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2
SUMMARY=4,5,3
CONTENTS=7,8,4
목차=11,12,3
제1장 서론=14,15,2
제2장 본론=16,17,1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6,17,1
1. 연구개발의 목적=16,17,2
2. Linker의 중요성=17,18,2
3. 미래의 진단 시스템=18,19,1
제2절 연구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 및 기술 현황=18,19,1
1. 초분자 자기조립 단분자층의 특성=18,19,2
2. 기존의 단백질 고정화 방법과 문제점=19,20,2
3. QCM(Quartz Crystal Microbalance)을 이용한 바이오센서=20,21,4
4. 신규 초분자 시스템 개발=23,24,2
5. 단백질칩 기반 종양 표지자 분석=25,26,1
가. 암의 진단=25,26,1
나. 종양 표지자의 종류=25,26,1
1) 종양 태아항원(Oncofetal antigen)=25,26,2
2) 호르몬=26,27,2
3) 기타 종양 표지자=27,28,2
다. 암의 진단과 종양 표지자=28,29,2
6. 단백질칩 기반 cytokine 분석=29,30,2
제3절 연구개발 내용=31,32,1
1. ProLinker=31,32,2
가. ProLinker의 특징=32,33,1
나. ProLinker의 합성=32,33,1
1) ProLinker A의 제조=33,34,2
2) ProLinker B의 제조=34,35,1
2. ProteoChip의 제조=35,36,1
가. ProteoChip A형의 제조=35,36,1
나. ProteoChip B형의 제조=35,36,2
3. 단백질 고정화 및 특성평가=36,37,1
가. 항체의 고정화 특성=36,37,1
나. 고정화 단백질의 배향성=37,38,1
1) Protein A단분자층과 항체의 반응=37,38,1
2) 항체 단분자충과 Protein A의 반응=37,38,1
3) 형광을 이용한 CRP 항체-항원 반응과 CRP 항체-Protein A 반응=37,38,1
4./6 QCM을 이용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37,38,1
가. 항원 단분자 충과 항체의 반응=37,38,1
나./나) 항체 단분자층과 항원의 반응=37,38,2
5. 신규 초분자 링커 시스템 개발=38,39,1
가. 신규 Calix[4]arene 초분자의 설계 및 합성=38,39,1
나. Tripodal Vase를 기초로 한 신규 초분자의 설계 및 합성=39,40,1
다. 기존 링커분자 및 신규 초분자와 단백질간의 결합력 규명=39,40,2
라. 신규 초분자 유도체의 단분자막 형성 연구=40,41,1
마. 신규 초분자 시스템을 이용한 단백질 고정화 및 특성 분석=40,41,1
1) BSA를 이용한 단백질 고정화 특성 분석=40,41,2
2) 박막의 광학상수 결정=41,42,2
3) BSA의 표면농도 이론계산=42,43,1
바. SPR을 이용한 단백질칩의 성능평가=42,43,2
제4절 연구개발과제 수행결과=44,45,1
1. 단백질 고정화 및 특성펑가=44,45,1
가. ProLinker 단분자층을 이용한 단백질의 고정화=44,45,1
나. 고정화된 단백질의 배향성 평가=45,46,1
1) QCM을 이용한 배향성 평가=45,46,1
2) 형광을 이용한 배향성 평가=45,46,2
다. QCM을 이용한 단백질 고정화 및 특성평가=46,47,1
1) 항원의 고정화=46,47,3
2) 항체의 고정화=48,49,4
라. 항체 고정화 방법의 최적화 및 특성평가=51,52,1
1) Ion effect=51,52,2
2) pH effect=52,53,1
3) 고정화 단백질의 농도 effect=52,53,2
2. ProChip을 이용한 종양 표지자 진단용 단백질 칩=53,54,1
가. sandwich 방법=53,54,1
나. standard 용액을 이용한 종양 표지자의 검출=54,55,2
다. ProteoChip과 sandwich ELISA 비교 실험=55,56,2
라. 단백질 칩의 재현성 측정=56,57,1
마. 혈청 시료의 혈청 효과 실험=57,58,2
바. 혈청을 이용한 임상 시료의 분석=58,59,6
3. ProteoChip을 이용한 Cytokine 진단용 단백질 칩=63,64,1
가. 표준농도 용액을 이용한 Cytokine의 검출=63,64,1
나. Cytokine assay 표준곡선=63,64,2
다. 혈청을 이용한 임상시료의 분석=64,65,1
라. 정상인과 암환자의 혈중 cytokine 농도 비교=64,65,15
마. 종합 분석 그래프=79,80,2
바. Well-on-a-chip을 응용한 IL-8의 sandwich immunoassay 분석결과=80,81,2
4. 신규 초분자링커 시스템의 개발=82,83,1
가. 신규 초분자의 설계 및 합성=82,83,1
1) 신규 Calix[4]arene 유도체의 설계 및 합성=82,83,6
2)/1) Tripodal Vase에 기초한 Scaffold 유도체 설계 및 합성=88,89,7
나. 링커분자와 단백질간의 상호작용력 규명=94,95,2
다. 신규 초분자 링커시스템의 구축=95,96,1
1) Calix[4]arene Linker유도체의 단분자막 형성 및 특성분석=95,96,7
2) Tripodal Scaffold 유도체의 단분자막 형성 및 특성분석=102,103,2
라. Bovine Serum Albumin(BSA)를 이용한 단백질 고정화 및 특성 평가=104,105,1
1) BSA의 고정화에 따른 SPR 공명각 변화=104,105,2
