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6

목차=vii,9,3

표차례=x,12,2

그림차례=xii,14,1

제1장 서론=2,15,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3,16,3

1.2 연구의 내용 및 대상=6,19,5

제2장 국내 오존 및 이산화염소 소독시설 현황=11,24,1

2.1 오존 및 이산화염소 소독시설 설치현황=11,24,4

2.2 오존 및 이산화염소 소독시설 운영현황=15,28,6

2.3 실험장비 및 검사인력현황=21,34,3

2.4 현지조사 대상정수장 및 조사항목 선정=24,37,7

제3장 국내외 관련기준=31,44,1

3.1 우리나라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 관련기준=31,44,2

3.2 미국,유럽의 관련기준=33,46,1

가. 미국의 기준=33,46,2

나. 유럽 및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35,48,4

제4장 오존과 이산화염소에 의한 소독부산물 발생현황=39,52,1

4.1 오존과 이산화염소에 의한 소독부산물 생성=39,52,1

가. 오존=39,52,3

나. 이산화염소=41,54,2

다. 오존 소독부산물=42,55,3

1) 유기 소독부산물(Organic by-Products)=44,57,2

2) 무기성 소독부산물(inorganic by-products)=46,59,4

라. 이산화염소 소독부산물=50,63,1

4.2 오존과 이산화염소 소독부산물의 발생 현황=51,64,1

가. 기존 연구결과에 의한 발행현황=51,64,1

1) 브로마이드 이온 농도(브로메이트 생성 전구 물질)=51,64,2

2) 유기성소독부산물의 생성과 발생=52,65,2

3) 브로메이트 농도=53,66,5

4) 클로라이트와 클로레이트 발생현황=57,70,2

나. 현지조사결과=59,72,1

1) 시료채취 및 보존방법=59,72,1

2) 분석기기 및 분석방법=59,72,5

3) 브로마이드와 브로메이트 분석방법 검토=63,76,2

다. 소독부산물 발생현황 조사결과:1차 조사=64,77,1

1) 소독부산물 전구물질(브로마이드) 발생현황=64,77,2

2) 소독부산물 (브로메이트) 발생현황=66,79,2

3) 기타 수질항목 및 운영조건=68,81,7

라. 소독부산물 발행현황 조사결과:2차 조사=74,87,1

1) 브로마이드 발생 및 브로메이트 생성 현황=74,87,3

2) 기타 수질항목=76,89,7

마. 수질인자와 브로메이트 생성관계 검토=82,95,5

제5장 오존과 이산화염소 소독부산물에 대한 건강상 위해성=87,100,1

5.1 소독부산물이 건강상 미치는 영향=87,100,1

가. 이산화염소 소독부산물(Chlorine Dioxide By-product)=87,100,1

1)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IO₂=87,100,2

2) 클로라이트(chlorite,CIO2-(이미지참조))=88,101,2

3) 클로레이트(Chlorate,CLO3-(이미지참조))=89,102,1

나. 오존부산물=89,102,1

1) 오존(Oxone,O₃)=89,102,2

2) 브로메이트(Boromate,BrO3-(이미지참조))=90,103,1

3)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90,103,2

4)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91,104,1

5) 알데히드(aldehydes,nonchlorinated)=91,104,1

6) 카복실산(Carboxylic acids)=92,105,1

5.2 소독부산물의 위해도(Risk Factor)=93,106,2

1) 브로메이트(Bromate)=95,108,1

2) 포름알데히드=95,108,1

3)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95,108,2

4) 알데히드=96,109,1

5) 이산화염소=96,109,1

6) 클로라이트=96,109,3

제6장 오존과 이산화염소 소독부산물의 관리방안=99,112,1

6.1 브로메이트 저감 방안=99,112,4

6.2 이산화염소 소독부산물의 제어=103,116,2

6.3 브로메이트 적정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제언=105,118,1

1) 적정 측정방안의 정립=105,118,2

2) 수질기준의 설정검토=106,119,2

3) 적정모니터링 체계구축=107,120,1

4) 유기성 소독부산물의 생성에 대한 조사=108,121,1

5) 브로메이트 생성에 관한 연구=108,121,1

6.4 요약 및 결론=109,122,4

참고문헌=113,126,6

부록=119,132,2

A-1. 미국의 브로메이트 측정방법(원문발췌)=121,134,90

A-2. 설문조사 양식=211,224,6

A-3. 오존 접촉도 도면(예)=217,230,4

A-4. 브로마이드 브로메이트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예)=221,234,4

