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0,3,4

Abstract=0,7,6

제목차례=i,13,12

표차례=xiii,25,5

그림차례=xviii,30,12

Contents=i,42,7

제1장 서론=1,49,1

1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1,49,1

1. 최종 연구 목표 및 내용=1,49,1

가. 연구 목표=1,49,2

나. 연구 내용=3,51,1

2. 연차별 연구목표 및 내용=3,51,1

가. 총괄=3,51,2

나. 1차년도=4,52,1

(1) 연구목표=4,52,1

(2) 연구내용 및 범위=5,53,1

다. 2차년도=5,53,1

(1) 연구목표=5,53,2

(2) 연구내용 및 범위=6,54,1

라. 3차년도=7,55,1

(1) 연구목표=7,55,1

(2) 연구내용 및 범위=7,55,2

2절. 1ㆍ2차년도 연구성과=8,56,1

1. 1차년도 연구성과=8,56,2

2. 2차년도 연구성과=9,57,2

3절. 당해 연도 연구개발 목표=10,58,1

1. 연구목표=11,59,1

2. 연구내용=11,59,2

3. 연차별 수행 성과 정리=13,61,1

제2장. 국내외 사례 및 공용성 조사=14,62,1

1절. Whitetopping의 연구동향 및 기본 기본원리=14,62,1

1. 도입 배경=14,62,2

2. Whitetopping 연구동향=16,64,2

3. Whitetopping 기본원리=17,65,2

2절. Whitetopping 공용성 분석 사례=19,67,1

1. 국내 사례조사=19,67,2

2. 국외 사례조사=20,68,1

가. 미국=20,68,12

나. 브라질=32,80,1

다. 유럽=33,81,1

라. 일본=33,81,4

3. 요약=37,85,3

[참고문헌]=40,88,3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43,91,1

1절. 재료개발=44,92,1

1. 신속개방형 콘크리트의 품질설계=44,92,1

가. 사용 재료=44,92,1

(1) 시멘트=44,92,2

(2) 골재=45,93,1

(3) 조강재,촉진제 및 유기혼화제=45,93,2

나. 인력 포설을 위한 신속개통형 포장재의 배합=46,94,1

(1) 조강/초조강 시멘트=46,94,3

(2) NS/LC계 촉진제=49,97,3

(3) CN계 촉진제=51,99,3

(4) 혼합방법(시간)에 따른 강도발현=54,102,3

(5) 실험실적 시제품 제조 및 추천배합=56,104,5

(6) 온도 조건별 강도발현=60,108,3

다. 기계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배합 검토=63,111,1

(1) 혼화제 사용량별 물성평가=63,111,3

(2) 슬럼프 로스 저감을 위한 LS혼화제 사용 검토=65,113,4

(3) LS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물성(물-시멘트비 조건변화)=68,116,4

