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8
Summary=ix,11,3
제목차례=xii,14,3
표차례=xv,17,4
그림차례=xix,21,4
CONTENTS=xxiii,25,1
제1장 서론=1,26,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26,1
1. 연구의 배경=1,26,1
2. 연구의 목적=1,26,2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2,27,1
1. 연구 추진 방법=2,27,2
2. 연구의 범위=3,28,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현황=5,30,1
제1절 고속도로 돌발상황 관리시스템=5,30,1
1. 돌발상황의 정의 및 유형 구분=5,30,2
2. 돌발상황으로 인한 교통영향=7,32,2
3. 돌발상황관리의 목표 및 정의=8,33,4
4. 돌발상황 관리과정=11,36,5
제2절 국내ㆍ외 돌발상황 관리시스템 운영현황=15,40,1
1. 천안논산고속도로=15,40,2
2. 서울도시고속도로=16,41,8
3. 인천 국제공항고속도로=24,49,4
4. 미국의 돌발상황관리 시스템=28,53,13
5. 일본의 돌발상황관리시스템=41,66,15
6. 돌발상황 관리 효과=56,81,1
제3절 한국도로공사 돌발상황관리시스템=57,82,1
1. 한국도로공사 현황=57,82,1
2. 한국도로공사 시스템 운영 현황=57,82,10
3. 돌발상황 관리과정=66,91,8
4. 특별상황 교통관리=73,98,2
5. 돌발상황 관련 조직 구성=74,99,4
6. 고속도로 돌발상황 현황=77,102,3
제4절 구성요소별 알고리즘 개발현황=80,105,1
1. 돌발상황 검지 알고리즘=80,105,18
2. 돌발상황 대응 및 조치=98,123,20
3. 돌발상황 지체시간 예측=117,142,7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124,149,1
제1절 돌발상황 관리시스템 요구사항 분석=124,149,1
1. 기존 요소기술 문제점 분석=124,149,8
2. 돌발상황 관리시스템 요구사항 분석=131,156,15
제2절 고속도로 돌발상황 관리시스템 평가 DB 구축=146,171,1
1. 고속도로 교통 DB 분석=146,171,3
2. 자료수집시 고려사항=148,173,3
3. 검지기 현황=150,175,4
4. 검지기 상태 검증=153,178,2
5. 검지기 현황자료 분석결과=154,179,2
6. 분석대상구간 선정=155,180,2
7. 분석대상구간 자료처리과정=156,181,5
8. 교통류 분석자료 수집 구간=160,185,3
제3절 교통류 특성 분석=163,188,1
1. 교통류 특성=163,188,4
2. 검지기 종류별 교통변수의 차이=166,191,2
3. 집계간격에 의한 교통류 특성=168,193,1
4. 돌발상황 교통류 분석=169,194,5
5. 시뮬레이션 교통류 분석=173,198,6
제4절 운영중인 검지 알고리즘 평가=179,204,1
1. 평가방법 및 시나리오=179,204,3
2. 평가대상구간 선정 및 돌발유형 분류=181,206,4
3. 고속도로 알고리즘 수행성능 평가=184,209,4
4. 파라미터 보정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188,213,5
5. 시나리오별 알고리즘 세부평가=192,217,21
6. 시뮬레이션 자료를 이용한 알고리즘의 평가=212,237,10
7. 알고리즘 평가 및 개발방향=222,247,6
제5절 돌발상황 발생예측=228,253,1
1. 개요=228,253,3
2. 방법론=230,255,5
제6절 돌발상황지속시간의 예측=235,260,1
1. 돌발상황지속시간의 개요=235,260,2
2. 고속도로 돌발상황지속시간 분석=236,261,4
3. 돌발상황 지속시간 관련 국내외 연구사례=240,265,12
4. 돌발상황지속시간 방법론=251,276,7
5. 돌발상황으로 인한 지체시간의 예측=257,282,14
제7절 돌발상황 대응 및 처리기법 기초연구=271,296,1
1. 돌발상황 정보수집 및 정보제공 개선기법=271,296,5
2. 돌발상황관리 집중대상구간 선정기법 개발=275,300,6
3. 돌발상황 대응매뉴얼의 체계화=280,305,6
4. 돌발상황관리 요소기술 평가기법 기초연구=286,311,12
5. 돌발상황으로 인한 교통영향 예측시스템 적용=298,323,6
6. 돌발상황 관련기관 공동대응을 위한 기법 기초연구=303,328,4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307,332,1
제1절 연구 개발 목표 달성도=307,332,3
제2절 대외 기여도=310,335,2
제5장 연구개발 활용계획 및 향후 계획=312,337,1
제1절 연구개발 활용계획=312,337,3
제2절 향후 연구개발 계획=314,339,2
제6장 참고문헌=316,341,3
부록=319,344,17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24
CONTENTS=xxiii,25,1
Chapter 1. fnlrodttction=1,26,1
1. Problem Statement and Research Obiectives=1,26,2
