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최종보고서/윤복현=0,2,3

제출문=1,5,1

목차=2,6,2

표목차=4,8,1

그림목차=5,9,4

요약문=9,13,5

SUMMARY=14,18,5

CONTENTS=19,23,2

제1장 서론=21,25,1

제1절 연구의 필요성=21,25,1

가. 기술적 측면=21,25,2

나. 경제ㆍ산업적 측면=23,27,2

다. 사회ㆍ문화적 측면=24,28,2

제2절 국내ㆍ외 관련기술의 현황과 문제점=26,30,1

제2장 연구목표 및 내용=27,31,1

제1절 연구목표=27,31,2

제2절 연구개발 추진체계=29,33,1

제3절 년도별 연구세부내용=30,34,1

제3장 양파수확기 각부장치 및 요소부품 개발=31,35,1

제1절 양파수확기 개요=31,35,6

제2절 연결 프레임=37,41,4

제3절 동력전달 구동부=41,45,2

제4절 굴삭부=43,47,5

제5절 조작부=48,52,2

제6절 주행부=50,54,5

제7절 분초판장치=55,59,5

제8절 잎이송장치=60,64,10

제9절 줄기절단장치=70,74,4

제10절 경사지적응형장치=74,78,3

제4장 비닐회수장치=77,81,1

제1절 비닐회수장치의 개요=77,81,2

제2절 작동원리 및 구성=79,83,5

제3절 비닐제거장치 성능평가 및 시뮬레이션=84,88,3

제5장 양파수확기 제작조립 및 성능평가=87,91,1

제1절 양파수확기 굴취날 강도평가 및 성능향상을 위한 구조해석=87,91,1

가. 해석계획=87,91,1

나. 구조의 모델링=87,91,4

다. 재료특성치 데이터=90,94,1

라. Element type=90,94,2

마. 하중 및 경계조건=91,95,2

바. 해석결과 고찰=93,97,7

사. 성능평가 결과=100,104,1

제2절 양파수확기 활용을 위한 양파 이식위치 개선 연구=101,105,5

제3절 경제성 및 효율성 분석=105,109,2

제4절 작업환경 현장분석 및 주요구조에 대한 미비점 보완=107,111,4

제6장 연구관련 실적=111,115,1

제7장 결론=112,116,2

참고문헌=114,118,2

APPENDIX=116,120,18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22

CONTENTS=19,23,2

Chapter 1. Introduction=21,25,1

1.1. Necessity of Research=21,25,1

1.1.1. Technical Aspect=21,25,2

1.1.2. Economical and Industrial Aspect=23,27,2

1.1.3. Social and Cultural Aspect=24,28,2

1.2. Problems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Topic Abroad and Home=26,30,1

Chapter 2. Objective and Contents of Research=27,31,1

2.1. Goal of The Project=27,31,2

2.2. Team Composition for the Project=29,33,1

2.3. Research Planning for Each Year=30,34,1

Chapter 3. Development of Assemblies and Parts of Onions Harvester=31,35,1

3.1. Concept of Onions Harvester=31,35,6

3.2. Connecting Frame Assembly=37,41,4

3.3. Power Transmission Assembly=41,45,2

3.4. Excavating Assembly=43,47,5

3.5. Controlling Assembly=48,52,2

3.6. Running Assembly=50,54,5

3.7. Leaves Separating Assembly=55,59,5

3.8. Leaves Moving Assembly=60,64,10

3.9. Stalk Cutting Assembly=70,74,4

3.1O. Slope Adapting Assembly=74,78,3

Chapter 4. Device for Collecting Vinyl=77,81,1

4.1. Concept of The Device for Collecting Vinyl=77,81,2

4.2. Principle and Composition=79,83,5

4.3. Performance Testing and Working Simulation for Collecting Vinyl=84,88,3

Chapter 5. Assembling Parts of Onions Harvest Machine and its Performance Testing=87,91,1

5.1. Structural Analys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for the Excavating Tool of Onions Harvest Machine=87,91,1

