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최종연구보고서 초록/노병환=0,3,1
요약문=0,4,11
SUMMARY=0,15,14
CONTENTS=0,29,1
목차=0,30,1
표목차=0,31,3
그림목차=0,34,8
제1장 서론=0,42,1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4,56,12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26,68,2
제1절 PSA 기법 근거 국내 주민 피폭선량 평가 코드 및 지침 개발=27,69,25
제2절 실측자료와 예측모델을 결합한 최적 선량평가 검증기법 개발=52,94,9
제3절 HR-ICP-MS를 이용한 장반감기 방사성핵종의 신속분석법 개발=61,103,30
제4절 LEPS 이용한 (이미지참조)Pb 및 (이미지참조)Am 신속분석법 개발=91,133,17
제5절 NaI 검출기 스펙트럼 해석 및 공간선량율 계산 프로그램 개발=108,150,21
제6절 환경선량계 성능검증 체계 수립=129,171,8
제7절 배수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137,179,23
제8절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음식물중 ³H 및 (이미지참조)C 농도준위와 빗물에 의한 대기중 ³H의 세척계수=160,202,13
제9절 빗물 및 낙진중 방사성핵종의 계절적 변화=173,215,13
제10절 우리나라 주변 해수 및 해저퇴적물중 (이미지참조)Pu/(이미지참조)Pu 원자비=186,228,16
제11절 국가 환경 방사선/능 Homepage 및 통합 D/B 구축=202,244,27
제12절 방사선 비상시 주민보호조치 대응기술 개발=229,271,26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255,297,6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261,303,5
제6장 참고문헌=264-1,308,1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4
SUMMARY=0,15,14
CONTENTS=0,29,13
Chapter 1. Introduction=0,42,14
Chapter 2. States of technical development=14,56,12
Chapter 3. Results and discussion=26,68,229
Chapter 4. Achievement of the project objectives and conditions=255,297,6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the results=261,303,5
Chapter 6. Reference=264-1,308,11
그림 3-1-1. MACSS2 계산 흐름도=38,80,1
그림 3-1-2. 갑상선에 대한 주요핵종에 의한 피폭영향(좌),주요 피폭경로에 대한 Sr-90의 선량율(우)=40,82,1
그림 3-1-3. 주요 피폭경로에 대한 I-131의 선량율(좌),주요 피폭경로에 대한 Cs-137의 선량율(우)=41,83,1
그림 3-1-4. 거리별 지발성 Peak Dose(좌),ICRP 30 선량환산 적용시 암 치사율 CCDF(우)=43,85,1
그림 3-1-5. ICRP 60 선량환산 적용시 암 치사율 CCDF(좌),ICRP-30 및 ICRP-60 선량환산인자 적용에 따른 CCDF의 비교(우)=43,85,1
그림 3-1-6. V-MACCS2 초기메뉴창=48,90,1
그림 3-1-7. Run Option 메뉴창=48,90,1
그림 3-1-8. COMIDA2 자료입력 창=49,91,1
그림 3-1-9. ATMOS 자료입력 창=49,91,1
그림 3-1-10. EARLY 자료입력 창=50,92,1
그림 3-1-11. CHRONC 자료입력 창=50,92,1
그림 3-1-12. V-MACCS2 계산실행 창=51,93,1
그링 3-1-13. 요약결과보기 창=51,93,1
그림 3-1-14. CCDF 결과보기 창=51,93,1
그림 3-2-1. 환경농도 및 선량 추정 절차=56,98,1
그림 3-2-2. 월성 부지 주변 공기중 삼중수소 농도의 선형회귀 모델(95% 신뢰도)=60,102,1
그림 3-3-1. 시료 주입기 막 탈수기 온도 변화에 따른 Tc 및 Re 계측감도=62,104,1
