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보고서 초록/한명수=2,3,1
요약문=3,4,3
SUMMARY=6,7,8
CONTENTS=14,15,7
목차=21,22,8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9,30,2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31,32,2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범위=33,34,1
1. 경제ㆍ사회ㆍ기술적 중요성=33,34,2
2. Biomanipulation을 이용한 다기능복합 생태청정기술의 중요성=34,35,2
3. 기능미생물과 천적생물(HAB의 Predators)에 의한 복합배양기술의 중요성=35,36,1
제3절 보유기술=36,37,1
1. 부영양화의 미생물학적 제어기술=36,37,1
2. 천적생물의 활용=36,37,1
3. Target 생물(혹은 HAB species)의 생리생태,분자생물학적 특성 및 다양한 배양 기술=37,38,2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39,40,2
제1절 선진국의 기술개발 및 연구동향=41,42,1
제2절 국내 기술개발 수준=42,43,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43,44,2
제1절 수중 생태계 내 미세먹이망 호소 및 하천 수계의 플랑크톤 군집 구조=45,46,1
1. 서론=45,46,3
2. 재료 및 방법=47,48,1
가. 조사지역의 특성=47,48,1
나. 조사시기 및 조사정점=47,48,2
다. 물리ㆍ화학적 환경요인=48,49,1
라. 미세먹이망 구성원의 탄소생체량 분석=49,50,1
3. 결과=49,50,1
가. 물리ㆍ화학적 환경요인의 변화=49,50,4
나. 박테리아 개체수와 탄소생체량의 계절적 변화=52,53,3
다. 남조류 현존량과 탄소생체량의 계절적 변화=54,55,3
라. 진핵독립영양조류=56,57,3
마. 종속영양원생생물=58,59,3
바. 미세먹이망 구성원간의 탄소생체량 비교=60,61,3
사.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적 변화=62,63,3
4. 고찰=64,65,1
가. 수환경의 특성=64,65,2
나. 미세먹이망 구성원의 구조 및 생물량=65,66,7
제2절 남조 Nostocales 휴면포자 발아율에 따른 영양세포의 현존량 변화=72,73,1
1. 서론=72,73,2
2. 재료 및 방법=73,74,1
가. 채집기간 및 정점=73,74,1
나. 표층수와 저층 퇴적물의 채집=73,74,1
다.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분석=73,74,1
라. 표층 영양세포의 분석=73,74,2
마. 휴면포자의 분리 및 분석=74,75,1
(1) 저층 퇴적물의 처리=74,75,1
(2) 휴면포자의 현존량 분석과 분리=74,75,1
(3) 휴면포자의 발아율 측정=74,75,2
바. 휴면포자 발아율의 온도 실험=75,76,1
3. 결과=75,76,1
가.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75,76,1
나. 영양 세포 현존량의 변동=75,76,2
다. 저층퇴적층의 휴면포자의 현존량=77,78,1
라. 휴면포자의 발아율=77,78,2
마. 휴면포자의 온도별 발아실험=78,79,2
4. 고찰=79,80,3
제3절 영양염 제한에 따른영양염 제한에 따른 플랑크톤의 종천이 기작연구=82,83,1
1. 서론=82,83,2
2. 재료 및 방법=83,84,1
가. 조사지의 개황=83,84,1
나. 조사 지점 및 시기=83,84,2
다. 수중환경 요인 측정=84,85,2
라. 영양조건 변동에 따른 플랑크톤 종조성 관찰=85,86,3
3. 결과=87,88,1
가. 수중 환경 요인의 변화=87,88,1
(1) 수온의 변화=87,88,1
(2) pH의 변화=87,88,1
(3) 전도도의 변화=87,88,1
(4) Chlorophyll a의 변화=87,88,2
(5) 용존산소의 변화=88,89,1
(6) 영양염의 변화=88,89,1
(가) 질산성과 아질산성질산염 (NO₃-+NO₂-)(이미지참조)=88,89,1
(나) 인산염 (PO₄3-)(이미지참조)=88,89,1
(다) 규산염 (SiO₂)=88,89,1
(라) 총인 (Total phosphorous)=88,89,1
(마) 입자태 유기물 탄소(Particulate Organic Carbon)=88,89,2
(바) 입자태 유기물 질소(Particulate Organic Nitrogen)=89,90,1
(7) 영양조건 변동에 따른 플랑크톤 종조성 변화=89,90,1
4. 고찰=89,90,10
제4절 유전자 mcyA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Microcystis의 분포 특성 연구=99,100,1
1. 서론=99,100,2
2. 재료 및 방법=100,101,1
가. Microcystis 균주 및 배양 조건=100,101,2
나. Microcystis 균주의 genomic DNA 추출=101,102,1
다. 부분적인 N-methyltransferase domain을 증폭하기 위한 primer의 제작=101,102,1
라. 부분적인 N-methyltransferase domain의 PCR 증폭=101,102,2
마. Cloning 과정=102,103,1
바. DNA sequencing=102,103,2
사. Microcystis 균주의 분자계통학적 분석=103,104,1
3. 결과=103,104,1
가. Microcystis 속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위한 대상 유전자의 선정 및 PCR primer의 제작=103,104,2
나. N-methyltransferase domain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국내ㆍ외 Microcystis 균주들의 분자계통학 연구=104,105,3
4. 고찰=106,107,4