(4) 운송 조건별 콘크리트 물성평가=71,119,3

라. 소결=74,122,1

(1) 재료=74,122,1

(2) 배합=74,122,1

(3) 추천배합=75,123,2

2. 시험시공=76,124,1

가. 인력시공=76,124,1

(1) 시험시공 콘크리트 배합조건=76,124,2

(2) 시험포설 콘크리트 물성평가=77,125,2

(3) 내구성 평가=78,126,7

나. 기계시공=84,132,1

(1) 콘크리트 배합조건=84,132,2

(2) 시험시공 콘크리트의 물성=85,133,3

3. 여수-순천 현장시공=87,135,1

가. 물성평가=88,136,1

(1) 시험 조건=88,136,1

(2) 시험 결과=89,137,4

(3) 소결=92,140,2

나. 여수-순천 현장 시공=93,141,1

(1) 예비실험=93,141,3

(2) 본선 시공=95,143,3

(3) 국도 2호선 1구간 (광양->순천)=97,145,2

(4) 국도 2호선 2구간 (순천->광양)=98,146,1

다. 현장 콘크리트 물성=98,146,1

(1) 미경화 콘크리트 물성=98,146,3

(2) 경화콘크리트 물성=100,148,1

라. 소결=101,149,1

4. 요약=102,150,2

2절. 현장 시험시공=104,152,1

1. 중ㆍ신ㆍ콘 시험시공 절차=104,152,2

가. 시험시공 목적=105,153,1

(1) 2차년도 예비시험시공=105,153,2

(2) 3차년도 일반국도 시험시공(여수-순천간 17호선,광양-순천간 2호선)=106,154,1

나. 시험시공 계획=106,154,2

(1) 2차년도 예비시험시공(인력식 시험시공)=107,155,4

(2) 2차년도 예비시험시공(기계식 시험시공)=110,158,4

(3) 3차년도 일반국도 시험시공(기계식 시험시공)=113,161,3

(4) 중ㆍ신ㆍ콘 시공 절차=115,163,5

다. 일반국도 시험시공(여수-순천,광양-순천)=120,168,1

(1) 예비 현지 실험=121,169,2

(2) 도로 여건 및 포장상태 조사=122,170,3

(3) 교통 통제 계획=124,172,4

(4) 기존 포장 표면 처리=127,175,4

(5) 운반 및 포설,마무리=130,178,3

(6) 양생=132,180,2

(7) 교통개방=133,181,1

2. 성숙도(Maturity) 개념을 이용한 중ㆍ신ㆍ콘 포장의 현장 적용=134,182,1

가. 성숙도 개념=134,182,2

나. 줄눈절삭 및 교통개방=135,183,1

(1) 실내 실험=135,183,2

(2) 실내 실험결과=137,185,2

(3) 현장시공 및 결과=138,186,3

다. 요약=140,188,2

3. 중ㆍ신ㆍ콘 시험시공 공용성 평가=142,190,1

가. 구조적 성능 평가=142,190,1

(1) 처짐량 측정=143,191,1

(가) 실험 개요=143,191,2

(나) 실험=144,192,1

(다) 결과 분석=144,192,8

(2) 정적하중 재하실험=151,199,21

(3) 데멕 게이지 측정=172,220,1

(가) 실험 개요=172,220,2

(나) 실험 진행=173,221,3

(다) 결과 분석=175,223,13

(4) 육안 관측=187,235,1

(가) 폐도구간-교통이 통제된 구간=187,235,3

(나) 일반 국도 시험시공(기계식)=189,237,4

(5) 코어채취=192,240,9

나. 기능적 성능 평가=200,248,1

(1) 미끄럼 저항성 평가=200,248,2

(2) 소음 평가=201,249,1

(3) 평탄성 평가=201,249,4

4. 요약=205,253,3

3절.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중ㆍ신ㆍ콘 포장 구조해석=208,256,1

1. 1차 및 2차년도 연구 성과=208,256,1

가. 개발 절차=208,256,2

나. 1차년도 중ㆍ신ㆍ콘 모형 연구 결과=209,257,3

다. 2차년도 중ㆍ신ㆍ콘 모형 연구 결과=211,259,5

2. 3차원 다중슬래브 모형 개발=215,263,1

가. 3차원 다중슬래브 모형의 필요성=215,263,2

나. 3차원 다중슬래브 모형=216,264,1

(1) 단일슬래브와 다중슬래브 비교 모형=216,264,3

(2) 해석 모형의 입력 변수=218,266,2

(3) 노상층의 두께에 따른 기존 연구 검증=219,267,3

(4) 줄눈 깊이에 따른 거동 분석=221,269,2

다.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거동 특성 연구=223,271,1

(1) 중앙부 하중 재하=223,271,3

(2) 단부 하중 재하=225,273,3

(3) 우각부 하중 재하=228,276,3

(4) 길어깨부 하중 재하=230,278,3

(5) 부착 정도=232,280,3

라. 요약=234,282,2

3. 현장 실험 결과를 이용한 모형의 검증=235,283,1

가. 정적하중재하실험 결과와의 비교=235,283,5

나. FWD 실험 결과와의 비교=239,287,7

4. 한계응력 발생 지점=245,293,3

5. 민감도 분석 및 회귀식 개발=247,295,1

가. 민감도 분석=247,295,1

(1) 민감도 분석을 위한 표준 단면 및 각층의 물성값=247,295,3

(2) 민감도 분석 수행=249,297,9

나. 한계응력 예측회귀식 개발=257,305,1

