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최종보고서/윤석권=0,2,1
제출문=1,3,2
요약문=3,5,8
SUMMARY=11,13,8
CONTENTS(영문목차)=19,21,6
목차=25,27,6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31,33,6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37,39,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9,41,1
제1절. 자외선 조사(照射)를 통한 버섯류의 비타민 D 증감기술개발=39,41,1
1. 서설=39,41,2
2. 재료 및 방법=40,42,1
가. 자외선 조사(照射)에 적합한 버섯 종류 선발=40,42,2
나. 표고버섯 재배시 자외선 조사 실시=41,43,2
다. 표고버섯 수확 후 자외선 조사 방법 확립=42,44,1
라. 느타리버섯 수확 후 자외선 처리방법=43,45,1
마. 버섯재배 과정 중 염화칼슘(CaCl₂) 처리방법=43,45,2
바. 병원균 발생 및 예방을 위한 자외선 처리=44,46,1
사. 열풍건조시 자외선 조사에 의한 표고 품질 향상=44,46,3
아. 표고버섯 자외선 조사 기기 제작=46,48,1
자. 자외선 조사 기기 이용에 관한 농가 반응 조사=46,48,1
3. 결과 및 고찰=46,48,1
가. 버섯에 자외선 조사 실시=46,48,7
나. 표고버섯 재배시 자외선 최적 조사조건 확립=52,54,3
다. 표고버섯 수확 후 최적 조사 조건 확립=54,56,2
라. 느타리버섯 수확 후 자외선 처리영향=56,58,2
마. 버섯재배 과정 중 염화칼슘(CaCl₂) 처리효과=58,60,2
바. 자외선 처리가 병원균 발생 및 예방효과=60,62,2
사. 열풍건조시 자외선 조사에 의한 표고 품질 향상=61,63,5
아. 표고버섯 자외선 조사 기기 개발 및 그 효율성 조사=65,67,5
자/차. 자외선 조사 기기 이용에 관한 농가 조사=69,71,2
4. 참고문헌=71,73,2
제2절 자외선 B파 조사가 버섯류의 비타민 D₂및 품절특성에 미치는 영향=73,75,1
1. 서설=73,75,2
2. 재료 및 방법=74,76,1
가. 실험 재료=74,76,1
나. 실험 방법=74,76,1
1) 수분함량 측정=74,76,2
2) 비타민 D₂ 추출 및 측정=75,77,1
3) 비타민 B₂ 추출 및 측정=75,77,2
4) 버섯류 재배시 자외선 B파 조사에 따른 비타민 D₂ 함량 변화 측정=76,78,1
5) 재배 시기별 자외선 B파가 조사된 표고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 측정=76,78,1
6) 수확 후 자외선 B파가 조사된 표고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 측정=77,79,1
가) 자외선 B파 조사 부위를 달리한 표고버섯의 비타민 D₂ 생성을 비교 실험=77,79,1
나)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표고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 측정=77,79,1
7) 재배 시기별 자외선 B파가 조사된 느타리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 측정=77,79,1
8) 수확 후 자외선 B파가 조사된 느타리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 측정=77,79,1
9) 열풍건조와 자외선 B파 조사시기를 달리한 표고버섯의 비타민 D₂ 함량 측정=77,79,2
10) 천일 건조 버섯의 비타민 D₂ 생성 효율 측정=78,80,1
11) 염화칼슘(CaCl₂) 용액으로 관수된 버섯의 Ca 함량 측정=78,80,1
12) 자외선 B파 조사 버섯의 저장 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 분석=78,80,1
가) 표고버섯=78,80,1
(1)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색도 변화=78,80,2
(2) 저장 기간에 따른 색도 변화=79,81,1
나) 느타리버섯=79,81,1
(1)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색도 변화=79,81,1
(2) 저장 기간에 따른 색도 변화=79,81,1
13) 자외선 조사 버섯의 냄새 측정=79,81,1
가) 자외선 B파가 조사량에 따른 표고버섯의 냄새 측정=79,81,2
나)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다른 느타리버섯의 냄새 측정=80,82,1
14) 자외선 조사가 효율 측정=80,82,1
15) 비타민D₂ 버섯의 경쟁력분석=80,82,1
3. 결과 및 고찰=81,83,1
가. 버섯류 재배시 자외선 조사에 따른 비타민 D₂ 함량 변화=81,83,1
1) 느타리 버섯=81,83,1
2) 양송이 버섯=82,84,1
3) 표고 버섯=83,85,1
나. 재배 시기별 자외선 B파가 조사된 표고 버섯의 비타민D₂ 및 B₂ 함량 측정=84,86,3
다. 수확 후 자외선 B파가 조사된 표고 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변화=86,88,1
1) 자외선 B파 조사 부위를 달리한 표고버섯의 비타민 D₂ 생성율=86,88,3
2)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표고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88,90,3
라. 재배 시기별 자외선 B파가 조사된 느타리 버섯의 비타민 D₂ 및 B₂ 함량 변화=90,92,3
마. 수확 후 자외선이 조사된 느타리버섯의 비타민 D 및 B 함량 면화=93,95,1
바 열풍건조시 자외선 B파 조사시기를 달리한 표고 버섯의 비타민 D₂ 함량 변화=94,96,2
사. 천일 건조 표고 버섯의 비타민 D₂ 함량 변화=95,97,1
아. 천일건조,열풍건조,열풍건조시 자외선 B파가 조사된 표고 버섯의 비타민 및 B₂와 D₂ 함량 비교=96,98,1
자. CaCl₂ 처리버섯의 Ca 함량 변화=97,99,2
차. 자외선 B파 조사량 및 버섯의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변화=98,100,1
1)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표고버섯의 색도 변화=98,100,1
2) 저장 기간에 따른 자외선 B파가 조사된 표고버섯의 색도 변화=99,101,1
3)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색도 변화=99,101,2
4) 저장 기간에 따른 자외선 B파가 조사된 느타리버섯의 색도 변화=100,102,1
카. 자외선 B파 조사 버섯의 냄새 변화=101,103,1
1)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표고버섯의 냄새 변화=101,103,6
2) 자외선 B파 조사량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냄새 변화=107,109,3
타. 자외선 B파 조사기 효율=110,112,1
파. 비타민 D₂ 버섯의 경제성(건조 표고버섯을 중심으로)=110,112,3
1) 자연건조와 열풍건조의 비교=112,114,2
2) 자외선 B파가 조사된 표고버섯의 경쟁력=113,115,2
4. 참고문헌=114,116,3