제5절 유독 Microdystis 탐침을 위한 primer개발을 위한 연구=110,111,1
1. 서론=110,111,2
2. 재료 및 방법=111,112,1
가. 남조류 균주 및 배양 조건=111,112,3
나. 남조류와 세균의 genomic DNA 추출=114,115,1
다. 유독 Microcystis 균주를 감지하는 특이 유전자 탐침의 제작=114,115,1
라. 남조류 균주의 독소 생산 여부 결정=114,115,2
마. 유독 Microcystis 균주를 감지하기 위한 유전자 탐침의 PCR 증폭=115,116,2
바. 유독 Microcystis 균주를 감지하는 특이 유전자 탐침 적용 실험=116,117,1
3. 결과=116,117,1
가. 유독 Microcystis 균주를 감지하는 특이 유전자 탐침의 제작 및 PCR 증폭=116,117,3
나. 남조류 균주의 독소 생산 측정=118,119,2
다. 유독 Microcystis 균주를 감지하는 특이 유전자 탐침 적용 실험=119,120,3
4. 고찰=121,122,2
제6절 남조의 특정 16S rRNA를 이용한 탐색 방법에 관한 연구=123,124,1
1. 서론=123,124,1
2. 재료 및 방법=123,124,3
3. 결과 및 고찰=125,126,2
제7절 Moraxella sp. CK-1의 세포외 autolysin의 분리=127,128,1
1. 서론=127,128,4
2. 재료 및 방법=130,131,1
가. 사용균주와 배양조건=130,131,1
나. Crude extracellular autolysis의 농축=130,131,1
다. FPLC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130,131,2
3. 결과=131,132,5
4. 고찰=135,136,2
제8절 알긴산을 이용한 박테리아 생식 캡슐의 제조=137,138,1
1. 서론=137,138,1
2. 재료 및 방법=138,139,2
3. 결과 및 고찰=139,140,4
제9절 남조 살조세균에 대한 탐색=143,144,1
1. 서론=143,144,1
2. 재료 및 방법=144,145,1
가. Culture=144,145,1
나. Isolation of Cyanobacteria-lysing bacteria=144,145,1
다. 16S rDNA sequence에 의한 bacteria의 동정=144,145,1
라. Algicidal activity test=144,145,1
3. 결과=144,145,1
가. Anabaena-lysing bacteria의 분리=144,145,2
나. Algicidal activity of Anabaena-lysing Bacteria=145,146,2
다. Anabaena-lysing bacteria의 동정=146,147,2
4. 고찰=147,148,2
제10절 수화발생 저수지로부터 남조류 분해능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리=149,150,1
1. 서론=149,150,1
2. 재료 및 방법=149,150,1
가. 채수=149,150,2
나. 남조류 분해능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리=150,151,1
다. 동정=150,151,1
라. 생장 곡선=150,151,1
마. 분해효소의 확인=150,151,2
바. 남조류 분해능 측정=151,152,1
3. 결과 및 고찰=151,152,4
제11절 한강수계의 Predator탐색 및 섬모충 플랑크톤의 종천이 연구=155,156,1
1. 서론=155,156,1
2. 재료 및 방법=155,156,1
가. 조사시기 및 지역의 특성=155,156,2
나. 섬모충플랑크톤 현존량=156,157,2
3. 결과=157,158,5
4. 고찰=161,162,2
제12절 Anabaena cylindrica 분해세균의 분리 및 동정=163,164,1
1. 서론=163,164,1
2. 재료 및 방법=163,164,1
가. 시료의 채취=163,164,2
나. 남조류의 배양조건=164,165,1
다. 남조류 분해세균의 분리=164,165,1
라. 분리세균의 남조류 분해 활성도=164,165,2
마. 165 rDNA의 PCR 증폭=165,166,1
바. PCR 증폭 산물의 염기서열 분석=165,166,2
3. 결과 및 고찰=166,167,1
가. 남조류 분해 세균의 분리=166,167,1
나. 남조류의 분해 활성도 측정=167,168,2
다. 165 rDNA 증폭=168,169,2
라. PCR 증폭 산물의 sequence 분석=169,170,2
제13절 녹조 천적생물의 검색과 먹이생물의 개발=171,172,1
1. 서론=171,172,1
2. 재료 및 방법=171,172,1
가. 식물플랑크톤 준비 및 배양=171,172,2
나. 윤충류 B. calyciflorus 배양 및 준비=173,174,1
다. 섭식 실험=173,174,1
3. 결과=173,174,5
4. 논의=177,178,1
제14절 천적생물 나팔벌레의 배양기술 개발과 미세조류 포식능 탐색=178,179,1
1. 서론=178,179,2
2. 재료 및 방법=180,181,1
가. 나팔벌레의 분리 및 동정=180,181,1
나. 나팔벌레의 배양=180,181,2
다. 나팔벌레의 섭식률 측정:Ingestion rates on natural assemblage FLP(Fluorescently Labeled Prey) of Stentor roeselii=181,182,1
라. 나팔벌레의 성장률 측정=181,182,1
3. 결과=181,182,1
가. 나팔벌레의 형태적 특징 및 동정=181,182,2
나. 나팔벌레의 배양기술 개발=183,184,2
다. 나팔벌레의 섭식률=184,185,3
라. 나팔벌레의 성장률=186,187,2
4. 논의=187,188,4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191,192,2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193,194,1
1. 최종목표=193,194,1
2. 단계목표=193,194,1
3. 연차별 연구목표 및 내용=193,194,1
4. 계획대비 달성도=194,195,1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94,195,1
