154,182,1
그림 3.2.2.라-4 감속재 순도에 따른 반응도 변화=155,183,1
그림 3.2.2.라-5 감속재 온도에 따른 반응도 변화=155,183,1
그림 3.2.2.라-6 ZCU 경수 준위에 따른 반응도 변화=156,184,1
그림 3.2.2.라-7 MCA 삽입에 따른 반응도 변화=156,184,1
그림 3.2.2.라-8 원자로조절계통 작동시 윈자로출력 변화(독물질 농도 30mk @ 75%FP)=157,185,1
그림 3.2.2.라-9 원자로조절계통 작동시 S13 채널 춘력 변화 (독물질 농도 30mk @ 75%FP)=157,185,1
그림 3.2.2.라-10 원자로조절계통 작동시 독물질 농도에 따른 핵연료 피복관 표면온도 변화 (75%FP)=158,186,1
그림 3.2.2.라-11 75% 출력시 감속재 독물질에 따른 감속재로 열전달=158,186,1
그림 3.2.2.라-12 75% 출력시 감속재 독물질에 따른 감녹재 체적평균 온도=159,187,1
그림 3.2.2.라-13 사고 진행에 따른 채널출력 변화-75%FP,30mk=160,188,1
그림 3.2.2.라-14 사고 진행에 따른 5-13 채널출릭 변화-75%FP,30mk=160,188,1
그림 3.2.2.라-15 원자로조절계통 작동시 원자로풀릭 변화 (독물질 공도 10mk@100%FP)=161,189,1
그림 3.2.2.라-16 원자로조절계통 작동시 원자로풀력 변화 (독물질 농도 15mk@100%FP)=161,189,1
그림 3.2.2.라-17 원자로조절계통 작동시 S13 채널 푼긱 변차 (독물질 농도 15mk㉧100%FP)=162,190,1
그림 3.2.2.라-18 원자로조절계통 작동시 독물질 농도에 따른 핵연료 피복환 표면온도 변화=162,190,1
그림 3.2.2.라-19 100% 출력시 감속재 독물질에 따른 감속재료 열전달=163,191,1
그림 3.2.2.라-20 100% 출력시 감속재 독물질에 따른 감속재 체적평균 온도=163,191,1
그림 3.2.2.라-21 사고 진행에 따픈 채널출력 변화-100%,10mk=164,192,1
그림 3.2.2.라-22 사고 진행에 따른 5-)3채널풀격 변화-100%,10mk=164,192,1
그림 3.2.2.라-23 사고 진행에 따른 채널출력 변화-100%,l5mk=165,193,1
그림 3.3.2.라-24 사고 진행에 따른 글-13채널출칙 변화-100%,15mk=165,193,1
그림 3.3.2.마-1 냉각재와 감속재치 순도차이에 따른 출력변화=168,196,1
그림 3.3.2.마-2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출력변화-1=168,196,1
그림 3.3.2.마-3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출력변화-2=169,197,1
그림 3.3.2.마-4 감속재 독물질 농도에 따른 출춘력변화-3=169,197,1
그림 3.3.2.마-5 냉각재와 감속재 순도차이(atom %)와 독물질 농도 상관관계=170,198,1
그림 3.3.2.마-6 냉각재와 감속재 순도차이(mass %)와 독물질 농도 상관관계=170,198,1
그림 3.3.2.바5-1 원자로 출력 증강 유형도=173,201,1
그림 3.2.1.바5-2 원자로 출력 상승에 따른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변화(EASE #1)=173,201,1
그림 3.2.2.바5-3 원자로 출력 상승에 라른 히대 채널/다발 출력 변화(CASE #1)=174,202,1
그림 3.2.2.바5-4 원자로 출력 상승에 따른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변화(CASE #2)=174,202,1
그림 3.2.2.바5-5 원자로 출력 상승에 따른 최대 채널/다발 출칙 변화(CASE #2)=175,203,1
그림 3.3.2.바5-6 윈자로 출력 상승에 따른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변화(CASE #3)=175,203,1
그림 3.2.2.바5-7 인자로 출격 상승에 따른 최대 채널/다발 출력 변화(EASE #3)=176,204,1
그림 3.2.2.바5-8 원자로 출력에 따근 감속재내 독물질 농도 변화(종합)=176,204,1
그림 3.2.3.가-1 최적운전 겉략 탐색 모듈 클래스 다이어그램=180,208,1
그림 3.2.4.가-1 성능시험 기간 중 Channel Power의 시간별 추이=181,209,1
그림 3.2.4.가-2 성능시험 기간 중 Average Exit Burnup의 시간별 추이=182,210,1
그림 3.2.4.가-3 성능시험 기간 중 Channel Temperature의 시간별 추이=182,210,1
그림 3.2.5.가-1 Jll 교체 중 Maximum Channel Powers=184,212,1
그림 3.2.5.가-2 Jll 교체 중 오차 평가=184,212,1
그림 3.3.1.나-1 Client의 채널이력조회 그래프작성 UI=188,216,1
그림 3.3.2.나-1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1/8 교체시,월성1호기 이력자료)=200,228,1