그림 3-3-2. 질산 용액 농도에 따른 (이미지참조)Re 및 (이미지참조)Tc 감도 변화=63,105,1
그림 3-3-3. 질산 용액 농도에 따른 (이미지참조)Tc 계측영역에서의 background 효과=64,106,1
그림 3-3-4. 0.5M 질산농도에서 Tc 및 Re 농도에 따른 (이미지참조)Re/(이미지참조)Tc 감도비(좌),0.5M 질산농도에서 반복측정에 따른 (이미지참조)Re/(이미지참조)Tc 감도비(우)=64,106,1
그림 3-3-5. TEVA-Spec에서의 Tc,Ru 및 Re 용출곡선=65,107,1
그림 3-3-6. 온라인 Tc 순수분리장치 구성도=67,109,1
그림 3-3-7. TEVA-Spec에서 질산 및 염산용액 농도에 따른 Np 용출 곡선(좌) 및 TEVA에서 Np 및 Pu의 용출곡선(우)=70,112,1
그림 3-3-8. 방사성핵종 자동 분리장치를 이용한 Np 및 Pu 순수분리장치 구성도=72,114,1
그림 3-3-9. 아스코르빅산 첨가량에 따른 Np 및 Pu의 회수율=74,116,1
그림 3-3-10. 아스코르빅산 첨가 후 처리 시간에 따른 Np 및 Pu의 회수율=74,116,1
그림 3-3-11. 질산 농도에 따른 Np 및 Pu 회수율 변화=75,117,1
그림 3-3-12. 시료 처리량에 따른 회수율,U농도 및 정밀성 변화=76,118,1
그림 3-3-13. 관상로 및 산 습식분해 후 요오드 회수 및 회수율 측정=79,121,1
그림 3-3-14. 포집용액으로부터 PdI2 회수 과정=79,121,1
그림 3-3-15. 산 습식분해시 사용되는 증류장치 및 냉각장치=82,124,1
그림 3-3-16. 2500℃에서 30초 가열시 I-127 스펙트럼(좌),시료주입 뚜껑 개폐에 따른 I-129와 Xe-129 피크의 상승과 안정화(우)=85,127,1
그림 3-3-17. I-127,I-129,Xe-129의 시료 주입구 개폐시 피크 변화=86,128,1
그림 3-3-18. 시료 가열에 의한 I-127 및 I-129 표준시료의 시료 및 재연소 스펙트럼=86,128,1
그림 3-3-19. ETV 이용시 background 스펙트럼(좌) 및 I-129의 정밀성 검토(우)=87,129,1
그림 3-3-20. SIM모드에서의 PdI₂용해액에 대한 I-129 스펙트럼(좌)과 정량계측 모드에서 PdI₂표준용해액에 대한 외부표준 보정 곡선(우)=88,130,1
그림 3-3-21. I-129에 대한 외부 표준보정 곡선=89,131,1
그림 3-3-22. ETV-ICP-MS를 이용한 I-129 측정시 I-127 방해효과=89,131,1
그림 3-4-1. 저준위 계측실내 Gamma Spectrometry 시스템 설치도=91,133,1
그림 3-4-2. 계측용기=91,133,1
그림 3-4-3. LEPS의 Semi Planar 검출기와 P-type 검출기의 피이크효율 곡선 비교=92,134,1
그림 3-4-4. 표준용적선원의 높이별 LEPS 검출기의 피이크 효율 곡선=93,135,1
그림 3-4-5. (이미지참조)Pb의 밀도변화에 따른 토양매질 표준시료의 효율=94,136,1
그림 3-4-6. 겉보기 밀도가 1일 때 토양매질의 효율과 액상선원의 효율 비교=94,136,1
그림 3-4-7. 계측용기와 검출기의 기하학적 배치구조=96,138,1
그림 3-4-8. 감마선에너지에 대한 기울기의 변화=97,139,1
그림 3-4-9. 감마선에너지에 대한 절편의 변화=97,139,1
그림 3-4-10. 토양시료의 겉보기밀도에 대한 핵종별 투과계수=99,141,1
그림 3-4-11. 감마선에너지에 대한 기울기=100,142,1
그림 3-4-12. 감마선에너지에 대한 절편=100,142,1
그림 3-4-13. 토양성분중 SiO₂에 대한 질량감쇄계수=102,144,1
그림 3-4-14. 현무암에서의 감마선에너지에 대한 총질량감쇄계수=104,146,1
그림 3-4-15. 동굴 실험실 입구(좌) 및 실험실 내부의 차폐된 HPGe검출기(우)=105,147,1
그림 3-5-1. NaI 스펙트럼에서 2614 keV 피크 및 가우스 평활화 2차 미분 스펙트럼(좌) 661 keV의 실제 피크(A)와 피크 중심 위치 결정을 위해 만든 가우스 함수(우)=108,150,1
그림 3-5-2. NaI 섬광체에서 측정된 흡수 에너지에 대한 파고의 비 선형성=109,151,1
그림 3-5-3. 온도에 따른 2614keV 피크 위치의 변동. 파고의 기준은 평균값(좌),스펙트럼 측정전.후 30분간 1.5℃ 이하로 변한 경우에 2614 keV 피크의 위치 변화(우)=110,152,1