1. 대표적 성공사례=194,195,2
2. 연구개발성과 현황=196,197,1
가. 연구결과의 산업화 실적=196,197,1
나. 특허출원/등록=196,197,2
다. 논문게재=197,198,7
라. 학술발표=203,204,2
마. 심포지움=204,205,1
바. NRL 해당기술 관련 수상실적=204,205,1
3. 기타 계획하지 않은 연구성과=205,206,1
4. 공공기능수행실적=205,206,1
가. 자문활동=205,206,2
나. 심포지움 개최 및 전문도서발행=206,207,2
다. 토론회 및 칼럼=207,208,1
라. 홈페이지 운영 및 활용 현황=207,208,2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209,210,2
제1절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및 활용가능성=211,212,1
제2절 타 연구에의 응용 및 기업화 방안=211,212,1
1. 연구개발결과의 우수성/창의성=211,212,1
2.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211,212,2
3. 연구개발결과에 대한 활용가능성=212,213,1
4. 공개 발표된 연구개발성과(논문,지적소유권,발표회 개최 등)=212,213,1
5. 연구개발결과에 대한 종합의견=212,213,1
6.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및 향후조치에 대한 의견=212,213,1
제3절 기대 효과=213,214,1
1. 기술적 측면=213,214,1
2. 경제ㆍ산업적 측면=213,214,1
제4절 앞으로의 전망=214,215,1
1. 향후 기술 수요전망=214,215,1
2. 국내의 기술수요 및 투자 전망=214,215,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과학기술정보=217,218,2
제1절 청정기술개발 관련 내용=219,220,1
제2절 살조세균 분리 및 분비 물질=220,221,1
제3절 관련 연구 논문=220,221,1
제7장 참고문헌=221,222,22
제8장 연구결과 활용계획서=243,244,2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한명수=245,246,16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4
CONTENTS=14,15,15
I. Introduction=29,30,2
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Project=31,32,2
2. Scope and Need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33,34,1
1) Importances In Economic,Society and Technology=33,34,2
2) Importances of Biomanipulation in Multifunctional Technology Development of Ecotechnology for Water Clean-up=34,35,2
3) Importances of Mixed Culture with HABs Predators and Algalcidal Bacteria=35,36,1
3. Technologies Harvested=36,37,1
1) Eutrophication Control Using Microorganism=36,37,1
2) Application for the biomanipulation=36,37,1
3) Physiological Ecology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Establishment of Diverse Algal Culture Techniques and Accumulated a Store of Wide Knowledge of Algal Biology=37,38,2
II. Technology Trends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39,40,2
1. Trend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world=41,42,1
2. Trend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Domestic=42,43,1
III. Results and Discussion=43,44,2
1. Microbial Food-Web in Aquatic System:Various-Sized Plankton Community in Lake and Stream=45,46,1
1) Introduction=45,46,3
2) Materials and Methods=47,48,1
(1) Physical Characterizations of Study Stations=47,48,1
(2) Study Period and Station=47,48,2
(3) Physicochemical Parameters=48,49,1
(4) Carbon Biomass of Microbial Components=49,50,1
3) Results=49,50,1
(1) Changes of Physicochemical Variables=49,50,4
(2) Seasonal Changes in Bacterial Abundance and Carbon Contents=52,53,3
(3) Seasonal Changes in Cyanobacteria and Carbon Contents=54,55,3
(4) Autotrophics=56,57,3
(5) Heterotrophics=58,59,3
(6) Seasonal Changes in Carbon Biomass in Microbial Components=60,61,3
(7) Seasonal Changes in Dominant Phytoplankton=62,63,3
4) Discussion=64,65,1
(1) Characterization of Water Environments=64,65,2