5.1.1. Planning of Analysis=87,91,1

5.1.2. Structure Modelling=87,91,4

5.1.3. Data of Material Characteristics=90,94,1

5.1.4. Element type=90,94,2

5.1.5. Load and Boundary Conditions=91,95,2

5.1.6. Discussion of Analyzed Result=93,97,7

5.1.7. Result of Performance Test=100,104,1

5.2. Study on the Planting Location to Utilize the Harvesting Machine of Onions=101,105,5

5.3. Analysis of Profitability and Efficiency=105,109,2

5.4. Analysis of Working Conditions and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Main Structure=107,111,4

Chapter 6. Products of Research=111,115,1

Chapter 7. Conclusions=112,116,2

REFERENCES=114,118,2

APPENDIX=116,120,18

표목차

Table 1.1. 주요 농작물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변화 추이=21,25,1

Table 1.2. 전국대비 무안군의 마늘재배현황=21,25,1

Table 1.3. 전국대비 무안군의 양파재배현황=22,26,1

Table 1.4. 양파의 작업체계와 농기계=22,26,1

Table 1.5. 양파재배의 현행 작업체계와 노동력 투하시간=24,28,1

Table 1.6. 최근 일본의 양파수입동향=25,29,1

Table 1.7. 농업기계 및 부품의 수출입 현황=26,30,1

Table 3.1. 양파수확기 레이아웃 및 엔진형식=33,37,1

Table 3.2. 양파수확기 정면도 주요구성부품=34,38,1

Table 3.3. 양파수확기 레이아웃의 주요구성부품=36,40,1

Table 3.4. 양파수확기의 연결프레임의 주요구성부품=38,42,1

Table 3.5. 동력전달 계통도 주요구성부품=42,46,1

Table 3.6. 굴취날 깊이조절 방법=44,48,1

Table 3.7. 굴취날 주요구성부품=45,49,1

Table 3.8. 좌우슬라이딩 조립부품=51,55,1

Table 3.9. 분초판 체인 구동조립부의 주요구성부품=56,60,1

Table 3.10. 분초판 구동축 부품구성=56,60,1

Table 3.11. 잎이송 장치 주요구성부품=61,65,1

Table 3.12. 종동풀리 구동연결도 구성품=63,67,1

Table 3.13. 분초판 정례구동도의 주요구성품=67,71,1

Table 3.14. 분초판 구동장치 주요구성품=68,72,1

Table 3.15. 잎줄기 절단장치의 주요구성품=71,75,1

Table 4.1. 비닐회수장치의 구성부품 및 재질=80,84,1

Table 5.1. 두 가지 서로 다른 형상에 대한 해석결과 비교=87,91,1

Table 5.2. 3가지 재료에 대한 특성치 데이터=90,94,1

Table 5.3. 3가지 재료에 대한 해석결과=93,97,1

Table 5.4. 10,000평 양파 경작시 원가 계산=106,110,1

그림목차

Fig. 1.1. 수작업에 의한 양파 수확 현장=24,28,1

Fig. 2.1. 개발 대상 제품의 개요=28,32,1

Fig. 2.2. 관련 협조 기관=28,32,1

Fig. 3.1. 개발된 수확기의 전면=31,35,1

Fig. 3.2. 개발된 수확기의 측면=32,36,1