(1) 회귀식 비교=257,305,3

(2) 입력 변수에 따른 민감도 분석=259,307,4

6. 요약=262,310,2

4절. 중ㆍ신ㆍ콘 포장 피로 모델=264,312,1

1. 피로모형 개발 사례=264,312,2

가. UTW 파손 기본원리=265,313,4

나. UTW 주요 파손=268,316,2

다. 피로 모델 소개=269,317,4

2. 피로식 개발 방법=272,320,3

가. 실내실험 방법-반복하중을 통한 피로식 개발=274,322,2

나. 포장 가속기(APT)를 이용한 방법=276,324,3

다. AASHO 시험도로를 통한 피로식 개발=278,326,2

라. 브라질 UTW 피로식 개발=279,327,5

마. 요약=283,331,2

3. 실내실험=284,332,1

가. KALES 실험=284,332,1

(1) 개요=284,332,1

(2) KALES 실험을 통한 중ㆍ신ㆍ콘 포장 거동 분석=284,332,4

(3) 요약=287,335,1

나. HWLS을 이용한 중ㆍ신ㆍ콘 포장 포장의 거동 분석=287,335,1

(1) 개요=287,335,2

(2) HWLS 작동윈리=288,336,1

(3) HWLS 실험 계획=289,337,3

(4) 거동 분석=291,339,2

(5) HWLS 실험 결과=292,340,2

(6) 요약=293,341,1

4. 중ㆍ신ㆍ콘 포장 피로식 모델 개발 방향=294,342,2

5.요약=296,344,1

5절. 중ㆍ신ㆍ콘 설계법 개발=297,345,1

1. 콘크리트 덧씌우기 설계법 고찰=297,345,1

가. AASHTO 설계법(1993)=297,345,3

나. 미국 시멘트 협회 UTW 설계법=299,347,2

(1) 3B FEM 모델=300,348,1

(2) 시험구간 및 결과 자료 수집=300,348,2

(3) 3D FEM 검증 및 2D FEM 전환=301,349,2

(4) 포장해석 예측 모델 개발 및 파손모델 적용=303,351,2

다. 콜로라도 Whitetopping 설계법=305,353,1

(1) 시험구간=306,354,2

(2) 임계하중 위치 선정=307,355,1

(3) 포장 거동 해석=308,356,3

(4) 해석모형개발 및 피로모형 적용=310,358,2

(5) 교통량 산정=311,359,2

라. 트랜스텍(Transtec) 설계법=312,360,2

2. 중ㆍ신ㆍ콘 포장 설계 프로그램 개발=314,362,3

가. 교통하중 정량화=316,364,1

(1) 등가 단축하중에 의한 교통량 정량화=317,365,1

(2) 누적손상을 위한 교통량 정량화=318,366,5

나. 기존 포장층 구성 및 물성=323,371,3

다. 중ㆍ신ㆍ콘 배합 설계=325,373,2

라. 온도예측 모델=326,374,2

마. 포장 해석 모델=327,375,4

바. 중ㆍ신ㆍ콘 포장파손 예측 모델=330,378,2

사. 중ㆍ신ㆍ콘 포장 설계수명 추정=331,379,3

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333,381,3

자. 설계법 검증=335,383,9

차. 중ㆍ신ㆍ콘 설계 프로그램 개발=343,391,4

3. 교통량과 포장두께와의 관계=346,394,3

4. 요약 및 향후 연구 과제=349,397,1

가. 요약=349,397,2

나. 향후 연구 방향=350,398,1

6절. 경제성 분석=351,399,2

1. 기본 가정사항=352,400,1

가. 분석 기간=353,401,1

나. 할인율=353,401,2

다. 교통량=354,402,2

라. 공용성=355,403,3

마. 공사비용=357,405,5

2. 적용 모델=362,410,1

가. 비용 환산 방식=362,410,2

나. 사용자비용=363,411,1

(1) 지체 교통량 및 지체 시간=363,411,3

(2) 차량운행비용=365,413,1

(3) 운행지연비용=366,414,2

3. 사례분석=367,415,6

4. 민감도 분석=372,420,6

5. 요약=378,426,1

[참고문헌]=379,427,11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390,438,1

1절.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390,438,1

1. 연구 수행 결과=390,438,1

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중ㆍ신ㆍ콘 다중슬래브 모형 개발=390,438,2

나. 중ㆍ신ㆍ콘 재료 개발=391,439,1

다. 시험시공 및 시방서 개발=391,439,2

라. 초기 공용성 평가=393,441,2

마. 경제성 평가=394,442,1

바. 중ㆍ신ㆍ콘 설계법 개발=394,442,2

2. 계획대비 수행실적=396,444,1

3. 연구 성과=397,445,1

가. 논문-학회지 논문=397,445,1

나. 논문-학회 발표=397,445,1

2절. 연구개발 대외기여도=398,446,1

1. 기술발전 기여도=398,446,1

2. 기대효과=399,447,1

가. 기술적 측면=399,447,1

나. 경제ㆍ산업적 측면=399,447,2

3. 관련 후속 연구개발의 전망=400,448,1

가. 기술적 측면=401,449,1

나. 경제ㆍ산업적 측면=401,449,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402,450,1