2) BSA의 고정화에 따른 센서칩 표면의 AFM Image 비교=105,106,3
3) 박막의 광학상수 결정=107,108,2
4) BSA층의 표면농도(Surface Concentration) 이론계산=108,109,2
마. 초분자 링커시스템의 단백질칩 응용=110,111,1
1) anti-hIgG와 hIgG를 이용한 단백질칩 응용=110,111,3
2) 임상진단용 칩으로의 적용=112,113,4
제3장 결론=116,117,1
제1절 간암 진단용 단백질칩=116,117,2
제2절 cytokine 진단용 단백질칩의 개발=117,118,2
제3절 신규 초분자 링커 시스템 개발=118,119,1
제4절 최종 결론=118,119,2
제4장/제7장 참고문헌=120,121,3
연차실적보고서/한문희=123,124,106
영문목차
title page=0,1,1
Presentation=1,2,1
Summary in Korea=2,3,2
Summary in English=4,5,3
CONTENTS=7,8,4
Contents in Korea=11,12,3
Chapter 1. Introduction=14,15,2
Chapter 2. The Main Subject=16,17,1
Section 1. Necessity of research=16,17,1
1. Object of research=16,17,2
2. Important of Linker=17,18,2
3. Future diagnostic system=18,19,1
Section 2. Principle of research and technical trend=18,19,1
1. Characterization of supramolecule self assembly monolayer=18,19,2
2. Conventional method of protein immobilization and problem=19,20,2
3. Biosensor using QCM(Quartz Crystal Microbalance)=20,21,4
4. Development of new supramolecule system=23,24,2
5. Proteochip based tumor marker analysis=25,26,1
A. Diagnosis of tumor=25,26,1
B. Kind of tumor marker=25,26,1
1) Oncofetal antigen=25,26,2
2) Hormone=26,27,2
3) Other tumor markers=27,28,2
C. Cancer diagnosis and tumor marker=28,29,2
6. ProteoChip based cytokine analysis=29,30,2
Section 3. Content of research=31,32,1
1 . ProLinker=31,32,2
A. Character of ProLinker=32,33,1
B. Synthesis of ProLinker=32,33,1
1) Manufacture of ProLinker A=33,34,2
2) Manufacture of ProLinker B=34,35,1
2. Fabrication of ProteoChip=35,36,1
A. Fabrication of ProteoChip A=35,36,1
B. Fabrication of ProteoChip B=35,36,2
3. Protein immo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36,37,1
A. Character of antibody immobilization=36,37,1
B. Arrangement of immobilized protein=37,38,1
1) Interaction of protein A monolayer-Ab=37,38,1
2) Interaction of Ab monolayer-protein A=37,38,1
3) Interaction of CRP Ab-Ag and CRP Ab-Protein A using fluorescence=37,38,1
4./6 Protein-protein interaction using QCM=37,38,1
A. Interaction of Ag monolayer-CRP Ab=37,38,1
B. Interaction of Ab monolayer-CRP Ag=37,38,2
5. Development of new supramolecule system=38,39,1
A. Design and synthesis of new calix[4]arene superamolecule=38,39,1
B. Design and synthesis of new supramolecule based on tripodal vase=39,40,1
C. Examination of binding force between linker molecules and protein=39,40,2
D. Study of monolayer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using new supramolecules=40,41,1
E. Protein immo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using new supramolecular system=40,41,1
1) Characteriztion of protein immobilization using BSA=40,41,2
2) Determination of optical constant=41,42,2
3) Theoretical calculation of BSA surface concentration=42,43,1
F. Evaluation of proteinchip using SPR=42,43,2