그림 3-5-4. 스펙트럼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한 3" X 3" NaI 스펙트럼에서 2614 keV 피크에 대한 239,351,1460keV 피크의 위치비(2000.1.2~1.6.)(좌),스펙트럼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3" X 3" NaI 스펙트럼에서 239,351,1460,2614 keV 피크의 위치=111,153,1
그림 3-5-5. 스펙트럼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3" X 3" NaI 스펙트럼에서 239,351,1460,2614 keV 피크의 위치 변화=112,154,1
그림 3-5-6. 월성 원전 근처에서 측정한 NaI와 HPGe 검출기 스펙트럼=113,155,1
그림 3-5-7. 온도에 따른 파고 변화가 있었던 스펙트럼(좌)과 에너지 교정된 스펙트럼(우)=114,156,1
그림 3-5-8. NaI 와 공기에서 감마선의 질량 에너지 흡수의 비=115,157,1
그림 3-5-9. 전형적인 NaI 스펙트럼과 에너지대 방법의 에너지 대=116,158,1
그림 3-5-10. 토양 중 (이미지참조)K 농도와 선량률 사이의 관계=117,159,1
그림 3-5-11. 1999. 1. 15 ~ 1. 29까지 30분 간격으로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이미지참조)K(위),(이미지참조)U(중),(이미지참조)Th(하)의 선량률을 조사한 결과=118,160,1
그림 3-5-12. 가압전리함 측정 선량률과 NaI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된 선량률=119,161,1
그림 3-5-13. (이미지참조)U계열의 선량변환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 청주지역에서 스펙트럼을 측정한 기간(1999.1.15~l.29) 동안의 선량률(좌),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한 (이미지참조)U계열의 선량률과 총선량률 (우)=120,162,1
그림 3-5-14. 총에너지 법에 의한 선량률과 에너지대 방법에 의한 선량률의 차=121,163,1
그림 3-5-15. RC-ERM으로 측정한 이상 스펙트럼그림 (좌),RC-ERM으로 측정한 이상 스펙트럼(우)=122,164,1
그림 3-5-16. 환경 방사선 감시 프로그램에서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 (좌),환경 방사선 감시 프로그램에서 스펙트럼 표시 (우)=123,165,1
그림 3-5-17.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화면=124,166,1
그림 3-5-18. 고리 원자력발전소에서 2001. 4. 25 ~ 5. 14 까지 측정한 선량률(좌),그림 3-5-35. 2001. 4. 25일부터 5. 14일까지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측정된 NaI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한 (이미지참조)K 선량률 (우)=124,166,1
그림 3-5-19. (이미지참조)U계열에 의한 선량과 총 선량 사이의 관계=125,167,1
그림 3-5-20. 2001 4. 25일부터 4. 28일까지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측정된 NaI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한 (이미지참조)K,(이미지참조)U 계열에 의한 선량률=125,167,1
그림 3-5-21. BKG 스펙트럼으로부터 (이미지참조)U 스펙트럼을 제거한 스펙트럼 적색:BKG 스펙트럼,흑색:(이미지참조)U 스펙트럼을 제거한 스펙트럼(좌),2001. 4. 25~5. 14 일까지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측정한 NaI 스펙트럼으로부터 총 에너지방법과 에너지대 방법으로 계=126,168,1
그림 3-5-22. 2001. 5. 16 ~ 6.5까지 고리원전에서 가압전리함 선량계로 측정한 선량률=127,169,1
