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i,2,1
보고서초록/박용하=ii,3,1
요약문=iii,4,6
SUMMARY=ix,10,2
CONTENTS=xi,12,2
목차=xiii,14,6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20,1
제1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1,20,2
제2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내용범위=2,21,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4,23,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6,25,1
보고서 Part I:LMOs의 위해성 저감을 위한 기획 및 관리기술 개발=7,26,1
제1절. 서론=7,26,3
제2절 시험ㆍ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취급 및 관리 지침 개발(과학기술부 부분)=10,29,2
제3절 생명공학안전성평가기술개발사업의 진도평가=12,31,1
1. 진도평가단 및 진도평가절차=12,31,1
가. 진도평가단=12,31,1
나. 평가절차=13,32,1
다. 평가서양식 및 작성요령=13,32,24
2. 진도평가 결과종합=37,56,1
가. 2002년 진도평가 결과=37,56,16
나. 2002년도 수정보완대비표=53,72,25
다. 2003년 진도평가 결과 종합=78,97,23
라. 2003년 수정보완대비표=101,120,37
제4절 차기년도 평가기법 개발목표 및 방향=138,157,1
1. 진도평가단의 평가기법 개발목표 및 방향=138,157,1
가. 진도평가단의 평가기법 개발목표 및 방향의견 (2002년)=138,157,2
나. 진도평가단의 평가기법 개발목표 및 방향의견 (2003년 전반기)=139,158,3
다. 진도평가단의 평가기법 개발목표 및 방향의견 (2003년 후반기)=141,160,4
2. LM작물 개발 동향과 기술 개발에 따른 개발 목표 및 방향=145,164,1
가. 국내 수입ㆍ유통 예상 LM작물 개발동향에 따른 개발목표 및 방향=145,164,4
나. 국제 LM작물 개발 기술동향에 따른 개발목표 및 방향=148,167,2
제5절 LMO의 현황=150,169,3
1. 변형 형질의 종류=153,172,1
가. 식용 백신=153,172,2
나. 제초제 내성=154,173,2
다. 해충 저항성=155,174,2
라. 바이러스,박테리아,곰팡이 저항성=156,175,1
마. 질적 향상 형질=157,176,3
바. 기타 형질=159,178,3
2. 상품화 완료된 LM작물 현황=162,181,1
가. 품종별 통계=162,181,2
나. 유전자형질별 통계=163,182,5
3. 개발완료된 LM작물 현황=168,187,1
가. 품종별=168,187,1
나. 유전자형질별=169,188,4
다. 국가별=173,192,1
4. LM 작물의 환경방출실험 작물 현황=174,193,1
가. 미국=174,193,3
나. 유럽 연합=177,196,3
다. 일본=180,199,2
라. 중국=182,201,2
마. 한국=184,203,2
5. 국내 유통 LM작물 추정현황=186,205,1
가. LM작물의 재배면적 기준 생산현황=186,205,2
나. 국내 LM작물의 유통 추정현황=187,206,5
6. 최근 LM작물 개발동향=192,211,1
가. 향후 6년 내 상품화 작물 현황=192,211,3
나. 최신 중요 LMO 개발 현황=194,213,12
7. 형질변형 기술=206,225,1
가. Marker free기술=206,225,3
나. 색소체형질전환(Transplastomic Technology)=208,227,3
다. 종자불임기술(Terminator Technology)=210,229,3
라. 새로운 Gene Splicing System 개발=213,232,1
마. 전분 함량 증대 유전자 도입 기술=213,232,2
바. 환경 스트레스 내성=214,233,1
사. Cre 재조합효소 이용 유전자 구조의 후성학적 조절=215,234,2
아. 진그립(GeneGrip) 기술=216,235,1
자. 새우 알레르기원 변형 기술=216,235,2
차. 식물생장촉진 유전자=217,236,2
카. 비타민 C 함량을 증가시키는 기술=218,237,2
제6절 LMO의 안전성평가=220,239,2
1. 안전성평가 시 고려해야 할 항목=221,240,1
가. 국가별 위해성평가 항목=221,240,7
나.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227,246,6
다. 친숙도(Familiarity)=232,251,2
2. 인체위해성평가기술=233,252,1
가. 유전자변형작물의 안전성 평가에 대한 실질적 동등성의 사용=233,252,3
나. 인간 영양에 있어서 유전자변형식품의 가능한 효과=236,255,1
다.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바이러스성 DNA 함유 식물의 잠재적 효과=237,256,2
라. 소화계에서의 유전자변형식물체 DNA=238,257,2
마.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가능한 알레르기 반응=239,258,20
바. 독성=258,277,12
사. 영양성분=269,288,2
아. 의도치 않은 작용에 대한 탐색과 확인=270,289,5
3. 환경위해성평가기술=275,294,3
가. 폐쇄실험(Containment)단계=277,296,1
나. 환경방출실험단계(Environmental Release)=277,296,1