그림 3.3.2.나-2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2/9 교체시,월성1호기 이력자료)=200,228,1
그림 3.3.2.나-3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3/10 교체시,월성1호기 이력자료)=200,228,1
그림 3.3.2.나-4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4/11 교체시,월성1호기 이력자료)=201,229,1
그림 3.3.2.나-5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5/12 친체시,월성1호기 이력자료)=201,229,1
그림 3.3.2.나-6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6/13 교체시,월성1호기 이력자료)=201,229,1
그림 3.3.2.나-7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BONE7/14 교체시,월성1호기 이력자료)=202,230,1
그림 3.3.2.다-1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1/8 교체시,Gentilly-2 경험자료)=209,237,1
그림 3.3.2.다-2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2/9 교체시,Gentilly-2 경험자료)=209,237,1
그림 3.3.2.다-3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3/10 교체시,GentilIY 경험자료)=209,237,1
그림 3.3.2.다-4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4/11 교체시,Gentilly 경험자료)=210,238,1
그림 3.3.2.다-5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5/12 교체시,Gentilly 경험자료)=210,238,1
그림 3.3.2.다-6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6/13 교체시,Gentilly 경험자료)=210,238,1
그림 3.3.2.다-7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7/14 교체시,Gentilly 경험자료)=211,239,1
그림 3.3.2.라-1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1/8 교체시,TA)=218,246,1
그림 3.3.2.라-2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2/9 교체시,TA)=218,246,1
그림 3.3.2.라-3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3/10 교체시,TA)=218,246,1
그림 3.3.2.라-4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BONE4/11 교체시,TA)=219,247,1
그림 3.3.2.라-5 측정 zone별 LBC 수위변화(ZONE5/12 교체시,TA)=219,247,1
그림 3.3.2.라-6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6/13 교체시,TA)=219,247,1
그림 3.3.2.라-7 측정 zone별 LZC 수위변화(ZONE7/14 교체시,TA)=220,248,1
그림 3.3.2.라-8 LZC 수위변화 비교(Zonel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2,250,1
그림 3.3.2.라-9 LZC 수위변화 비교(Zone2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2,250,1
그림 3.3.2.라-10 LZC 수위변화 비교(Zone3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3,251,1
그림 3.3.2.라-11 LZC 수위변화 비교(Zone4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3,251,1
그림 3.3.2.라-12 LZC 수위변화 비교(Zone5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3,251,1
그림 3.3.2.라-13 LZC 수위변화 비교(Bone6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4,252,1
그림 3.3.2.라-14 LZC 수위변화 비교(Bone7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4,252,1
그림 3.3.2.라-15 LZC 수위변화 비교(Bone8에 대해,월성 이릭,G2,TA 수정)=224,252,1
