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보고서 초록/한원용=2,3,1

요약문=3,4,3

SUMMARY=6,7,4

CONTENTS=10,11,1

목차=11,12,4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5,16,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15,16,1

1. 지구접근천체 검출ㆍ감시=15,16,1

2. 인공위성 추적감시=15,16,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5,16,1

1. 기술의 핵심성=15,16,2

2. 연구개발의 중요성=16,17,6

제3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22,23,1

1. 연구개발 최종 목표=22,23,1

2. 단계별/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22,23,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3,24,1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23,24,1

1. NEO 탐사연구=23,24,2

2. 인공위성 추적감시=24,25,2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25,26,1

1. NEO 탐사연구=25,26,12

2. 인공위성 추적감시=37,38,15

제3절 국내외 시스템 비교=52,53,1

1. NEO 탐사연구=52,53,2

2. 인공위성 추적감시=53,54,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54,55,1

제1절 개요=54,55,3

제2절 NEO 관측 연구=57,58,1

1. 기존 관측시설을 이용한 NEO 연구=57,58,2

2. 새로운 소행성 발견=59,60,5

3. 소행성 측광 연구=63,64,1

제3절 광시야 탐사 시스템 구축 및 개선=64,65,1

1. 개요=64,65,1

2. 광시야 1호기 (남아공관측소)=64,65,4

3. 광시야 2호기 (호주 이전설치 예정)=68,69,10

4. 광시야 3호기 (60㎝ 광시야 탐사 시스템)=78,79,22

5. 남아공 관측소의 인클로저=100,101,5

6. 호주관측소의 인클로저=104,105,2

제4절 관측 자동화 및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106,107,1

1. 자동관측 소프트웨어=106,107,9

2. 원격제어=115,116,2

3. 웹 모니터링 시스템=116,117,9

4. 자동 자료처리=124,125,6

5. 자료보관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129,130,1

6. 소행성 자동검출 알고리즘=130,131,8

7. 성표를 이용한 좌표결정=137,138,4

제5절 해외 관측소 이전 설치 및 시험 운용=141,142,1

1. 남아공 천문대 Sutherland 관측소 (광시야 1호기)=141,142,3

2. 호주 Siding Spring 관측소 (광시야 2호기)=144,145,1

3. 원격관측 안정성 시험 및 시험운용=145,146,1

제6절 위성 궤도예보 S/W 개선과 위성 정밀궤도 DB구축=146,147,1

1. 인공위성 추적감시의 개요=146,147,2

2. KODAS 개선 및 위성 검색모듈 개발=147,148,1

3. KOMPSAT-1에 대한 가상 감시 네트워크 모의실험=148,149,7

4. 한반도 통과 위성에 대한 가상의 광학추적소 네트워크 모의실험=154,155,3

5. 위성 정밀 궤도 DB의 구축=157,158,1

제7절 인공위성 광학관측 연구=158,159,1

1. 개요=158,159,1

2. 시험관측과 인공위성 궤도예보 S/W 검증=158,159,4

3. 광학관측=161,162,15

4. 미르 우주정거장 궤도예측 및 추적관측=175,176,1

제8절 소형위성관측시스템을 이용한 인공위성 감시체계 구축=176,177,1

1. 개요=176,177,1

2. KASAT시스템=177,178,6

3. 시간의 동기화=182,183,3

4. 인공위성 동시관측을 이용한 위치 결정=184,185,3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87,188,1

제1절 연도별 연구목표=187,188,1

1. 1단계 (2000-2002)=187,188,1

2. 2단계 (2003-2004)=188,189,1

제2절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189,190,1

1. 1단계 (2000-2002)=189,190,2

2. 2단계 (2003-2004)=191,192,5

제3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196,197,1

제4절 기타 기획하지 않은 연구성과=197,198,1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198,199,1