(2)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Microbial Components=65,66,7
2. Changes of Standing Crops of Vegetative Cells along Germination of Akinete of Nostocales of Cyanobacteria=72,73,1
1) Introduction=72,73,2
2) Materials and Methods=73,74,1
(1) Study period and Stations=73,74,1
(2) Sampling of Water and Sediments=73,74,1
(3) Physicochemical Parameters=73,74,1
(4) Analysis of Vegetative Cells in Surface Water=73,74,2
(5) Isolation and Analysis of Akinetes=74,75,1
i) Sediment=74,75,1
ii) Standing Crops of Akinetes=74,75,1
iii) Measurements of Akinete Germination=74,75,2
(6) Germination Rate of Akinete at in situ Field Condition=75,76,1
3) Results=75,76,1
(1) Physicochemical Parameters=75,76,1
(2) Changes in Vegetative Cells=75,76,2
(3) Biomass of Akinetes in Sediments=77,78,1
(4) Germination Rate of Akinetes=77,78,2
(5) Germination Rate of Akinete at in situ Field Condition=78,79,2
4) Discussion=79,80,3
3.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Succession with Various Nutrient Limitation=82,83,1
1) Introduction=82,83,2
2) Materials and Methods=83,84,1
(1) Study Station=83,84,1
(2) Study Period and Stations=83,84,2
(3) Physicochemical Parameters=84,85,2
(4) Phytoplankton Composition Caused by Nutrient Stress=85,86,3
3) Results=87,88,1
(1) Changes of Physicochemical Variables=87,88,1
i) Water Temperature=87,88,1
ii) pH=87,88,1
iii) Conductivity=87,88,1
iv) Chlorophyll a=87,88,2
v) DO=88,89,1
vi) Nutrient=88,89,1
(i) Nitrate+Nitrite(NO₃-+NO₂-)(이미지참조)=88,89,1
(ii) Phosphate(PO₄³-)(이미지참조)=88,89,1
(iii) Silicate(SiO₂)=88,89,1
(iv) Total phosphorous=88,89,1
(v)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88,89,2
(vi) Particulate Organic Nitrogen (PON)=89,90,1
vii) Changes of Phytoplankton Composition Caused by Nutrient Stress=89,90,1
4) Discussion=89,90,10
4. Geographical Pattern of Microcystis Using the Partial Sequences of N-methyltransferase Domain of mcyA=99,100,1
1) Introduction=99,100,2
2) Materials and Methods=100,101,1
(1) Culture Condition of Strain Microcystis=100,101,2
(2) Genomic DNA Extraction of Microcystis=101,102,1
(3) Primer Preparation for Amplication of N-methyltransferase Domain=101,102,1
(4) PCR Amplication of Partial N-methyltransferase Domain=101,102,2
(5) Cloning in Process=102,103,1
(6) DNA Sequencing=102,103,2
(7) Phylogenetic Analysis of Strain Microcystis=103,104,1
3) Results=103,104,1
(1) Selection of Microcystis for the Phylogenetic Analysis and Primer Preparation=103,104,2
(2)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n the Domestic and Foreign Strain by the Sequencies of N-methyltransferase Domain=104,105,3
4) Discussion=106,107,4
5. Development of Oligonucleotide Primers for Detecting Toxin-producing Microcystis=110,111,1
1) Introduction=110,111,2
2) Materials and Methods=111,112,1
(1) Culture Condition of Strain Microcystis=111,112,3
(2) Genomic DNA Extraction of Bacteria and Cyanobacteria=114,115,1
(3) Preparation of Specific Gene Probe to Detect the Toxic Strain Microcystis=114,115,1
(4) Evaluation of Toxin Production of Cyanobacteria=114,115,2
(5) PCR amplication of Gene Probe to Detect the Toxic Strain Microcystis=115,116,2