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402,450,1

2절. 타연구 응용=403,451,1

3절. 기업화 추진 방향=403,451,1

제6장. 참고문헌=404,452,20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41

CONTENTS=0,42,7

Chapter 1. Introduction=1,49,1

1. Objectives and scope=1,49,1

1.1. Final objectives and scope=1,49,1

1.1.1. Objectives=1,49,2

1.1.1. Scope=3,51,1

1.2. Yearly objectives and scope=3,51,1

1.2.1 Summarization=3,51,2

1.2.2. First year=4,52,2

1.2.3. Second year=5,53,2

1.2.4. Third year=7,55,2

2.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yearly research=8,56,1

2.1. Result of the first yearly research=8,56,2

2.2. Result of the second yearly research=9,57,2

3. Objectives in first year=10,58,1

3.1. Objectives=11,59,1

3.2. Scope=11,59,2

3.3. Result of yearly research procedures=13,61,1

Chapter 2. Current research trend and research of performance=14,62,1

1. Research trend and mechanism of Whitetopping=14,62,1

1.1. Background=14,62,2

1.2. Research trend=16,64,2

1.3. Mechanism=17,65,2

2. Case of performance analysis=19,67,1

2.1. Domestic research=19,67,2

2.2. International research=20,68,1

2.2.1. America=20,68,12

2.2.2. Brazil=32,80,1

2.2.3. Europe=33,81,1

2.2.4. Japan=33,81,4

3. Summary=37,85,3

[Reference]=40,88,3

Chapter 3. Research procedure and result=43,91,1

1. Material=44,92,1

1.1. Quality control in concrete material=44,92,1

1.1.1. Material for use=44,92,3

1.1.2. Quality control in concrete material for labor construction=46,94,17

1.1.3. Quality control in concrete material for Machinery=63,111,11

1.1.4. Conclusion=74,122,3

1.2 The plan of field construction=76,124,1

1.2.1. Labor construction=76,124,9

1.2.2. Machinery construction=84,132,3

1.2.3. Conclusion=86,134,2

1.3. Yosu-Sunchon field construction=87,135,1

1.3.1. Property of material=88,136,6

1.3.2. Yosu-Sunchon field construction=93,141,6

1.3.3. Property of field concrete=98,146,4

1.3.4. Conclusion=101,149,2

1.4. Summary=102,150,2

2. Construction field=104,152,1

2.1. Whitetopping construction=104,152,2

2.1.1 Objective=105,153,2

2.1.2 Plan=106,154,14

2.1.3 Construction field in General Road(Yosu-Sunchon,Kwang Yang-Sunchon)=120,168,14

2.2. Application of Whitetopping pavement using Maturity=134,182,1

2.1.1. Concept of Maturity=134,182,2

2.2.2. Joint cutting and openning traffic=135,183,5

2.2.3 Summary=140,188,2

2.3. Performance evaluation=142,190,1

2.3.1. A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142,190,59

2.3.2. A Functional performance evaluation=200,248,5

2.4. Summary=205,253,3

3. Finite element method for Whitetopping analysis=208,256,1

3.1.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yearly research=208,256,1