제3절 비타민 D 강화 버섯의 유용성조사 및 소비증대방안 모색=117,119,1
1. 버섯요리 recipe 개발을 위한 예비 조사=117,119,1
가. 서론=117,119,2
나. 조사대상 및 방법=118,120,3
다. 결과 및 고찰=120,122,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120,122,2
2) 버섯의 선호도=121,123,5
3) 버섯의 비타민 D 급원식품으로서의 지식수준=126,128,5
4) 음식의 특성에 대한 인식=130,132,6
라. 요약 및 결론=136,138,2
2. 버섯의 품질 특성 유지를 위한 최적 조리조건의 수립=138,140,1
가. 서론=138,140,2
나. 실험 재료 및 방법=139,141,4
다. 결과 및 고찰=142,144,7
라. 요약 및 결론=148,150,2
3. 한국인 상용식품의 비타민 D 함량 데이터 베이스 구축=150,152,1
가. 한국인 상용식품의 비타민 D 함량 측정 및=150,152,1
1) 서론=150,152,1
2) 실험재료 및 방법=150,152,2
3) 한국인 상용식품의 비타민 D 함량=152,154,3
나. 버섯 및 식품중의 비타민 D 함량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웹 어플리케이션)=155,157,1
1) 서론=155,157,1
2) 연구방법=155,157,2
3) 사이버컨텐츠=157,159,25
4. 대량급식용 버섯요리 recipe 개발:한국형 건강편의식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182,184,37
5. 비타민 D 강화버섯의 대량소비증대 방안 모색(버섯이용 제품의 산업화 적정성 타진)=219,221,1
가. 일반인 대상의 한국형 건강편의식 개발:기능성메밀냉면의 제조=219,221,11
나. 개발된 일반인 대상의 한국형 건강 편의식의 미생물적 품질관리 기준=230,232,1
1) 서론=230,232,1
2) 재료 및 방법=231,233,2
3) 실험결과 및 고찰=232,234,1
가) 냉장저장중 버섯냉면의 미생물적 및 관능적 품질 변화=232,234,2
나) 냉동저장중 냉면의 미생물적 및 관능적 품질 변화=234,236,3
4) 요약 및 결론=237,239,1
6. 식이조절이 필요한 환자 대상의 치료식 소재로의 활용 검토=237,239,12
7. 참고문헌=248,250,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253,255,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55,257,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해당 사항 없음=257,259,1
제7장 참고문헌=257,259,3
목차
[title page etc.]=0,1,20
CONTENTS=19,21,12
Chapter I. General Introduction=31,33,6
Chapter II. Technology Development=37,39,2
Chapter III. Materials and Methods/Results and Discussions=39,41,1
Section I. Increasing method of Vitamin D in mushrooms by ultraviolet (UV) irradiation=39,41,1
1. Introduction=39,41,2
2. Meterials and methods=40,42,1
A. U.V. light irradiation on the mushroom=40,42,2
B. U.V light irradiation on the Lentinula edodes=41,43,2
C. Method of U.V light after harvest of L. edodes=42,44,1
D. Method of U.V. light after harvest of P. ostreatus=43,45,1
E. Treatment of calcium chloride=43,45,2
F. Control on diseases through CaCl₂ treatment=44,46,1
G. Effect of U.V. light on the L. edodes=44,46,3
H. Round rotation type machine for U.V. lighter=46,48,1
I. Use response of farmers for U.V. light equipment=46,48,1
3. Results and discussion=46,48,1
A. U.V. light irradiation on the mushroom=46,48,7
B. U.V light irradiation on the Lentinula edodes=52,54,3
C. Method of U.V. light irradiation on post harvest of L. edodes=54,56,2
D. Method of U V light irradiation on post harvest of P. ostreatus=56,58,2
E. Treatment of calcium chloride=58,60,2
F. Control on diseases through of U.V. light=60,62,2
G. Effect of U.V light on the L. edodes=61,63,5
H. Round rotation type machine for U.V lighter=65,67,5
I. Use response of farmer for U.V. light machine=69,71,2
4. Reference=71,73,2
Section 2. Study on the effect of UV-B irrdiation on the content of vitamin D₂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mushrooms=73,75,1
1. Introduction=73,75,2
2. Materials and Methods=74,76,1
A. Materials=74,76,1
B. Methods=74,76,1
1) Water content=74,76,2
2) Vitamin D₂ assay=75,77,1
3) Vitamin B₂ assay=75,77,2
4) Selecting the proper mushroom for UV-B irradiation=76,78,1
5) Measuring the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 of UV-B irradiated on the Lentinus edodes during cultivation=76,78,1
6) Measuring the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 of UV-B irradiated on the Lentinus edodes after harvest=77,79,1
7) Measuring the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 of UV-B irradiated on the Pleutous ostreatus during cultivation=77,79,1
8) Measuring the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 of UV-B irradiated on the Pleutous ostreatus after harvest=77,79,1
9) Measuring tile vitamin D₂ content of hot all dried and UV-B irradiated on the Lentinus edodes=77,79,2
