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2

요약문=3,4,8

SUMMARY(영문요약문)=11,12,2

목차=13,14,4

제1장 서론=17,18,1

제1절 연구의 목적=17,18,2

제2절 연구의 방법=18,19,2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19,20,1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19,20,2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20,21,5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25,26,1

1. 함평만 및 고창군 여안 퇴적물 입도 분포 연구=25,26,2

2.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퇴적물 특성규멍=26,27,3

3. 서해남부 제2권역(북) 연안 현생지질환경 특성=28,29,4

4. 고창군 연안 지질환경도(1/10,000)=31,32,3

5. 함평만 내해 남부의 연안 지질환경도(1/10,000)=33,34,2

6. 임자도 북서해안의 현생 연안지질환경=34,35,2

7. 고창,임자.함평 연안에서 시추퇴적물의 획득 및 분석=35,36,2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37,38,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37,38,2

첨부 1. 함평만 및 고창군 연안 퇴적물 입도 분포 연구=39,40,1

1. 서론=39,40,1

2. 연안의 분류=40,41,3

3. 연구지역=42,43,2

4. 연구방법=43,44,1

5. 연구결과=43,44,13

6. 결론=56,57,1

참고문헌=56,57,3

첨부 2.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연안역 퇴적물 특성규명=59,60,1

1. 서론=59,60,2

2. 연구방법 및 자료=61,62,3

3. 연구결과=64,65,4

4. 결론=67,68,2

참고문헌=68,69,1

첨부 3. 서해남부 제2권역(북) 연안 현생지질환경 특성=69,70,1

1. 서론=69,70,2

2. 지질개요=70,71,1

3. 지질유형별 산출상태=71,72,3

4. 지질유형별 분류기준=73,74,2

참고문헌=75,76,8

별첨:서해 남부 연안 지질환경도(1/50,000) 10매 및 index map=83,84,12

첨부 4. 고창군 연안 지질환경도(1/10,000)=95,96,1

1. 서론=95,96,3

2. 연구지역의 기후 및 해양환경=97,98,1

3. 연구지역의 지질=98,99,4

4. 해안선분류(Coastal Classification) 조사=102,103,6

5. 연구지역별 해빈특성 기재=107,108,4

6. 토의=111,112,12

참고문헌=123,124,2

부록:고창군 연안 지질환경도(1/10,000) 5매 및 index map=125,126,6

첨부 5. 함평만 내해 남부의 연안 지질환경도(1/10,000)=131,132,1

1. 서론=131,132,1

2. 연안 지질환경의 특성[내용누락;p.135~136]=132,133,29

첨부 6. 임자도 북서해안의 현생 연안 지질환경=161,162,1

1. 서론=161,162,1

2. 연안 환경 특성=161,162,1

2-1. 기반암 지질=161,162,1

2-2. 기후 및 해양환경=161,162,2

2-3. 연안지형 구성요소=162,163,6

2-4. 해빈의 퇴적환경=167,168,3

2-5. 사질 해빈퇴적물의 이동=169,170,2

2-6. 사구-해빈-해양의 모래순환=170,171,1

2-7. 해빈 지하수 시스템=170,171,2

2-8. 개발활동이 현생 지질학에 미치는 영향=171,172,2

3. 모델지역 연구:대기리 해안=172,173,2

3-1. 해안지형=173,174,1

3-2. 주상시료 퇴적물 특성=173,174,5

3-3. 대기리 해안의 퇴적환경=177,178,3

3-4. 임자도 현생지질환경의 진화 과정=179,180,1

4. 결론=180,181,2

참고문헌=181,182,4

첨부 7. 고창,임자,함평 연안에서 시추퇴적물의 획득 및 분석=185,186,1

서론=185,186,3

연구지역=188,189,2

재료 및 방법=189,190,3

결과=191,192,1

1. 지형단면=191,192,3

2. 주상시료의 기술=193,194,1

2-1. 고창군 용두리 해안 시료(a-0~a-4)=193,194,11

2-2. 신안군 임자도 대광해안 시료(b-0~b-4)=204,205,10

2-3. 함평만 매부리 해안 시료(c-0~c-4)=213,214,8

3. 주상시료의 지역별 대비=220,221,1

3-1. 고창군 용두리 해안 측선(측선a)=220,221,3

3-2. 임자도 대광 해안 측선(측선b)=222,223,3

3-3. 함평만 매부리 해안 측선(측선c)=224,225,2

4. 층서단면의 지역별 비교=226,227,1

요약=227,228,2

참고문헌=229,230,1

부록=230,231,1

부록 1. 코아 퇴적물의 깊이별 입도분석 결과=230,231,6

부록 2. 코아의 절단면을 보여주는 칼라사진=236,237,7