section 4. Results of Research project=44,45,1
1. Protein immo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44,45,1
A. Protein immobilization using ProLinker monolayer=44,45,1
B. Arrangement evaluation of immobilized protein=45,46,1
1) Arrangement evaluation using QCM=45,46,1
2) Arrangement evaluation using fluorescence=45,46,2
C. Protein immobilization and Characteriztion using QCM=46,47,1
1) Immobilization of antigen=46,47,3
2) Immobilization of antibody=48,49,4
D. Optimization of Ab immobilization method=51,52,1
1) Ion effect=51,52,2
2) pH effect=52,53,1
3) Concentration effect of immobilized protein=52,53,2
2. Diagnostic protein chip of tumor marker using ProteoChip=53,54,1
A. Sandwich method=53,54,1
B. Detection of tumor marker using standard solution=54,55,2
C. Comparison of ProteoChip with sandwich ELISA=55,56,2
D. Reproducibility test of proteoChip=56,57,1
E. Serum effect test of serum sample=57,58,2
F. Analysis of clinical sample using serum=58,59,6
3. Diagnostic protein chip of cytokine using ProteoChip=63,64,1
A. Detection of cytokine using standard solution=63,64,1
B. Standard curve of Cytokine assay=63,64,2
C. Analysis of clinical sample using serum=64,65,1
D. Comparison of cytokine level in normal and cancer patient serum=64,65,15
E. Total analysis graph=79,80,2
F. Result of IL-8 sandwich immunoassay using Well-on-a-Chip=80,81,2
4. Development of new supramolecule system=82,83,1
A. Design and synthesis of new supramolecule=82,83,1
1) Design and synthesis of new calix[4]arene derivatives=82,83,6
2)/1) Design and synthesis of Scaffold derivatives based on Tripodal Vase=88,89,7
B. Examination of binding force between linker molecules and protein=94,95,2
C. Construction of new supramolecular linker system=95,96,1
1) Monolayer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lix[4]arene derivative=95,96,7
2) Monolayer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ipodal scaffold derivative=102,103,2
D. Protein immo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using bovine serum albumin(BSA)=104,105,1
1) SPR angle shifts according to BSA immobilization=104,105,2
2) AFM image of BSA immobilized sensorchip=105,106,3
3) Determination of optical constant=107,108,2
4) Theoretical calculation of BSA surface concentration=108,109,2
E. Application of supramolecular linker system to proteinchip=110,111,1
1) Application to proteinchip using anti-hIgG and hIgG=110,111,3
2) Application to proteinchip for medical diagnosis=112,113,4
Chapter 3. Conclusion=116,117,1
section 1. Diagnostic ProteoChip for Liver cancer=116,117,2
section 2. Development of diagnostic ProteoChip for cytokine=117,118,2
section 3. Development of new supramoleucle linker system=118,119,1
section 4. Final concolusion=118,119,2
Chapter 4. References=120,121,10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