2. Framework of Study=2,27,3
Chapter 2. Previous Sudies and Activities=5,30,1
1. Incident Management System=5,30,11
2. IMS Opearations Review=15,40,42
3. IMS Korea Highway Corporation=57,82,23
4. Literature Review IMS Components=80,105,44
Chapter 3. Integrated Inident Management System=124,149,1
1. Requirement of IMS=124,149,22
2. Database Develoment for IMS=146,171,17
3. Flow Analysis under Incident=163,188,16
4. Evaluation Existing Incident Detection Azgorithms=179,204,49
5. Estimation Incident Probability=228,253,7
6. Incident Duration Modeling=235,260,36
7. Incident Response and Clearance=271,296,36
Chapter 4. Achievement and Contribution=307,332,5
Chapter 5. Further Studies and Applications=312,337,4
Chapter 6. References=316,341,3
Appendix=319,344,17
[그림 2-1] 돌발상황관리의 목표=9,34,1
[그림 2-2] 고속도로 돌발상황 진행과정=9,34,1
[그림 2-3] 돌발상황관리의 의사결정과정=10,35,1
[그림 2-4] 수동에 의한 검지절차=11,36,1
[그림 2-5] 자동검지알고리즘에 의한 검지절차=12,37,1
[그림 2-6] Caltrans District12의 돌발상황관리계획=28,53,1
[그림 2-7] Los Angeles TMC 돌발상황관리체계도=40,65,1
[그림 2-8] 시뮬레이션에 의한 우회제어 효과 검토의 흐름도=41,66,1
[그럼 2-9] 사고처리 flow=50,75,1
[그림 2-10] 고장차처리 flow=53,78,1
[그림 2-11] 낙하물처리 flow=54,79,1
[그림 2-12] 일본 한신고속도로의 돌발상황 대응방안 흐름도=55,80,1
[그림 2-13] 한국도로공사 기구표=57,82,1
[그림 2-14] FTMS 현장설비=61,86,1
[그림 2-15] FTMS 운영 S/W에의한 데이터 흐름도=63,88,1
[그림 2-16] 한국도로공사 자동돌발상황검지 및 정보전달 구조=64,89,1
[그림 2-17] 긴급전화 시스템 구성도=66,91,1
[그림 2-18] 돌발상황 발생시 처리절차=66,91,1
[그림 2-19] 한국도로공사 돌발상황관리 절차=67,92,1
[그림 2-20] 돌발상황에 대한 VMS 대응방안 관리=71,96,1
[그림 2-21] 고속도로 돌발상황 유형별 발생빈도('03년 5월)=79,104,1
[그림 2-22] 돌발상황유형별 지체길이('03년 5월)=79,104,1
[그림 2-23] DELOS 알고리즘 변수 개념도=96,121,1
[그림 2-24] 돌발상황 관리에서 대응 및 조치 단계의 비중=98,123,1
[그림 2-25] 시간 및 공간에 대한 돌발상황의 영향=119,144,1
[그림 2-26] 돌발상황정체와 반복정체 형성패턴=119,144,1
[그림 3-1] 돌발상황 정보제공 수단=137,162,1
[그림 3-2] 돌발상황 정보를 받은 후 행동=138,163,1
[그림 3-3] 돌발상황 발생 시간대=139,164,1
[그림 3-4] 돌발상황 주요 원인=140,165,1
[그림 3-5] 돌발상황관리시스템의 처리시간=141,166,1
[그림 3-6] 자동검지 알고리즘에서 고려해야할 요소=142,167,1
[그림 3-7] 검지,확인 단계에서 중요한 요소=142,167,1
[그림 3-8] 검지,확인단계에서의 확인기법=143,168,1
[그림 3-9] 효율적인 돌발상황 전파기법=143,168,1
[그림 3-10] 효율적인 돌발상황 대응기법=144,169,1
[그림 3-11] 돌발상황 시스템 정보 관리 내용=145,170,1
[그림 2-12] 검지기 설치 현황=146,171,1
[그림 3-13] 자료분석 프로세스=150,175,1
[그림 3-14] 자료 DB화면=151,176,1
[그림 3-15] 데이터베이스 관계도=152,177,1
[그림 3-16] 구축 검지기 현황=152,177,1
[그림 3-17] 검지기 자료 현황=153,178,1
[그림 3-18] 분석자료 현황=156,181,1
[그림 3-19] 연속된 5개 검지기=156,181,1
[그림 3-20] 돌발상황 이력자료=157,182,1
[그림 3-21] 자료보정 및 자료처리과정=157,182,1
[그림 3-22] 공간적 범위 설정=161,186,1
[그림 3-23] 공간적 범위의 검지기 종류 및 이정=162,187,1
[그림 3-24] 돌발상황 발생 지점 및 검지기 위치=163,188,1
[그림 3-25] 정상교통류 대 돌발교통류 비교(영동고속도로 36.8㎞ 지점)=163,188,1
[그림 3-26] 교통량-점유율 관계도=165,190,1
[그림 3-27] 1차로와 전체차로 속도변화 추이 비교(돌발교통류)=166,191,1