그림 3.3.2.라-16 LZC 수위변화 비교(Zone9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5,253,1
그림 3.3.2.라-17 LZC 수위변화 비교(Zone10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5,253,1
그림 3.3.2.라-18 LZC 수위변화 비교(Zone11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5,253,1
그림 3.3.2.라-19 LZC 수위변화 비교(Zone12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6,254,1
그림 3.3.2.라-20 LZC 수위변화 비교(Zone13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6,254,1
그림 3.3.2.라-21 LZC 수위변화 비교(Zone14에 대해,월성이력,G2,TA 수정)=226,254,1
그림 3.3.2.라-22 측정zone별 LZC 수위변화 채널 맵(월성1호기 이력자료 및 TA수행결과)=228,256,1
그림 3.3.2.마-1 Zone 1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1,259,1
그림 3.3.2.마-2 Zone 2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2,260,1
그림 3.3.2.마-3 Zone 3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2,260,1
그림 3.3.2.마-4 Zone 4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3,261,1
그림 3.3.2.마-5 Zone 5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3,261,1
그림 3.3.2.마-6 Zone 6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4,262,1
그림 3.3.2.마-7 Zone 7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4,262,1
그림 3.3.2.마-8 Zone 8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4,262,1
그림 3.3.2.마-9 Zone 9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5,263,1
그림 3.3.2.마-10 Zone 10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5,263,1
그림 3.3.2.마-11 Zone 11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5,263,1
그림 3.3.2.마-12 Zone 12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6,264,1
그림 3.3.2.마-13 Zone 13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6,264,1
그림 3.3.2.마-14 Zone 14에 속한 채넉 교체시 LZC 수위변화=236,264,1
그림 3.3.3.가-1 통합시스템 구성=238,266,1
그림 3.3.3.가-2 통합시스템의 주요 모듈 구성=239,267,1
그림 3.3.3.나-1 최적 교체채널 선정모듈 UI=240,268,1
그림 3.3.3.나-2 Sequential Rule에 의한 선정 결과 UI=240,268,1
그림 3.3.3.나-3 출력준위별 독물질 농도 제한치=240,268,1
그림 3.3.3.나-4 조절봉 위치에 따른 출력물질 제한치=241,269,1
그림 3.3.3.나-5 출력군위별 최대 채널 출력 제한치=241,269,1
그림 3.3.3.나-6 Rating Function 조정 UI=242,270,1
그림 3.3.3.다-1 Rating function #7:Increase of reactivity on refueling=243,271,1
그림 3.3.3.다-2 Rating function #8:Priority for channels with high exit burnup=243,271,1
그림 3.4.1.가-1 Chemometrics의 개념도=246,274,1
그림 3.4.1.가-2 PLS법의 개략도=246,274,1
그림 3.4.1.가-3 PLS법으로 구한검량선을 이용한 중수농도의 예측=247,275,1
그림 3.4.2.가-1 증류수와순수 중수의 single beam 스펙트럼=248,276,1
그림 3.4.2.가-2 % 레벨 중수시료의 중수 피크와 중수의 농도와의 관계=248,276,1
그림 3.4.2.가-3 % 래벨 중수시료의 중수 피크의 면적과 종수의 농도와의 관계=249,277,1
그림 3.4.2.가-4 검량선 도출에 사용된 19개 ppm레벌 중수시료치 퍽외선 흡수 스펙트럼=250,278,1
그림 3.4.2.가-5 검량선 제도에 사용된 19개 시료의 중수 피크 면적과 농도와의 관계=250,278,1
그림 3.4.2.가-6 실험에 이용된 중수 시료의 농도와 중수 피 면적으로터 구한 농도와의 관계=251,279,1