그림 3-5-23. 2001. 5. 16일부터 6. 5일까지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측정한 NaI 스펙트럼으로부터 총 에너지 방법과 에너지대 방법으로 계산한 총선량률의 차이(좌),(이미지참조)Co에 의한 영향을 보여주는 2001. 5. 18일에 고리 원전에서 측정된 NaI 스펙트럼. ((이미지참조=127,169,1
그림 3-5-24. (이미지참조)U계열의 선량률과 총선량률 사이의 관계=128,170,1
그림 3-6-1. 중ㆍ저준위 선량률 조사를 위한 장치 및 콘트롤 시스템=130,172,1
그림 3-6-2. 환경선량계 운영 요건 및 기준=131,173,1
그림 3-6-3. 환경선량계 성능 요건 및 기준 분석결과=132,174,1
그림 3-6-4. 자체성능검사 결과=134,176,1
그림 3-6-5. 저에너지 엑스선장의 에너지 스펙트럼=136,178,1
그림 3-7-1. 배수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138,180,1
그림 3-7-2. 제작된 시험용 LSD 챔버=139,181,1
그림 3-7-3. Prototype LSD설계 (I)=139,181,1
그림 3-7-4. Prototype LSD설계 (II)=139,181,1
그림 3-7-5. Prototype LSD설계 (III)=140,182,1
그림 3-7-6. 제작된 챔버 (I)=140,182,1
그림 3-7-7. 제작된 납 차폐체와 챔버 (II)=140,182,1
그림 3-7-8. 제작된 모터 구동 부분 (III)=140,182,1
그림 3-7-9. 조립된 Prototype LSD 상부 모습(챔버와 광 차폐체)=140,182,1
그림 3-7-10. 조립된 Prototype LSD 하부 모습(샘플 병 이송 장치)=140,182,1
그림 3-7-11. 스테핑 모터 컨트롤러=141,183,1
그림 3-7-12. 설계된 샘플 자동 교환 장치 및 LSD 챔버=142,184,1
그림 3-7-13. 배수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계부 설계도=143,185,1
그림 3-7-14. 왼쪽 그림은 캡핑 유닛의 설계안이며,오른쪽 그림은 제작된 실물 사진=143,185,1
그림 3-7-15. 왼쪽 그림은 에어척,이중행정실린더,그리고 리니어 스테이지로 구성된 샘플의 상하운동과 캡핑을 위한 시료자동 주입장치 하단부의 설계안이며,오른쪽 그림은 제작된 실물 사진=143,185,1
그림 3-7-16. 왼쪽 그림은 폐수 시료와 액체 섬광체 자동 혼합 장치의 설계안이며 오른쪽 그림은 제작된 실물 사진=144,186,1
그림 3-7-17. 배수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 통합의 개념도=145,187,1
그림 3-7-18. 동시 계수 회로와 MCA 회로를 위한 개념도=145,187,1
그림 3-7-19. 다수 베타선 핵종 분석용 윈도우즈 프로그램 주 화면=146,188,1
그림 3-7-20. 백그라운드 시료의 PAC 스펙트럼=147,189,1
그림 3-7-21. 백그라운드 시료의 PAC을 적용한 경우=147,189,1
그림 3-7-22. 백그라운드 시료의 PAC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MAIN ADC 보드)=147,189,1
그림 3-7-23. 백그라운드 시료의 PAC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SUB ADC 보드)=147,189,1
그림 3-7-24. ³H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49,191,1
그림 3-7-25. (이미지참조)C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49,191,1
그림 3-7-26. (이미지참조)Cl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49,191,1
그림 3-7-27. (이미지참조)Sr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49,191,1
그림 3-7-28.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H-3)=150,192,1
그림 3-7-29.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C-14)=150,192,1