[그림 3-28] 검지기 종류별 교통기본도=167,192,1
[그림 3-29] 집계간격별 교통기본도=168,193,1
[그림 3-30] 시간대별 교통류 변화=169,194,1
[그림 3-31] 수집된 돌발상황 발생지점=169,194,1
[그림 3-32] McMaster 알고리즘의 교통류 상태 영역=172,197,1
[그림 3-33] 교통량-점유율 관계를 통한 LUD곡선과 임계치=172,197,1
[그림 3-34] 시뮬레이션 검지기 자료(LUD 곡선)=173,198,1
[그림 3-35] 돌발상황 시나리오 기하구조(예시)=174,199,1
[그림 3-36] 시뮬레이션 수행화면(중앙선 114㎞ 지점,S23∼S25)=176,201,1
[그림 3-37] 중앙고속도로 118.6㎞지점 검지기 자료(유형:사고)=177,202,1
[그림 3-38]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검지기 자료=177,202,1
[그림 3-39] 돌발상황 발생에 의한 교통량점유율 관계도(중앙선 118.6㎞)=178,203,1
[그림 3-40] 시뮬레이션에 의한 교통량-점유율 관계도=178,203,1
[그림 3-41] 돌발상황 검지알고리즘 수행분석 과정=180,205,1
[그림 3-42] 검지 알고리즘별 Alarm간 시간길이 분포=185,210,1
[그림 3-43] 돌발상황검지 알고리즘별 시간대별 Alarm빈도 분포=186,211,1
[그림 3-44] 돌발상황검지 알고리즘별 Station별 Alarm발생건수 누적분포=187,212,1
[그림 3-45] 시뮬레이터 구성도=188,213,1
[그림 3-46] 시뮬레이터 입력화면(예 시)=189,214,1
[그림 3-47] 교통량-점유을 관계도=208,233,1
[그림 3-48] McMaster 알고리즘 흐름도=209,234,1
[그림 3-49] indicator를 위한 데이터 누적도=226,251,1
[그림 3-50] 개선된 McMaster 알고리즘의 흐름도=226,251,1
[그림 3-51] 돌발상황관리(IIM)의 전체적인 흐름도=228,253,1
[그림 3-52] 돌발상황 발생확률예측 방법 개념도=229,254,1
[그림 3-53] EIP 체계도=229,254,1
[그림 3-54] EIP 모델링 과정=230,255,1
[그림 3-55] 고속도로 구성 요소=232,257,1
[그림 3-56] 고속도로 구성 요소의 영향권=232,257,1
[그림 3-57] 고속도로 돌발상황 지속시간의 구분=235,260,1
[그림 3-58] 돌발상황으로 인한 지체=236,261,1
[그림 3-59] 고속도로 교통사고로 인한 차단시간 분포=237,262,1
[그림 3-60] 고속도로 노선별 평균 차단시간 및 30분 이상 차단비율=238,263,1
[그림 3-61] 고속도로 돌발상황 차단시간 예측을 위한 Decision tree=241,266,1
[그림 3-62] 돌발상황 지속시간에 따른 Decision tree (ADVANCE Project)=246,271,1
[그림 3-63] 돌발상황 처리시간 분포=247,272,1
[그림 3-64]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을 위한 Decision tree=248,273,1
[그림 3-65] 돌발상황 처리시간 모델의 Log-logistic 위험함수=251,276,1
[그림 3-66] 위험함수 h(t),밀도 f(t)와 누적분포 f(t)와 생존함수5(t) 의 관계=253,278,1
[그림 3-67] 비례위험모델 개념=254,279,1
[그림 3-68] 위험함수 (Kieffer,1988)=257,282,1
[그림 3-69] 돌발상황지체를 추정하기 위한 차량 출발과 도착의 결정론적 대기행렬 diagram=259,284,1
[그림 3-70] 돌발상황 발생시의 충격파=262,287,1
[그림 3-71] 고속도로 돌발상황지체=265,290,1
[그림 3-72] 2,3,4차로 고속도로의 돌발상황 예상지체=267,292,1
[그림 3-73] 돌발상황영향 예측시스템에 의한 돌발상황관리과정=270,295,1
[그림 3-74] 사고분석 프로그램 공간 분석조건 입력=277,302,1
[그림 3-75] 사고분석 프로그램 시간 분석조건 입력=277,302,1
[그림 3-76] 사고분석 프로그램 분석변수 선택=278,303,1
[그림 3-77] 사고분석 프로그램 분석결과 표출(예)=279,304,1
[그림 3-78] 사고건수 시공간 분석결과(예)=280,305,1
[그림 3-79] 사고원인 공간분석 결과(예)=280,305,1
[그림 3-80] 고속도로 돌발상황구간 정체길이 분석시스템의 수행과정=299,324,1
[그림 3-81] 전체 시스템 모듈 구성도=299,324,1
[그림 3-82] 장래 교통상황 표출 예=300,325,1
[그림 3-83] 개별차량 애니메이션 표출 예=300,325,1
[그림 3-84] 돌발상황 사례의 시공간적 정보=301,326,1
[그림 3-85] 발생지점의 교통량 비교=301,326,1
[그림 3-86] 1번째 검지기 교통량 비교=301,326,1
[그림 3-87] 돌발상황 지점의 속도 비교=302,327,1
[그림 3-88] 1번째 검지기 속도 비교=302,327,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