3.1.1. Development procedure=208,256,2

3.1.2. Result of the first yearly research=209,257,3

3.1.3. Result of the second yearly research=211,259,5

3.2. Development of 3-dimension multi slab model=215,263,1

3.2.1. Need for 3-dimension multi slab model=215,263,2

3.2.2. 3-dimension multi slab model=216,264,7

3.2.3. Analysis of loading position=223,271,12

3.2.4. Summary=234,282,1

3.3. Verification of model by the result of field construction=235,283,1

3.3.1. Static loading test=235,283,5

3.3.2. FWD=239,287,7

3.4. Position of critical load=245,293,3

3.5. Sensitivity analysis and regression equation=247,295,1

3.5.1. Sensitivity analysis=247,295,11

3.5.2. Development of regression equation=257,305,6

3.6. Conclusion=262,310,2

4. Whitetopping fatigue model=264,312,1

4.1. Case of fatigue model=264,312,2

4.1.1 UTW demage mechanism=265,313,4

4.1.2. Type of UTW demage=268,316,2

4.1.3. Case of fatigue model=269,317,4

4.2. Research of Fatigue model=272,320,3

4.2.1 Laboratory test=274,322,2

4.2.2 APT(Accelerated Pavement Test)=276,324,3

4.2.3 AASHO test road=278,326,2

4.2.4 Brazil UTW in field=279,327,5

4.2.5 Summary=283,331,2

4.3 Laboratory test=284,332,1

4.3.1 KALES=284,332,4

4.3.2 HWLS=287,335,7

4.4. Consideration of Whitetopping fatigue model=294,342,2

4.5. Summary=296,344,1

5. Development for Whitetopping Design=297,345,1

5.1. Consideration=297,345,1

5.1.1. AASHTO design=297,345,3

5.1.2. PCA design=299,347,6

5.1.3. Colorado design=305,353,8

5.1.4. Transtec design=312,360,2

5.2. Development of Whitetopping design program=314,362,3

5.2.1 Traffic assessment=316,364,7

5.2.2 Composition and property of the existing pavement=323,371,3

5.2.3. Whitetopping mix design=325,373,2

5.2.4. Temperature prediction model=326,374,2

5.2.5. Pavement analysis model=327,375,4

5.2.6. Modeling fatigue performance=330,378,2

5.2.7. Prediction of design life span=331,379,3

5.2.8. Monte Carlo Simulation=333,381,3

5.2.9. Verification of pavement design=335,383,9

5.2.10. Development of Whitetopping design program=343,391,4

5.3. Relationship of traffic volume and pavement thickness=346,394,3

5.4. Summary and future plan=349,397,1

5.4.1. Summary=349,397,2

5.4.2. Plan=350,398,1

6. Economic analysis=351,399,2

6.1. Basic assumption=352,400,1

6.1.1. Analysis period=353,401,1

6.2.2. Discount Rate=353,401,2

6.2.3. Traffic volume=354,402,2

6.2.4. Performance=355,403,3