제1절 지남반구 네트워크 구축 및 자동운용=198,199,1

제2절 탐사천문학 연구=199,200,1

1. NEO 탐사연구=199,200,2

2. 변광성 탐사연구=201,202,5

3. 변광은하 탐사연구=205,206,1

4. 은하면 방출선 탐사=206,207,2

제3절 인공위성 감시연구=207,208,2

제4절 대형망원경 사업=208,209,1

1. 광학천문학의 미래=208,209,2

2. 한국의 광학천문학=209,210,2

3. KLST 사업=210,211,2

4. 본 연구사업과 KLST 사업=211,212,2

제5절 대국민 과학문화사업=213,214,1

제6장 해외 과학기술 정보=214,215,1

제1절 OECD GSF "NEO의 위협,정책 및 대응방안"에 관한 워크숍 최종보고서 (2003)=214,215,3

1. 문제의 인식=216,217,2

2. 정책결정 차원의 내용=217,218,2

3. 정부 차원에서의 재난평가=218,219,1

4. 연구개발을 통한 재난평가의 강화=218,219,3

5. 피해 최소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220,221,2

제2절 NASA Science Definition Team 보고서 (2003)=222,223,7

제7장 참고문헌=229,230,4

우주탐사를 위한 관측운영 자동화=233,234,1

제출문=233-1,235,1

보고서 초록/변용익=234,236,1

요약문=235,237,1

SUMMARY=236,238,1

CONTENTS=237,239,1

목차=238,240,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40,242,1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240,242,1

제2절 연구목표 및 내용=240,242,1

1. 연구 목표=240,242,1

2. 연구 내용=240,242,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42,244,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243,245,1

제1절 주요 연구개발 내용=243,245,1

1. 국내탐사관측소의 시험운영=243,245,1

2. 탐사영역정의 및 스케쥴러 자동화=243,245,1

3. 관측운영자동화 인터페이스 개발=243,245,2

4. 탐사설비의 자동운영=244,246,1

5. 원격제어체제의 확립=244,246,1

6. 인공위성과 소행성의 시험관측=244,246,1

7. 탐사설비의 자동운영=244,246,1

8. 원격제어체제의 확립=244,246,1

9. 인공위성과 소행성의 시험관측=244,246,1

10. 광시야 망원경 1호기의 자동관측 구현=244,246,2

11. 1호기 자동관측시스템의 국내 적용 및 시험관측=245,247,1

12. 관측처리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245,247,1

13. 광시야 망원경 1호기의 안정운영=245,247,1

14. 자동운영을 위한 Sky Monitor개선=245,247,1

15. 자동운영을 위한 자료백업알고리즘 개선=245,247,1

16. 광시야 망원경 2호기의 시험관측=245,247,1

17. 자료 분석 및 해석 소프트웨어 개발=245,247,1

18. NEO탐지기술 향상=245,247,1

19. 광시야 망원경 2호기 자동화 및 이전 설치=246,248,1

제2절 주요 연구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247,249,2

제3절 연구수행 주요 결과=249,251,3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252,254,1

제1절 목표 달성도=252,254,1

제2절 관련분야 기술발전에의 기여도=253,255,1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254,256,1

제1절 기대효과 측면=254,256,1

제2절 활용방안 측면=254,256,1

제6장 해외 과학기술 정보=254,256,1

제7장 참고문헌=254,256,1

저궤도 인공위성 추적 및 정밀관측에 관한 연구=255,257,1

제출문=255,258,1

보고서 초록/김상준=256,259,1

요약문=257,260,2

SUMMARY=259,262,1

CONTENTS=260,263,1

목차=261,264,3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64,267,1

제1절 우주감시의 필요성=264,267,1

제2절 인공위성에 대한 우주감시 국내외 동향=265,268,1

제3절 연구의 논점=266,269,1

제4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267,270,1

1. 우주감시체계의 개념 연구=267,270,1

2. 인공위성에 대한 광학 추적/관측 개념 연구=267,270,1

3. 소형 광학 우주감시시스템 개발=267,270,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68,271,1

제1절 국내ㆍ외 환경 및 동향=268,271,2

제2절 우주감시 기술=269,272,2

제3절 광학계를 이용한 우주감시기술=270,273,1

1. 카메라 추적법=270,273,2

2. 적외선 추적법=271,274,1

3. 레이저 추적법=271,274,2

4. 적응광학=272,275,2

5. 국내 연구 현황=273,276,2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275,278,1