(6) Application of Gene Probe to Detect the Toxic Strain=116,117,1
3) Results=116,117,1
(1) PCR amplication of Gene Probe to Detect the Toxic Strain Microcystis=116,117,3
(2) Measurement of Cyanobacterial Toxin=118,119,2
(3) Application of Gene Probe to Detect the Toxic Strain=119,120,3
4) Discussion=121,122,2
6. Application of Using Sequence-Specific 16S rRNA Gene Oligonucleotide Probes for Profiling of Specific Cyanobacteria=123,124,1
1) Introduction=123,124,1
2) Materials and Methods=123,124,3
3) results and Discussion=125,126,2
7. Purification of Extracellular Autolysin from Moraxella sp. Ck-1=127,128,1
1) Introduction=127,128,4
2) Materials and Methods=130,131,1
(1) Strain and Culture Condition=130,131,1
(2) Crude Extracellular Autolysis=130,131,1
(3) FPLC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130,131,2
3) Results=131,132,5
4) Discussion=135,136,2
8. Preparation of Cyanobacteria Lysing Capsules by Sodium Alginate=137,138,1
1) Introduction=137,138,2
2) Materials and Methods=138,139,2
3) Results and Discussion=139,140,4
9. Identification of Algicide Controlling the Cyanobacteria=143,144,1
1) Introduction=143,144,1
2) Materials and Methods=144,145,1
(1) Culture=144,145,1
(2) Isolation of Cyanobacteria-lysing Bacteria=144,145,1
(3) Identification of Bacteria Using a 16S rDNA Sequence=144,145,1
(4) Algicidal Activity Test=144,145,1
3) Results=144,145,1
(1) Isolation of Anabaena-lysing bacteria=144,145,2
(2) Algicidal activity of Anabaena-lysing Bacteria=145,146,2
(3) Identification of Anabaena-lysing bacteria=146,147,2
4) Discussion=147,148,2
10. Isolation of the Microbes having Cyanobacteria Lytic Activity from Blooming Reservoirs=149,150,1
1) Introduction=149,150,1
2) Materials and Methods=149,150,1
(1) Water Sampling=149,150,2
(2) Isolation of Cyanobacteria Lysing Bacteria=150,151,1
(3) Identification=150,151,1
(4) Growth Curve=150,151,1
(5) Identification of Digestion Enzyme=151,151,2
(6) Measurement of Cyanobacterial Digestion=151,152,1
3) Results and Discussion=151,152,4
11. Studies on the Changes of Abundance and Succession of Freshwater Ciliates in Han River System=155,156,1
1) Introduction=155,156,1
2) Materials and Methods=155,156,1
(1) Study period and Sampling Stations=155,156,2
(2) Biomass of Ciliates plankton=156,157,2
3) Results=157,158,5
4) Discussion=161,162,2
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abaena cylindrica Lysing bacteria=163,164,1
1) Introduction=163,164,1
2) Materials and Methods=163,164,1
(1) Sampling=163,164,2
(2) Culture Condition of Cyanobacteria=164,165,1
(3) Isolation of Cyanobacteria Lysing Bacteria=164,165,1
(4) Digestion Activity of Cyanobacteria Lysing Bacteria=164,165,2
(5) PCR Amplication of 16S rDNA=165,166,1
(6) Base Sequency Analysis of PCR Product=165,166,2
3) Results and Discussion=166,167,1
(1) Isolation of Cyanobacteria Lysing Bacteria=166,167,1
(2) Digestion Activity of Cyanobacteria Lysing Bacteria=167,168,2
(3) PCR Amplication of 16S rDNA=168,169,2
(4) Base Sequency Analysis of PCR Product=169,170,2