A-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분석결과(1차,2차)=225,238,10

A-6. 유럽연합의 수질기준=235,248,25

표목차

표 2.1 국내 정수장의 오존 및 이산화염소 시설 설치현황=12,25,1

표 2.2. 오존 및 이산화염소 시설 혀황=13,26,1

표 2.3. 시설규모별 오존처리시설 현황=14,27,1

표 2.4. 오존 및 이산화염소 주입량,제어방식과 주입농도=16,29,1

표 2.5. 오존 및 이산화염소 접촉지의 구조 및 크기=17,30,2

표 2.6. 후오존 접촉지에서의 설계 접촉시간과 수정된 접촉시간=19,32,1

표 2.7. 오존 잔류농도=20,33,1

표 2.8. 브로메이트 및 클로라이트 측정장비 구비현황=22,35,1

표 2.9. 수질검사 요원 및 측정현황=23,36,1

표 2.10. 소독부산물 자체측정현황=23,36,1

표 2.11. 조사대상 정수장 및 시료채취일=26,39,1

표 2.12. 측정대상항목=27,40,1

표 3.1. 우리나라의 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 관련규정=32,45,1

표 3.2. 소독제에 대한 목표최대잔류허용치(MRDLGs)와 최대잔류허용치(MRDLS)=34,47,1

표 3.3. 소독부산물에 대한 목표최대오염치(MCLGs)와 최대오염치(MCLs)=34,47,1

표 3.4. 유럽연합의 소독부산물 관련기준=35,48,1

표 3.5.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36,49,1

표 4.1. 오존에 의해 생성되는 주요한 부산물=44,57,1

표 4.2. 미국 22개 정수장에 대한 브로메이트 발생현황(ICR Database)=54,67,1

표 4.3. 미국과 유럽의 오존처리 정수장에서의 브로메이트 발생현황=55,68,1

표 4.4. 유럽정수장에 대한 브로메이트 발생현황조사=56,69,1

표 4.5. 오하이오강의 이산화염소처리시 소독부산물발생(파일롯트 실험결과)=58,71,1

표 4.6. IC 운영상황(Br-(이미지참조),BrO3-(이미지참조))=60,73,1

표 4.7. IC 운영상황(건설기술연구원)=61,74,1

표 4.8. 브로마이드 발생현황(1차 조사)=65,78,1

표 4.9. 브로메이트 생성현황(1차 조사)=66,79,1

표 4.10. Br-(이미지참조)conver(%) (1차 조사)=67,80,1

표 4.11. UVA254 측정결과(1차 조사)=68,81,1

표 4.12. NH₃-N 측정결과(1차 조사)=70,83,1

표 4.13. DOC 측정결과(1차 조사)=71,84,1

표 4.14. SUVA 산정결과(1차 조사)=72,85,1

표 4.15. 탁도 측정결과(1차 조사)=73,86,1

표 4.16. pH,온도,HRT,오존주입량 및 잔류오존량(1차 조사)=74,87,1

표 4.17. 브로마이드 발생 및 브로메이트 생성 현황(2차 조사)=75,88,1

표 4.18. UVA254 측정결과(2차 조사)=77,90,1

표 4.19. NH₃-N 측정결과(2차 조사)=78,91,1

표 4.20. DOC 측정결과(2차조사)=79,92,1

표 4.21. SUVA 산정결과(2차 조사)=80,93,1

표 4.22. 탁도 측정결과(2차 조사)=81,94,1

표 4.23. pH,온도,HRT,오존주입량 및 잔류오존량(2차 조사)=82,95,1

표 4.24. 브로메이트 생성과 관련한 인자들 간의 상관계수 분숙=83,96,1

표 4.25. 브로메이트 예측모델을 이용한 예측치와 실측치의 비교=84,97,1

표 5.1 미국 소독/소독부산물 제안 규정에 제시된 소독부산물의 위해도=94,107,1

표 5.2 건강상 위해도 추정=94,107,1

표 5.3 쥐에 신장종양을 발생시키는 먹는 물에서의 브로메이트 농도=95,108,1

표 6.1 브로메이트 저감 방안 및 제거 효과=100,113,1

표 6.2 원수의 pH와 알칼리도 변화에 따른 브로메이트 저감 방법=102,115,1

그림목차

그림 2.1. 조사대상 정수장 위치도=25,38,1

그림 4.1. 프랑스 정수장 원수의 브로마이드 농도 변화=57,70,1

그림 4.2. 프랑스 정수장 처리수의 브로메이트 발생 농도변화=57,70,1

그림 4.3. 브로마이드에 대한 검량선=60,73,1

그림 4.4. 브로메이트에 대한 검량선=61,74,1

그림 4.5. 브로마이드 발생현황(1차 조사)=65,78,1

그림 4.6. 브로메이트 생성현황(1차 조사)=67,80,1

그림 4.7. UVA254 측정결과(1차 조사)=69,82,1

그림 4.8. NH₃-N 측정결과(1차 조사)=70,83,1

그림 4.9. DOC 측정결과(1차 조사)=71,84,1

그림 4.10. SUVA 산정결과(1차 조사)=72,85,1

그림 4.11. 탁도 측정결과(1차 조사)=73,86,1

그림 4.12. 브로마이드 발생현황(2차 조사)=76,89,1

그림 4.13. UVA254 측정결과(2차조사)=77,90,1

그림 4.14. NH₃-N 측정결과(2차 조사)=78,91,1

그림 4.15. DOC 측정결과(2차 조사)=79,92,1

그림 4.16. SUVA 산정결과(2차 조사)=80,93,1

그림 4.17. 탁도7 측정결과(2차 조사)=8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