6.2.5. Construction cost=357,405,5

6.2. Application model=362,410,1

6.2.1. Cost exchange method=362,410,2

6.2.2. User cost=363,411,5

6.3. Case analysis=367,415,6

6.4. Sensitivity analysis=372,420,6

6.5. Summary=378,426,1

[Reference]=379,427,11

Chapter 4. Accomplishment and contribution=390,438,1

1. Accomplishment=390,438,1

1.1. Degree of accomplishment on the object=390,438,1

1.1.1. Whitetopping multi slap model using Finite Element Method=390,438,2

1.1.2. Development material=391,439,1

1.1.3. Field test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specification=391,439,2

1.1.4. Evaluation of initial peformance=393,441,2

1.1.5. Life Cycle Cost Analysis=394,442,1

1.1.6. Design of Whitetopping=394,442,2

1.2. Actual result of performance=396,444,1

1.3. Result of research=397,445,1

1.3.1. Thesis=397,445,1

1.3.2. Publication of the paper=397,445,1

2. Contribution=398,446,1

2.1. Technical contribution=398,446,1

2.2. Side effect=399,447,1

2.2.1. Technical aspect=399,447,1

2.2.2. Economic aspect=399,447,2

2.3. Prospect of following research development=400,448,1

2.3.1. Technical aspect=401,449,1

2.3.2. Economic aspect=401,449,1

Chapter 5. Implementation=402,450,1

1. Need of additional research=402,450,1

2. Apply another research=403,451,1

3. Direction of industrialization=403,451,1

Chapter 6. Reference=404,452,20

표목차

[표 1.1.1] 최종 연구 내용=3,51,1

[표 1.2.1] 1차년도 연구성과=8,56,1

[표 1.2.2] 2차년도 연구성과=10,58,1

[표 1.3.1] 3차년도 연구성과=11,59,2

[표 2.3.1] 국외 Whitetopping 시공 사례(1997년 3월)=20,68,1

[표 2.3.2] 아이오와 시공 계획(Rl6 연구과제)=21,69,1

[표 2.3.3] 아이오와 설계 변수 (R21 연구과제)=22,70,1

[표 2.3.4] 캔사스의 실험 계획=24,72,1

[표 2.3.5] Minnesota 설계 변수=27,75,1

[표 2.3.6] ALF 실험계획=30,78,1

[표 2.3.7] ALF 실험에서의 하중조건 및 파손=31,79,1

[표 2.3.8] 브라질 시험 시공 구간=32,80,1

[표 2.3.9] 일본에서의 TBCO 및 Whitetopping 시공 사례=34,82,1

[표 2.3.10] 시험구간 설계=34,82,1

[표 2.3.11] 시험 시공의 인자 적용 및 결과=36,84,1

[표 2.3.12] 시험 시공 주요 인자별 평가 결과 및 국내 연구 적용 방향=39,87,1

[표 3.1.1] 골재의 물성=45,93,1

[표 3.1.2] 아윈클링커 및 무수석고 화학성분=45,93,1

[표 3.1.3] 혼화재료 특성=46,94,1

[표 3.1.4] 콘크리트 배합 조건=47,95,1

[표 3.1.5] 콘크리트 물성=47,95,1

[표 3.1.6] 촉진제(NS/LC) 평가를 위한 콘크리트 배합조건=49,97,1

[표 3.1.7] 촉진제(NS/LC)를 사용한 콘크리트 물성=50,98,1

[표 3.1.8] CN계 촉진제 사용량별 콘크리트 배합조건=52,100,1

[표 3.1.9] CN계 촉진제 사용량별 콘크리트 물성=52,100,1

[표 3.1.10] 콘크리트 혼합 및 배합조건=54,102,1

[표 3.1.11] 혼합 조건별 콘크리트 물성=55,103,1

[표 3.1.12] 현장 적용을 위한 콘크리트 배합조건=57,105,1