Fig. 3.3. 양파수확기 운전자쪽의 구조=32,36,1

Fig. 3.4. 양파수확기의 전체 레이아웃=33,37,1

Fig. 3.5. 양파수확기 정면도=34,38,1

Fig. 3.6. 엔진 탑재 구조=35,39,1

Fig. 3.7. 양파수확기 레이아웃 평면도=36,40,1

Fig. 3.8. 양파수확기의 연결프레임 조립도=37,41,1

Fig. 3.9. 연결프레임 연결축(②)번=38,42,1

Fig. 3.10. 연결프레임 파이프(④)번=39,43,1

Fig. 3.11. 연결프레임 스프링고정판(⑤)번=39,43,1

Fig. 3.12. 연결프레임 고정축(⑧)번=39,43,1

Fig. 3.13. 연결프레임 연결판(⑪)번=40,44,1

Fig. 3.14. 연결프레임 고정봉(⑦)번=40,44,1

Fig. 3.15. 작업부의 동력전달 계통도=41,45,1

Fig. 3.16. 밑면에서 바라본 굴취날 장착상태=43,47,1

Fig. 3.17. 굴취날 L치수 체결 위치에 따른 깊이조절=44,48,1

Fig. 3.18. 굴취날 조립도=45,49,1

Fig. 3.19. 굴취날 정면도(⑦번)=46,50,1

Fig. 3.20. 굴취날 상세도면(⑦번)=46,50,1

Fig. 3.21. 굴취날의 레바와 편심캠(⑤번)=47,51,1

Fig. 3.22. 편심캠(⑥번)=47,51,1

Fig. 3.23. 양파수확기 주요 조작부=48,52,1

Fig. 3.24. 조작부 구조=49,53,1

Fig. 3.25. 주행부의 구동 레이아웃=50,54,1

Fig. 3.26. 주행부 바퀴=50,54,1

Fig. 3.27. 좌우슬라이딩 조립도=51,55,1

Fig. 3.28. 좌ㆍ우 바퀴 축간 간격 조절 슬라이딩축 설계도=52,56,1

Fig. 3.29. 슬라이딩 구동축 설계도=52,56,1

Fig. 3.30. 케이스=52,56,1

Fig. 3.31. 케이스 커버=53,57,1

Fig. 3.32. 구동 피니온=53,57,1

Fig. 3.33. 주행부 제작(우)=54,58,1

Fig. 3.34. 주행부 제작(좌)=54,58,1

Fig. 3.35. 분초판 체인 구동조립도=55,59,1

Fig. 3.36. 분초구동축 부품구성도=56,60,1

Fig. 3.37. 분초구동축(①번)=57,61,1

Fig. 3.38. 프렌지(②번)=57,61,1

Fig. 3.39. 고정판(④번)=58,62,1

Fig. 3.40. 베어링커버(⑥번)=58,62,1

Fig. 3.41. 베벨기어(소⑦번),대⑧번)=59,63,1

Fig. 3.42. 잎이송 장치 설계도=61,65,1

Fig. 3.43. 상반 구동장치 설계도=62,66,1

Fig. 3.44. 상부이송벨트의 재질 구성=62,66,1

Fig. 3.45. 종동풀리 구동연결도=63,67,1

Fig. 3.46. 긁기벨트 조립용=63,67,1

Fig. 3.47. 긁기벨트 조립용 세부 부품도=64,68,1

Fig. 3.48. 체인구동커버 조립도=64,68,1

Fig. 3.49. 체인구동커버 조립도=65,69,1

Fig. 3.50. 고정판=65,69,1

Fig. 3.51. 연결판=65,69,1

Fig. 3.52. 벨트에 의한 분초판 구동=66,70,1

Fig. 3.53. 뒤에서 본 분초판 형상=66,70,1

Fig. 3.54. 정례구동도(1)=67,71,1

Fig. 3.55. 정례구동도(2)=67,71,1

Fig. 3.56. 분초판 구동장치 설계도=68,72,1

Fig. 3.57. 상반 구동장치 제작=69,73,1

Fig. 3.58. 분초판 구동장치 제작=69,73,1

Fig. 3.59. 잎줄기 절단장치의 조립도=71,75,1

Fig. 3.60. 줄기절단장치의 구성도=72,76,1

Fig. 3.61. 줄기절단장치 커터날=72,76,1

Fig. 3.62. 커터날 높이 조정볼트 및 너트 구조=73,77,1