그림 3-7-30.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CL-36)=150,192,1
그림 3-7-31.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SR-90)=150,192,1
그림 3-7-32. ³H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52,194,1
그림 3-7-33. (이미지참조)C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52,194,1
그림 3-7-34. (이미지참조)Cl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52,194,1
그림 3-7-35. (이미지참조)Sr에 대한 1분 동안의 검출 한계=152,194,1
그림 3-7-36.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H-3)=152,194,1
그림 3-7-37.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C-14)=152,194,1
그림 3-7-38.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CL-36)=153,195,1
그림 3-7-39. 측정시간에 따른 99.73% 검출 한계의 변화 (SR-90)=153,195,1
그림 3-7-40. 핵종별 방사능값 계산 알고리즘=155,197,1
그림 3-7-41. 측정된 표준 시료의 베타선 스펙트럼=156,198,1
그림 3-7-42. 표준 시료중 백그라운드 베타선 스펙트럼=157,199,1
그림 3-7-43. 혼합 시료(Mix-1,Mix-2,Mix-3)의 베타선 스펙트럼=157,199,1
그림 3-7-44. 64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계산한 ³H의 채널별 표준소광보정곡선=157,199,1
그림 3-7-45. 64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계산한 (이미지참조)C의 채널별 표준소광보정곡선=157,199,1
그림 3-7-46. 64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계산한 (이미지참조)Cl의 채널별 표준소광보정곡선=158,200,1
그림 3-7-47. 64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계산한 (이미지참조)Sr의 채널별 표준소광보정곡선=158,200,1
그림 3-7-48. 정량 펌프의 정량성 시험 결과 (최대 속도 설정시)=159,201,1
그림 3-7-49. 디스펜서의 정량성 시험 결과=159,201,1
그림 3-8-1. 쌀 및 보리의 세척 회수에 따른 OBT 농도의 변화(좌),콩 및 팥의 세척 회수에 따른 OBT 농도의 변화(우)=161,203,1
그림 3-8-2. 지점별 total diet 중의 (이미지참조)C 방사능농도(좌),지점 및 계절별 total diet 중의 (이미지참조)C 방사능농도(우)=164,206,1
그림 3-8-3. 빗물시료 채취지점=166,208,1
그림 3-8-4. N 1km 지점에서 측정 및 계산한 삼중수소 농도=167,209,1
그림 3-8-5. SW 1km 지점에서 측정 및 계산한 삼중수소 농도=167,209,1
그림 3-8-6. W 2km 지점에서 측정 및 계산한 삼중수소 농도=167,209,1
그림 3-8-7. Active Type ³H 와 (이미지참조)C 포집기=169,211,1
그림 3-8-8. ³H와 (이미지참조)C의 화학형별 분리포집기=169,211,1
그림 3-8-9. Furnace의 간이 설계 개념도=170,212,1
그림 3-8-10. 화학형별 포집용 ³H 및 (이미지참조)C 동시 포집장치=171,213,1
그림 3-9-1. AMP disk를 이용한 Cs용액으로부터 Rb제거에 대한 용출곡선=174,216,1
그림 3-9-2. 대기시료중 (이미지참조)Cs,(이미지참조)Sr 및 Pu 축차분리 과정도=175,217,1
그림 3-9-3. AMP disk를 이용한 Cs과 Rb의 분리=176,218,1
그림 3-9-4. 총강하물중 인공방사성핵종들의 월별 변화(강하량 및 방사능농도)=181,223,1