다. 위해성평가에 필요한 기술 및 자료=277,296,3
라. 미생물의 환경위해성평가=279,298,2
마. 모니터링제도=280,299,4
바. LMOs 검정기술=283,302,10
제7절 LMOs의 위해가능성과 논란 사례=293,312,1
1. LMOs의 위해가능성=293,312,1
가. 수평적 유전자전이(Horizontal Gene Transfer) 가능성=293,312,3
나. 바이러스성 프로모터의 위험성=295,314,2
다. 식품에 존재하는 잔여 제초제량의 증가=296,315,3
라. 식품 영양성분의 파괴위험성=298,317,1
마. 항생제 저항성 마커의 위험성=298,317,5
2. LMOs의 인체 위해가능성과 논란 사례=303,322,1
가. L-Tryptophan 사례=303,322,1
나. Bovine Growth Hormone(RBGH)과 암 유발 위해성=303,322,2
다. 식물성 식품 단백질의 체내 호르몬 작용 가능성=305,324,1
라. BT 옥수수=305,324,1
마. 스트렙토쓰리신(Streptothrin)의 전이=306,325,1
바. 스타링크 옥수수(Starlink corn)=306,325,3
사. T25 옥수수=308,327,1
아. GM유아식 불허 (2002년 4월)=308,327,2
자. 형질전환감자 사례=309,328,3
차. 형질전환 대두에서 발현된 브라질콩의 알레르기원=311,330,1
카. LM작물 DNA의 사람 장내 세균 전이 가능성=312,331,1
3. LMOs의 환경 위해가능성과 논란사례=313,332,1
가. 슈퍼잡초의 출현=313,332,3
나. 유전자변형옥수수에 의한 대두오염=315,334,2
다. 독성 잡종=316,335,1
라. Mornach(Danaus plexippus) 나비의 위해사례=316,335,4
마. 모나크왕나비와 검은 호랑나비에 대한 Event 176옥수수 화분 노출 사례=319,338,1
바. 멕시코의 옥수수오염=319,338,2
사.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 가능성=320,339,2
아. 야생 담배나방(Heliothis virencens) 집단에서 Bt 독소에 저항하는 대립형질의 초기 빈도=321,340,1
자. Bt독소,곤충,벌과 토양=321,340,3
제8절 LMO 현황에 대한 종합 시사점=324,343,5
제9절 LMO 위해성 평가 첨단 자료의 수집 및 가공에 관한 연구=329,348,1
1. 연구 결과 총괄=329,348,1
가. 내용 및 결과물=329,348,1
2. 세부 연구 내용=330,349,1
가. 스케줄러=330,349,8
나. 야외 방출 데이터 검색 서비스=338,357,3
다. 각 사이트 별 업데이트 과정=341,360,11
라. 각 사이트 별 업데이트 엔진 구조도=352,371,5
제10절 결론=357,376,4
보고서 Part II:시험ㆍ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취급 및 관리 지침(안)=361,380,1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362,381,1
제2절 국내외 기술개발현황=363,382,2
제3절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65,384,2
1. 각 국가의 관련 지침 특징=367,386,1
가. 미국 NIH의 Guideline=367,386,6
나. 영국 시험ㆍ연구용 유전자변형 생물체에 관한 규정 2000=373,392,6
다. 일본의 재조합 DNA실험 지침=379,398,8
라. 한국의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지침=387,406,1
(1) 유전자재조합실험지침(보건복지부)=387,406,3
(2) 농업연구관련 유전자재조합체 실험 및 취급 규정=390,409,2
2. 시험연구용LMO의취급및관리지침(안) 조항별 분석[내용누락;p.482]=392,411,12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517,536,1
제1절 연구목표 달성도=517,536,2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518,537,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계획=520,539,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522,541,1
1. 미국 'NIH Guidelines'=523,542,123
2. 영국 '시험ㆍ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에 관한 규정 2000'=646,665,46
3. 일본 '재조합실험지침'=692,711,56
제7장 참고문헌=748,767,6
연구결과 활용계획서/박용하=754,773,11
[부록 1] 알레르기에 대한 Case Study=765,784,4
[부록 2] 농촌 진흥청 유전자재조합작물 개발 내역=769,788,2
[부록 3] 과기부 작물유전체 기능연구 사업단 과제명=771,790,6
[부록 4] 시험ㆍ연구용 LMO의 취급 및 관리지침(안)=777,796,91
유전자변형생물체(LMO(이미지참조))의 위해성 저감을 위한 기획 및 관리기술 개발=868,887,1
제출문=1,888,1
보고서초록/박용하=2,889,1
요약문=3,890,6
SUMMARY=9,896,2
CONTENTS=11,898,1