Fig. 3.63. 잎이송장치 위에서 바라본 커터날 구조=73,77,1

Fig. 3.64. 측면에서 본 커터날 위치=73,77,1

Fig. 3.65. 우측바퀴조립도=74,78,1

Fig. 3.66. 좌측바퀴조립도=75,79,1

Fig. 3.67. 경사지 적응형 앞바퀴 설치구조=75,79,1

Fig. 3.68. 경사지 적응 제어를 위한 좌ㆍ우 앞바퀴 상세 사진=76,80,1

Fig. 4.1. 비닐회수장치의 장착 정면도=78,82,1

Fig. 4.2. 비닐회수장치의 장착구성도=78,82,1

Fig. 4.3. 비닐회수장치의 전체 레이아웃=79,83,1

Fig. 4.4. 비닐회수장치의 구동축의 구성=80,84,1

Fig. 4.5. 비닐회수장치의 축고정 브라켓=81,85,1

Fig. 4.6. 엔진 동력전달 스프로켓 연결부품도=81,85,1

Fig. 4.7. 스프라켓(소)=81,85,1

Fig. 4.8. 스프라켓(대)=82,86,1

Fig. 4.9. 연결축=82,86,1

Fig. 4.10. 축고정볼트=82,86,1

Fig. 4.11. 구동축=83,87,1

Fig. 4.12. 고정휠=83,87,1

Fig. 4.13. 비닐회수장치 지관=83,87,1

Fig. 4.14. 비닐 회수장치의 부착상태의 해석 도면=84,88,1

Fig. 4.15. 비닐 회수장치의 부착상태에서의 주행 모습=85,89,1

Fig. 4.16. 비닐 장면의 시뮬레이션 모습=85,89,1

Fig. 4.17. 비닐 회수장치의 탈착상태의 해석 도면=86,90,1

Fig. 5.1. 굴취날 해석을 위한 3차원 surface model=88,92,1

Fig. 5.2. 구부리지 않은 형상 모델=88,92,1

Fig. 5.3. 구부리지 않은 모델에 대한 변위해석 결과=89,93,1

Fig. 5.4. 구부리지 않은 모델에 대한 응력해석 결과=89,93,1

Fig. 5.5. 굴취날의 유한요소(Finite Element 해석모델=91,95,1

Fig. 5.6. 하중 및 경계조건의 적용=92,96,1

Fig. 5.7. 스프링강(SPS6)에 대한 변위해석결과=94,98,1

Fig. 5.8. 스프링강(SPS6)에 대한 응력해석결과=95,99,1

Fig. 5.9. 구조용합금강(SS41)에 대한 변위해석결과=96,100,1

Fig. 5.10. 구조용합금강(SS41)에 대한 응력해석결과=97,101,1

Fig. 5.11. 구조용탄소강(SM45C)에 대한 변위해석결과=98,102,1

Fig. 5.12. 구조용탄소강(SM45C)에 대한 응력해석결과=99,103,1

Fig. 5.13. 목포 작물시험장 양파이식기(YANMAR)사=101,105,1

Fig. 5.14. 양파이식기에 의한 양파재배 현황=102,106,1

Fig. 5.15. 양파수확기 전진방향에 따른 양파 굴취작업=102,106,1

Fig. 5.16. 양파이식기에 의해 재배된 현장의 양파 굴취작업 폭=103,107,1

Fig. 5.17. 수작업에 의한 양파재배 농지 현황=103,107,1

Fig. 5.18. 양파이식기에 의한 양파이식상태=104,108,1

Fig. 5.19. 양파이식기를 이용한 기계식 파종형태=105,109,1

Fig. 5.20. 양파수확기 현장에서의 실험=107,111,1

Fig. 5.21. 수평유지 측면에서의 현장검증=107,111,1

Fig. 5.22. L자형 굴취날 장착상태=108,112,1

Fig. 5.23. 굴곡을 준 상태의 굴취날=108,112,1

Fig. 5.24. 줄기절단장치의 커터날 조절부=109,113,1

Fig. 5.25. 초기 현장검증의 작업상태=110,114,1

Fig. 5.26. 수정 보완된 수확기에 의한 현장검증=110,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