10) Measuring the vitamin D₂ content of sunlight dried Lentinus edodes=78,80,1
11) Measuring the calcium concentration of mushroom with CaCl₂ treated irradiation=78,80,1
12) Color measurement of UV-B irradiated mushrooms=78,80,2
13) Odor measurement of UV-B irradiated mushrooms=79,81,2
14)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UV-B irradiation machine=80,82,1
15) Analysis of economic competitiveness of UV-B irradiated mushroom=80,82,1
3. Results and Discussion=81,83,1
A. Vitamin D₂ content of UV-B irradiated mushrooms=81,83,1
1) Pleutous ostreatus=81,83,1
2) Agaricus bisporus=82,84,1
3) Lentinus edodes=83,85,1
B.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s of Lentinus edodes with UV-B irradiation during cultivation=84,86,3
C.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s of Pleutous edodes with UV-B irradiation after harvest=86,88,5
D.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s of Pleutous ostreatus with UV-B irradiation during cultivation=90,92,3
E. Vitamin D₂ and B₂ contents of Pleutous ostreatus with UV-B irradiation after harvest=93,95,1
F. The effect of hot air drying on the vitamin D₂ content of Lentinus edodes in conjunction with variations in UV-B irradiation starting time=94,96,2
G. Vitamin D₂ content of sunlight dried Lentinus edodes=95,97,1
H. Comparison among the vitamin D₂ contents of sunlight dried,hot air dried & UV-B irradiated Lentinus edodes=96,98,1
I. Ca concentraion of CaCl₂ treated irradiated mushrooms=97,99,2
J. Color profile of UV-B irradiated mushrooms=98,100,4
K. Odor profile of UV-B irradiated mushrooms=101,103,9
L. Efficiency of UV-B irradiation machine=110,112,1
M. Competitiveness of UV-B irradiated mushroom=110,112,5
4. References=114,116,3
Section 3.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mushroom fortified vitamin D and search for drawing up a device of increase of its consumption=117,119,1
1.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the perception of mushrooms and mushroom dishes among Korean=117,119,1
A. Introduction=117,119,2
B. Materials and methods=118,120,3
C. Results and discussion=120,122,1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120,122,2
2) Mushroom preference affected by several variables of subjects=121,123,5
3) Nutrition knowledge on mushroom=126,128,5
4) Perception level of characteristics of main dishes affected by several factors=130,132,6
D. Summary and conclusions=136,138,2
2. The changes of vit D₂ (ergocalciferol) and vit B₂ (riboflavin) contents affect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d cooking methods of mushrooms=138,140,1
A. Introduction=138,140,2
B. Materials and methods=139,141,4
C. Results and discussion=142,144,7
D. Summary and conclusions=148,150,2
3. Construction of data base concerned about vitamin D nutritient=150,152,1
A. Vitamin D content of Korean common foods=150,152,5
B. Cyber contents of web application concerning about vitamin D nutritient(temporary site : http://my.dreamwiz.com/spadehee/food/main.html)=155,157,27
4. The development of mushroom dish recipes for household and quantity food cooking=182,184,37
5. Search for drawing up a device of increase of its consumption=219,221,1
A. The development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mushroom dishes cooked buckwheat cold noodles=219,221,11
B. Change in bacterial count of cooked buckwheat cold noodles kept in cold or frozen conditions=230,232,8
6. Development of therapeutic for high calcium or low fat and high protein diet=237,239,12
7. Reference=248,250,5
Chapter IV. Achievements/Contributions=253,255,2
Chapter V. Applications of the Research=255,257,2
Chapter VI. Overseas Scientific Information through the Research=257,259,1
Chapter VII. References=257,259,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