칼라목차

jpg

그림 4. 함평만 내해 조하대의 표층 입도분포도=44,45,1

그림 5. 함평만 외해 조하대의 표층 입도분포도=45,46,1

그림 6. 고창 구시포-동호리의 조간대 및 조하대 표층 입도분포도=49,50,1

그림 9. 구시포-동호리 조간대 및 조하대의 나질 퇴적무�l 함량 분포도=55,56,1

그림 3. 연구에 사용된 Landsat-5 TM 위성영상=63,64,1

그림 5. 재분류에 의한 퇴적물 분포양상 분류 결과=65,66,1

그림 6. 조간대 퇴적물 현경변화 추출 결과(I:Mud→Sandy Mud,II:Mud→Sand,III:Mud→Gravely Mud,IV:Sandy MUd→Mud,V:Sand Mud→Sand,VI:sand Mud→Gravely Mud,VII:Sand→Mud,VIII:Sand→Sandy Mud,IX:Sand→Gravely Mud,X:Gravely Mud→Mud,XI:Gravely Mud→Sandy Mud,XII:Gravely Mud→Sand)=66,67,2

그림 1. 암벽해안의 종류. A. 백악기 화산암 암벽해안(도엽 (3)의 1번 사진),B.쥬라기 화강암 headland(도엽 (7)),C. 화강반암 headland(도엽 (6)),D. 화상편마암 headland와 암반(도엽 (8)),E. 쥬라기 화강암 암벽해안(도엽 (8)),F. 화강암질 편마암 암벽해안 및 암반(도엽 (8)),E. 쥬라기 화강암 암벽해안(도엽 (8)),F. 화강암질 편마암 암벽해안 및 암반(도염 (8)),G. 쥬라기 화강암 암반(도엽 (8)),H.백안기 화산암 암반(도엽(10))=76,77,1

그림 2. 풍화토 해안 및 절벽의 산출상태. A. 우곡침식으로 붕락된 풍화도 해안(5),B. 하부에 붕락퇴적물이 쌓인 화강암 풍화토 절벽(6),C. 붕락퇴적물 기저부에 형성된 고조시 파랑 침식면(6),D. 기저부에 해식단면이 형성된 풍화토 절벽(6),E. 시대미상의 퇴적층 노두(6),F. 수양리 패총(6),G. 개 구멍을 갖는 풍화기반암과 상부의 시대미상 퇴적층 노두(6),H. 식생으로 덮인 붕락퇴적물이 쌓인 풍화토 절벽=77,78,1

그림 4. B급으로 분류될 수 있는 비교적 안정적인 방조제. A.경사형 석축 방조제(9). B.하단 경사형 2단 석축 방조제(5). C.곡면 경사형(curved) 석축 방조제(9). D.경사형 하단 석축(revetment style)로 보강된 수직형 석축 방조제(9). E.석축 방사제와 하단의 버럭으로(revetment style)로 보강된 수직형 석축 방조제(8). F. 하단에 버럭으로 보강된(riprap style)수직형 석축 방조제(6). G.하단에 버럭으로 보강된 (riprap style) 수직형 석축 방조제(9).H.수직형 콘크리트 방조제(9)=79,80,1

그림 6. 조상대의 산출 상태. A. Berm crest가 잘 발달된 accretional sand beach(7). B. 후퇴 중인 풍화토 적벽 앞의 각력질 모래 해빈(7). C. Berm crest가 잘 발달된 pebble beach,둥근 자갈(8). D. 비교적 많이 굽은 형태의 sand spit 수조(7). E. 후퇴하는 풍화토 절벽 앞에 발달된 beach ridge(6). F. 사질 해빈 위로 이동 중인 chenier(도엽 (4)의 2번 사진).=81,82,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1) 고창 해리면=84,85,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2) 와탄천 유역=85,86,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3) 백수조간대=86,87,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4) 설도 제방=87,88,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5) 함평 손불면=88,89,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6) 함평안=89,90,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7) 홀통=90,91,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8) 도리포=91,92,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9) 지도=92,93,1

서해 남부 연안지질환경도(10) 임자도=93,94,1

그림 7. 서구/해빈 층 하부의 암회색 조간대 퇴적층(장호리 해빈).=101,102,1

그림 8. 층서 단면 모식도(첨부 7의 그림 40에서 인용).=101,102,1

그림 10. 호악벽(Sea wall)의 견고성에 다른 분류와 위치. a.A급으로 Dune scarp에 위치. b:A급 호안벽의 두터운 콘크리트 기초. c:A급으로 조간대에 위치. d:B급으로 beach berm에 위치. e:B급으로 조간대의 위치. f:C급(riprap type)으로 swash zone 위치=103,104,1

그림 12. 해비이나 서구지역에 위치한 공공시설물. a:B지역에 위치한 한국적력 고압시헙장(만조 시). b:A지역의 전북 서해 수산시험장 암식장. c:C 지역의 군사훈련장. d:구시포 후사구 지역의 고창군 쓰레기 소각장=105,106,1