제1절 서론=275,278,2

제2절 고궤도 인공위성 추적용 광학시스템 개발=276,279,1

1. 배경=276,279,1

2. 가대 및 구동모토 선정=276,279,2

3. 광학계 구성=277,280,2

4. 소프트웨어 선정=278,281,1

5. 시스템 비교 및 토의=279,282,2

제3절 저궤도 인공위성 추적용 광학 망원경시스템 개발I=280,283,1

1. 배경=280,283,2

2. 구동부 개선=282,285,1

가. 모터 선정=282,285,3

나. 모터 드라이버=284,287,2

3. 제어부 개선=285,288,4

4. 시스템 기대성능 및 토의=289,292,3

제4절 저궤도 인공위성 추적용 광학 망원경시스템 개발II=291,294,1

1. 하드웨어 개발=291,294,4

2. SOFTWARE 개발=294,297,2

가. 프로그램의 구성과 폼(Form)=295,298,3

나. 인공우주물체 관측을 위한 가대 제어방식=298,301,1

3. 하드웨어 개조 분석 및 성과=298,301,5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303,306,1

제1절 1차년도=303,306,1

1.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303,306,1

가. 당해연도 연구개발 목표=303,306,1

나. 세부과제별 연구개발 목표=303,306,1

다. 평가의 착안점=304,307,1

2. 연구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304,307,1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305,308,1

4.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자체평가=306,309,1

가.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306,309,1

나.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목표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306,309,1

제2절 2~3차년도=306,309,1

1.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306,309,1

가. 당해연도 연구개발 목표=306,309,1

나. 세부과제별 연구개발 목표=306,309,2

다. 평가의 착안점=307,310,1

2. 연구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308,311,1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308,311,1

4.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자체평가=309,312,1

가.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309,312,1

나.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목표 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309,312,1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310,313,1

제1절 지상감시체계의 효율적 구축 방안과 본 연구의 역할=310,313,3

제2절 본 연구결과의 활용범위=312,315,3

제6장 해외 과학기술 정보:없음.=314,317,1

제7장 참고문헌=315,318,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0

CONTENTS=10,11,5

CHAPTER 1. INVESTIGATION OVERVIEW=15,16,8

CHAPTER 2. THE PRES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RELATED AREAS IN KOREA AND OVERSEAS=23,24,31

CHAPTER 3. SCIENTIFIC & TECHNOLOGICAL IMPLEMENTATIONS AND THE RESULTS=54,55,133

CHAPTER 4. ACHIEVEMENTS ON SCIENTIFIC/TECHNOLOGICAL GOALS & CONTRIBUTIONS TO THE OTHER RESEARCH AREAS=187,188,11

CHAPTER 5. RESARCH PRODUCTS & APPLICATIONS=198,199,16

CHAPTER 6. MAJOR NEAR-EARTH OBJECT SEARCH PROGRAMS SPACE SURVEILLANCE & SATELLITE TRACKING SYSTEMS=214,215,15

CHAPTER 7. REFERENCES=229,230,4

Automation of Survey Observations=233,234,5

CONTENTS=237,239,3

CHAPTER1 OUTLINE OF R&D PROJECT=240,242,2

CHAPTER2 STATUS OF FOREIGN/DOMESTIC DEVELOPMENT=242,244,1

CHAPTER3 CONTENTS AND RESULTS OF PROJECT=243,245,9

CHAPTER4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 TO RELATED AREAS=252,254,2

CHAPTER5 UTILIZATION POSSIBILITIES OF R&D RESULTS=254,256,1

CHAPTER6 MAJOR NEAR-EARTH OBJECT SEARCH PROGRAMS SPACE SURVEILLANCE & SATELLITE TRACKING SYSTEMS=254,256,1

CHAPTER7 REFERENCES=254,256,1

Tracking of LEO Satellites=255,257,6

CONTENTS=260,263,4

CHAPTER1 INVESTIGATION OVERVIEW=264,267,4

CHAPTER2 THE PRES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RELATED AREAS IN KOREA AND OVERSEAS=268,271,7

CHAPTER3 SCIENTIFIC & TECHNOLOGICAL IMPLEMENTATIONS AND THE RESULTS=275,278,28

CHAPTER4 ACHIEVEMENTS ON SCIENTIFIC/TECHNOLOGICAL GOALS & CONTRIBUTIONS TO THE OTHER RESEARCH AREAS=303,306,7

CHAPTER5 RESEARCH PRODUCTS & APPLICATIONS=310,313,5

CHAPTER6 MAJOR NEAR-EARTH OBJECT SEARCH PROGRAMS SPACE SURVEILLANCE & SATELLITE TRACKING SYSTEMS=314,317,1

CHAPTER7 REFERENCES=315,3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