그림 3.4.2.가-7 Flow Cell 개념도=251,279,1
그림 3.4.2.가-8 Flow system에서의 4개 중수 시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252,280,1
그림 3.4.2.가-9 Flow System에서의 중수농도의 질랑분석에 의한 값과 중수피크면적에 의한 값과의 비교=253,281,1
그림 3.4.2.나-1 중수누설 감지 제어시스템 구성도=254,282,1
그림 3.4.2.나-2 시료전처처리 챔버(Bubbler)=255,283,1
그림 3.4.2.나-3 마이크로웨이브 노즐형(WR284,) 챔버내 진기장 세기분포(TE10모드)=256,284,1
그림 3.4.2.나-4 대기압 상태에서의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스마 방전사진=257,285,1
그림 3.4.2.나-5 HFSS (High Freauency Structure Simulator) code의 계산 결과=259,287,1
그림 3.4.2.나-6 TFT(Tangential Flow Torch) and LFT(LaminarFlow Torch)=260,288,1
그림 3.4.1.나-7 Micro-nozz)e tyfe plasma torch=260,288,1
그림 3.4.2.나-8 micro-nozzle 플라스마 토치의 S Matrix data=261,289,1
그림 3.4.2.나-9 중수누설 온라인 감시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262,290,1
그림 3.4.2.나-10 제어 시스템의 추성도=263,291,1
그림 3.4.2.나-11 PLC 통신 개념도=265,293,1
그림 3.4.2.나-12 중수누설 감지 제어시스템 구성화면=266,294,1
그림 3.4.2.나-13 Faraday cup에 의한 질량분석=270,298,1
그림 3.4.2.나-14 SEM(Secondary Electron Multiplier)에 의한 질량분석=271,299,1
그림 3.4.2.나-15 중수 농도 변차 측정 (3 amu,1000 ppm)=272,300,1
그림 3.4.2.나-16 중수 농도 변화 측정 (18 amu,1000 ppm)=272,300,1
그림 3.4.2.나-17 중수 농도 변화 측정 (HD,1000 ppm)=273,301,1
그림 3.4.2.나-18 중수 농도 변화 측정 (21 amu,1000 ppm)=273,301,1
그림 3.4.2.나-19 중수 농도 변화 측정(3 amu,200 ppm)=274,302,1
그림 3.4.2.나-20 중수 릉도 변화 측정(18 amu,200 ppm)=274,302,1
그림 3.4.2.나-21 중수 농도 변촤 측정(3 amu,100 ppm)=275,303,1
그림 3.4.2.나-22 중수 농도 변화 측정(18 amu,100 ppm)=275,303,1
그림 3.4.2.나-23 중수 농도별 변화 측정=276,304,1
그림 3.4.2.나-24 중수 농도별 변화 측정(HD/H20)=277,305,1
그림 3.4.2.나-25 Liquid inlet 사용시 변화 측정=278,306,1
그림 3.4.2.나-26 Liquid inlet 사용 : 공기 노출=279,307,1
그림 3.4.2.나-27 Llquid inlet 사용 resp()nse time 1=280,308,1
그림 3.4.2.나-28 Liquid inlet 사용 : response time 2=280,308,1
그림 3.4.2.나-29 질량분석기의 신호안정성 (good crndition)=281,309,1
그림 3.4.2.나-30 데이터 피팅 후 질량분석기의 신호안정성=282,310,1
그림 3.4.2.나-31 데이터 피팅에 의한 신호 변화=282,310,1
그림 3.4.3-1 원성 2호기의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한 중수누설 시스템 감시 도면=283,311,1
그림 3.4.3-2 월성 3호기에 설치된 중수누설 감시장치=284,312,1
그림 3.5.1-1 pH에 따른 탄산,중탄산이온,탄산이온의 분배=287,315,1
그림 3.5.3.가-1 염소이온,황산이온 및 중탄산이온의 농도와 전기전도도의 관계=292,320,1
그림 3.5.3.나-1 염소형 음이온친환수지를 사용한 중탄산이온 전환 실험장치의 개략도=302,330,1
그림 3.5.3.나-2 양이온-음이온 칼럼배치에서 염소형 음이온친환수지의 Type에 따른 중탄산이온 전환 특성=305,333,1
그림 3.5.3.나-3 양이온-음이온 칼럼배치에서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입자크기에 따른 중탄산이온 전환특성=307,335,1
그림 3.5.3.나-4 양이온-음이온 칼럼배치에서 유속에 따른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중탄산이온 전환 특성=308,336,1
그림 3.5.3.나-5 음이온-양이온 칼럼배치에서 유속에 따른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중탄산이온 전환 특성=309,337,1