부록. 고창군 연안 지질환경도(1/10,000) 5매.=125,126,1

고창군 연안지질환경도(1) 동호리해빈=126,127,1

고창군 연안지질환경도(2) 상부리해빈=127,128,1

고창군 연안지질환경도(3) 장호리해빈=128,129,1

고창군 연안지질환경도(4) 명사십리해빈=129,130,1

고창군 연안지질환경도(5) 구사포해빈=130,131,1

그림 2. 함평만 연안지침환경도(1) 돌머리해수욕장=134,135,1

그림 4.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2) 해운리 후동=137,138,1

그림 5.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3) 현화리 생록동"에 포함된 지질환경특성 사진=139,140,1

그림 9.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4) 현경면 현화리 청룡=144,145,1

그림 11.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5) 현경면 외반리 구장터=147,148,1

그림 13.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6) 현경면 송정리=150,151,1

그림 15.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7) 노루목=153,154,1

그림 17.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8) 수양리=156,157,1

그림 18.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9) 소당섬" 지질환경특성 사진=158,159,1

그림 19. 함평만 연안지질환경도(9)소당섬=159,160,1

그림 2. 시추하는 모습과 연안지역의 전경사진 A:전북 고창군 용두리 해안,B:전남 신안구 대광 해안,C. 함평만의 매부리 해안=187,188,1

2

123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5

Abstract=vi,8,3

목차=xi,11,1

제1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1,12,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3,14,2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5,16,1

제1절 연구지역 개관=5,16,1

1. 창녕 우포늪 (UP)=5,16,6

2. 목포 영산강 (IL,JD)=10,21,8

3. 김제 벽골제 (BG)=17,28,6

4. 김제 진흥제 (BS),김제 오공제 (OK)=22,33,2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23,34,1

1. 시추시료 획득=23,34,1

2. 퇴적학적 분석=23,34,2

3. 유기지화학적 (TC,TOC,TN,TS) 분석=24,35,1

4. 광물학적 분석=24,35,1

5. 주성분원소 분석=24,35,2

6. 미량성분원소,회토류원소 분석=25,36,1

7. 무기지화학적 (Fe,Mn) 분석=26,37,1

8. 탄소 안정동위원소 (δ13C)(이미지참조) 분석=26,37,2

9. 고지자기학적 분석=27,38,2

10. 고생물학적 (화분,규조) 분석=28,39,2

11. 연대측정학적 (AMS 14C)(이미지참조) 분석=29,40,4

제3절 연구결과=32,43,1

1. 창녕 우포늪 UP-① 시추공=32,43,35

2. 목포 영산강 IL-② 시추공=66,77,9

3. 목포 영산강 IL-③ 시추공=74,85,4

4. 목포 영산강 JD-① 시추공=78,89,5

5. 김제 벽돌제 BG-⑤ 시추공=82,93,11

6. 김제 진흥제 BS-③,④ 시추공,김제 오공제 OK-①,② 시추공=92,103,10

제4절 토의 및 결론=102,113,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04,115,1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105,116,1

제6장 해외 과학기술정보=106,117,2

제7장 참고문헌=108,119,5

칼라목차

jpg

[Fig.1] Topographic map of the Upo wetland area with drilling hole sites=6,17,1

[Fig.3] Topographic map of the Yeongsan River area with drilling hole sites=11,22,1

[Fig.5] Topographic map of the Byeokgolje area with drilling hole sites=18,29,1

[Fig.8] Photograph & X-Radiograph of the core UP-①=35,46,1

[Fig.11] Photograph of diatom of the core UP-①=49,60,1

[Fig.17] Annual total precipitation in Hapcheon,Milyang for 30 years=60,71,1

[Fig.18] Monthly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Hapcheon,Milyang for 30 years=60,71,1

[Fig.19] Surface sediment sampling sites of the Upo wetland=61,72,1

[Fig.20] Results of grain size analysis of surface sediments of the Upo wetland=62,73,1

[Fig.21] Grain size distrubution of the Upo wetland=63,74,1

[Fig.22] PCA methods=63,74,1

[Fig.23] Results of PCA 1 images from each Landsat TM band 1 to 7. (A) 1984.09.05.. (B) 1994.05.09.. (C) 2001.04.18.. (D) 2002.04.05.=64,75,1

[Fig.24] Situation of A-B and C-D longitudinal profile along the Upo wetland=65,76,1

[Fig.25] A-B longitudinal profile along the Upo wetland=65,76,1

[Fig.26] C-D longitudinal profile along the Upo wetland=65,76,1

[Fig.28] Photograph & X-Radiograph of the core IL-②=69,80,1

[Fig.33] Photograph & X-Radiograph of the core IL-③=77,88,1

[Fig.35] Photograph & X-Radiograph of the core JD-①=80,91,1

[Fig.38] Photograph & X-Radiograph of the core BG-⑤=84,95,1

[Fig.45] Topographic map of the Jinheong lake area with drilling hole sites=93,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