목차=12,899,3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5,902,5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20,907,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22,909,121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43,1030,2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145,1032,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146,1033,1
제7장 참고문헌=147,1034,2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오경희=149,1036,6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1
CONTENTS=xi,12,8
Chapter 1. Project Summary=1,20,1
Clause 1. Project Background and Necessity=1,20,2
Clause 2. Project Aim and Scope=2,21,2
Chapter 2. Domestic and foreign R&D Status on LMOs=4,23,2
Chapter 3. Content and Result of the Project=6,25,1
Part I:Development of Planning and Management Techniques for the Reduction of Risk Incurred by LMOs=7,26,1
Clause 1. Introduction=7,26,3
Clause 2. Management Guidelines for Research Living Modified Organisms(proposal)=10,29,2
Clause 3. Progress Evaluation of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y for Biosafety"=12,31,126
Clause 4. Development Aims of Assessment Technology for Next Year=138,157,12
Clause 5. The Present Status of LMOs=150,169,70
Clause 6. The Present Status of Risk Assessment Incurred by LMOs=220,239,73
Clause 7. Risk Possibilities and Controversial Cases of LMOs=293,312,31
Clause 8. Suggestion=324,343,5
Clause 9. Retrieval and Modification of Advanced Evaluation Data for LMOs=329,348,28
Clause 10. Conclusion=357,376,4
Part II: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Research Purpose Living Modified Organisms(proposal)=361,380,1
Clause 1. Project Summary=362,381,1
Clause 2. Domestic and foreign R&D Status=363,382,2
Clause 3. Content and Result of the Project=365,384,152
Chapter 4.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to Related fields=517,536,1
Clause 1. Achievement=517,536,2
Clause 2. Contribution to Related Fields=518,537,2
Chapter 5. Plans for Practical Use=520,539,2
Chapter 6. Collected Biotechnological Information=522,541,1
1. NIH Guidelines=523,542,123
2.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Contained Use) Regulations 2000=646,665,46
3. Recombinant DNA Experiment Guideline=692,711,56
Chapter 7. References=748,767,6
Plans for Practical Use of Results=754,773,114
Ddvelopment of Planning and Management Techaiques for the Reduction of Risk Incurred by LMO(이미지참조)=868,887,1
[title page etc.]=1,888,8
SUMMARY=9,896,2
CONTENTS=11,898,1
목차=12,899,3
Chapter 1. Project Summary=15,902,5
Chapter 2. Domestic and foreign R&D Stauts on LMO(이미지참조)=20,907,2
Chapter 3. Content and Result of the Project=22,909,121
Chapter 4.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to Related Fieds=143,1030,2
Chapter 5. Plans for Practical Use=145,1032,1
Chapter 6. Collected Biotechonlogical Information=146,1033,1
Chapter 7. References=147,1034,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