그림 3.5.3.나-6 혼합수지칼럼에서 유속에 따른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중탄산이온 진환특성=310,338,1
그림 3.5.3.나-7 양이온-음이온 칼럼배치에서 온도에 따른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중탄산이온 전환 특성=311,339,1
그림 3.5.3.나-15 양이온-음이온 칼럽배치에서 여러 가지 음이온에 대한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염소이온 전환특성=317,345,1
그림 3.5.3.나-16 양이온-음이온 칼럼배피에서 여러 가지 음이온에 대한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염소이온 전환특성=318,346,1
그림 3.5.3.나-17 음이온-양이온 칼럼배치에서 여러 가지 화합물의 이온전환 전 후의 전기전도도 변화=319,347,1
그림 3.5.3.나-18 양이온-음이온 칼힘배치에서 여러 가지 화합물의 이온진환 전 후의 전기전도도 변화=320,348,1
그림 3.5.3.나-19 양이온-음이온 칼럼배치에서 중탄산이온 농도에 따픈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의 염소 이온 전환 특성=321,349,1
그림 3.5.3.나-20 칼럼구성에 따른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중탄산이온의 염소이온전환 특성=322,350,1
그림 3.5.3.나-21 나트륨형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 중탄산이온의 염소이온전환 성능향상 시험장치의 구성=325,353,1
그림 3.5.3.나-22 나트륨형 양이온교환수지 칼펌의 단독 사용시의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중탄 산이온의 염소이온전환 특성=326,354,1
그림 3.5.3.나-23 나트륨형 양이온친환수지와 염소혈 음이온교환수지의 혼합사용시의 중탄산이온의 염소이온 전환 특성=328,356,1
그림 3.5.3.나-24 나트률형 양이온친환수지와 염소형 음이온교환수지치 혼합사용시 중탄산이온 농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329,357,1
그림 3.5.3.나-25 나트륨형 양이온친환수지와 염소혈 음이온교환수지의 혼합사용시 중탄산이온 농도와 전기전도도와의 관계=330,358,1
그림 3.5.4.가-1 중수 정화계통 이온교환수지탑의 이온누출 특성 및 검출 실험장치의 구성=331,359,1
그림 3.5.4.가-2 중수 정화계통 이온교환수지탑의 이온누출 특성 및 검출 실험장치 사진=332,360,1
그림 3.5.5.다-1 중수 정화계통 이온교환수지탑의 이온누출 및 검춘 특성 실험결과=334,362,1
그림 3.5.5.가-1 모델 모식도=338,366,1
그림 3.5.5.다-1 모델에 의해 계산된 탄산 및 중탄산이온의 농도와 측펑된 용해 carbon-14의 농도=344,372,1
그림 3.5.5.다-2개발한 이온교환수지탑 예측 모델의 데이터 입력 화면=346,374,1
그림 3.6.2.다-1 현장 설치 시 ChemMED (ChemAND)의 쿠성의 예=359,387,1
그림 3.6.2.다-2 ChemMED의 status panel=362,390,1
그림 3.6.2.다-3 그림 2의 감시패널상의 Steam Cycle 라벨을 클릭 했을 때 나타나게 되는 알람리스트 화면=362,390,1
그림 3.6.2.다-4 ChemMD의 계통 선택 화면=364,392,1
그림 3.6.2.다-5 ChemMED의 계통화면=364,392,1
그림 3.6.2.다-6 EhemMED problem- or function-based 표시화면의 설명=365,393,1
그림 3.6.2.다-7 EhemMED의 기능별 화학항목의 표시화면의 예=365,393,1
그림 3.6.2.다-8 EhemMED 버전 1.7의 보고서 기능의 예=366,394,1
그림 3.6.3-1 ChemSolv's 'Calculate Steam Cycle Chemistry'Window=368,396,1
그림 3.6.3-2 ChemSolv's'Calculate Crevice Chemistry from Blowdown'Window=369,397,1
그림 3.6.3-3 Monitor Sludge Loading Display=369,397,1
그림 3.6.3-4 Cutting Planes Used By Tecplot to Create Sludge Concentration=370,398,1
그림 3.6.3-5 Example of Sludge Concentration in Water Plot Uslng a Y Cutting Plane=371,399,1
그림 3.6.3-6 Example of Sludge Concentration in Water plot Ysing a Z Gutting Plane=372,400,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