13. Culture and Development of Profitable Prey,Freshwater Green Algae=171,172,1
1) Introduction=171,172,1
2) Materials and Methods=171,172,1
(1) Culture of Prey,Green Algae=171,172,2
(2) Culture of Rotifer,B. calyciflorus=173,174,1
(3) Feeding Experiments=173,174,1
3) Results=173,174,5
4) Discussion=177,178,1
14. Development of Culture Method of Stentor roeselii and its Grazing Activity to Various Preys=178,179,1
1) Introduction=178,179,2
2) Materials and Methods=180,181,1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entor roeselii=180,181,1
(2) Culture of Stentor roeselii=180,181,2
(3) Ingestion Rates on Natural Assemblage FLP of Stentor roeselii=181,182,1
(4) Growth Rate of Stentor roeselii=181,182,1
3) Results=181,182,1
(1) Morphological Features and Identification of Stentor roeselii=181,182,2
(2) Culture Techniques of Stentor roeselii=183,184,2
(3) Feeding Experiment of Stentor roeselii=184,185,3
(4) Growth Rate of Stentor roeselii=186,187,2
4) Discussion=187,188,4
IV.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Research Output=191,192,2
1. Achieve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193,194,1
1) Final Goals=193,194,1
2) Sub-Goals=193,194,1
3) Purpose and Contents of Research in Stepwise=193,194,1
4) Achievement of Research Plans=194,195,1
2. Contribution to the Related Field=194,195,1
1)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cess=194,195,2
2) States of Outcomes=196,197,1
(1) Industrial Application of Research Product=196,197,1
(2) Patents=196,197,2
(3) Published in Journals=197,198,7
(4) Academic Presentation=203,204,2
(5) Symposium=204,205,1
(6) Awards to the Related NRL=204,205,1
3) Others not Planned=205,206,1
4) Public Performance Lists=205,206,1
(1) Consultation=205,206,2
(2) Symposium Open and Publications=206,207,2
(3) Discussion and Column=207,208,1
(4) Homepage Management and Application=207,208,2
V. Practical Use of Research and Development=209,210,2
1. Application Planes and Possibilities of Research Products=211,212,1
2. Application Planes and Industrialization to the other research fleld=211,212,1
1) Excellence and Originality of Research Results=211,212,1
2) Influences of Research Results=211,212,2
3)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Research Results=212,213,1
4) Research Products published in Journals,License,Presentations=212,213,1
5) Total Summary to the Research Results=212,213,1
6) Application Plans of Research Results and Opinions in Future=212,213,1
3. Expected Effects=213,214,1
1) Technical Views=213,214,1
2) Economical and Industrial Views=213,214,1
4. Prospects in Future=214,215,1
1) Prospective Demand of Techniques in Future=214,215,1
2) Technical Demand in Domestic and Investment Prospects=214,215,3
VI. Science-Technical Informations Harvested During the Project=217,218,2
1. Contents Related with Water Clean up=219,220,1
2. Isolation of Cyanobacteria Lysing Bacteria and Secretion Materials=220,221,1
3. Research Papers Related with the Research Fields=220,221,1
VII. References=221,222,22
VIII. Plans of Practical Use of This Results=243,244,1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