그림 3-9-5.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황사 발원지=185,227,1
그림 3-10-1.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의 표층해수 채취 지점=187,229,1
그림 3-10-2. PT 2 및 Axiom에 의해 측정된 (이미지참조)Pu/(이미지참조)Pu원자비 계측결과 비교=188,230,1
그림 3-10-3. 경도별 우리나라 주변 해역 표층해수중 (이미지참조)Pu 농도 변화=189,231,1
그림 3-10-4.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이미지참조)Pu/(이미지참조)Pu 원자비=191,233,1
그림 3-10-5. 해수중 (이미지참조)Pu/(이미지참조)Pu 원자비와 염분도간 상관관계=192,234,1
그림 3-10-6. 동해해역의 1개 정점( 북위 37˚25.0'N,동경 131˚30.3')에서 수심별 (이미지참조)Pu 방사능 농도와 (이미지참조)Pu/(이미지참조)Pu 원자비 변화=193,235,1
그림 3-10-7. 우리나라 주변 해역과 서북태평양 해역에서의 해류 흐름 개략도 (Ichiye,1984;Apel,1987)=196,238,1
그림 3-10-8. 입자성 및 용존성 핵종분포를 조사하기 위한 시료채취 지점=198,240,1
그림 3-10-9.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의 입자성 및 용존성 (이미지참조)Pu,(이미지참조)Pu 과 (이미지참조)Np 농도의 수직분포=200,242,1
그림 3-11-1. 구현 및 서비스 환경=202,244,1
그림 3-11-2. 시스템 구조=203,245,1
그림 3-11-3. CLEAN 시스템 Homepage=205,247,1
그림 3-11-4.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조=206,248,1
그림 3-11-5. 통합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실행 결과(좌) 및 통합정보 구축현황 검색(우)=207,249,1
그림 3-11-6. 시료 상세 정보 검색=208,250,1
그림 3-11-7. 데이터의 구성=210,252,1
그림 3-11-8. 계층의 구성 및 총계의 구성=210,252,1
그림 3-11-9. 분기/지점 드릴=212,254,1
그림 3-11-10. 확장 분석=212,254,1
그림 3-11-11. 데이터마트 사용자 화면=213,255,1
그림 3-11-12. 지점 표시 기능=216,258,1
그림 3-11-13. 지점 정보 표시 기능=217,259,1
그림 3-11-14. 지점 상세 정보 표시 기능=218,260,1
그림 3-11-15. 1단계 브라우징 후 표시된 맵(축척:1/100,000)=220,262,1
그림 3-11-16. 지리정보기반 검색 메인화면=221,263,1
그림 3-11-17. 맵 이동 구현 사례=222,264,1
그림 3-11-18. 그래프 표현 결과=223,265,1
그림 3-11-19. 방사능 농도 Color 표현 결과=225,267,1
그림 3-11-20. 지리정보기반 검색 메인=226,268,1
그림 3-11-21. 영광 발전소 주변 브라우징 결과 화면=227,269,1
그림 3-12-1. 고리원자력본부 방사선비상계획서에 근거한 주민소개 계획(좌),주민예상 피폭선량에 근거한 주민보호조치 실시의 경우(우)=245,287,1
그림 3-12-2. 방사능구름의 영향을 고려한 주민소개경로=247,289,1
그림 3-12-3. 피폭선량이 높게 발생하는(상위 8개) 주민소개경로=249,291,1
그림 3-12-4. 환경 방사능 감시 소프트웨어(RADACS,MOVERS)=251,293,1
그림 3-12-5. 시계열 측정 선량률(상)과 변환 공간 감마선량률=252,294,1
그림 3-12-6. 공기 부유진 채집 후 경과시간에 따른 전베타 방사능의 감쇄=252,294,1
그림 3-12-7. 공기 부유진 방사능과 시계열 변동=252,294,1
그림 3-12-8. 공기 부유진 방사능과 시계열 변동=253,295,1
그림 3-12-9. 모니터링차량의 지붕에 장착된 GM관 선량계와 기준 가압전리함 선량계간 측정 선량률의 관계=253,295,1
그림 3-12-10. 차량 속도 10km/h시 실제 선량률과 측정선량률=254,296,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