[표 3.1.13] 미경화 콘크리트 물성=57,105,1

[표 3.1.14] 경화 콘크리트 물성=57,105,1

[표 3.1.15] 콘크리트 배합=60,108,1

[표 3.1.16] 온도조건별 압축강도 시험결과=61,109,1

[표 3.1.17] 양생온도 조건별 압축강도와 양생시간=62,110,1

[표 3.1.18] 혼화제 조건별 실험 인자와 수준=63,111,1

[표 3.1.19] 콘크리트 배합 조건=64,112,1

[표 3.1.20] 배합 조건별 콘크리트 물성평가 결과=64,112,1

[표 3.1.2l] LS 적용성 평가를 위한 배합조건=66,114,1

[표 3.1.22] LS 적용을 평가한 결과=66,114,1

[표 3.1.23] LS를 사용한 콘크리트 배합조건(물-시멘트비 변화)=69,117,1

[표 3.1.24] LS 적용 단위시멘트량 조건별 물성평가 결과=69,117,1

[표 3.1.25] 운송 조건별 물성평가를 위한 콘크리트 배합조건=72,120,1

[표 3.1.26] 트럭애지테이터 운송조건의 물성평가 결과=72,120,1

[표 3.1.27] 덤프트럭 운송조건의 물성평가 결과=73,121,1

[표 3.1.28] 신속개통형(1일공용) 콘크리트 추천배합 및 물성(인력포설 조건)=75,123,1

[표 3.1.29] 신속개통형 중ㆍ신ㆍ콘 포장재의 추천배합 및 물성(기계식 시공)=75,123,1

[표 3.1.30] 콘크리트 배합조건=77,125,1

[표 3.1.31] 콘크리트 배합조건=77,125,1

[표 3.1.32] 미경화 콘크리트 물성=77,125,1

[표 3.1.33] 경화 콘크리트 물성=78,126,1

[표 3.1.34] 콘크리트 배합조건=84,132,1

[표 3.1.35] 시험시공 콘크리트의 물성평가 결과=85,133,1

[표 3.1.36] 본선 시공용 콘크리트 배합조건=88,136,1

[표 3.1.37] 미경화 콘크리트 특성=89,137,1

[표 3.1.38] 재령별 콘크리트 강도시험 결과=90,138,1

[표 3.1.39] 재령별 탄성계수 및 압축강도 측정 결과=92,140,1

[표 3.1.40] 추천 콘크리트 배합조건 및 물성=93,141,1

[표 3.1.41] 배치플랜트 생산시험 배합조건=94,142,1

[표 3.1.42] 배치플랜트 생산시험 결과=94,142,1

[표 3.1.43] 본선시공 신속개통형 중ㆍ신ㆍ콘 포장재 배합조건=95,143,1

[표 3.1.44] 레미콘 출하 차량별 슬럼프 및 공기량=99,147,1

[표 3.1.45] 재령별 강도측정 결과=100,148,1

[표 3.2.1] 시헙시공 실험 계획=108,156,1

[표 3.2.2] 모니터링 계획=110,158,1

[표 3.2.3] 모니터링 계획=113,161,1

[표 3.2.4] 모니터링 계획=115,163,1

[표 3.2.5] 최종 배합=121,169,1

[표 3.2.6] 재료 배합에 따른 슬럼프 손실=122,170,1

[표 3.2.7] 초기 재령별 압축 강도 결과=122,170,1

[표 3.2.8] 타이닝 시기와 표면 상태 조사=132,180,1

[표 3.2.9] 실내실험 계획=136,184,1

[표 3.2.10] 슬래브 줄눈절삭 시기 및 교통개방 시기 결정=138,186,1

[표 3.2.11] 경험적 방법과 성숙도 이론을 적용한 줄눈 절삭 비교=139,187,1

[표 3.2.12] 교통개방시 압축강도와 성숙도=140,188,1

[표 3.2.13] 폐도 FWD 측정 시험 이력=144,192,1

[표 3.2.14] 차륜 하중 제원=153,201,1

[표 3.2.15] 덕평폐도 구간 특성과 데멕 측정 요인 설계=173,221,1

[표 3.2.16] 두께에 따른 현장 측정 데이터=185,233,1

[표 3.2.17] 줄눈간격에 따른 현장 측정 데이터=185,233,1

[표 3.2.18] 1차/2차 사후관측 결과=191,239,1

[표 3.2.19] 부착강도 시험결과=198,246,1

[표 3.2.20] 신설 포장의 PrI 기준53)=203,251,1

[표 3.2.21] 시험시공의 PrI값=204,252,1

[표 3.3.1] 2차년도 모형을 통한 하중재하 위치에 따른 인장응력과 최대 표층처짐=213,261,1

[표 3.3.2] 해석 단면의 물성값=218,266,1

[표 3.3.3] 중앙부 하중 재하 모형 해석 결과=225,273,1

[표 3.3.4] 단부 하중 재하 모형 해석 결과=227,275,1

[표 3.3.5] 우각부 하중 재하 모형 해석 결과=230,278,1

[표 3.3.6] 길어깨부 하중 재하 모형 해석 결과=232,280,1

[표 3.3.7] 민감도 분석 조건=249,297,1

[표 3.3.8] 민감도 분석 외의 단면 물성=249,297,1

[표 3.4.1] 각 피로식 개발 방법 요약=274,322,1

[표 3.4.2] 브라질 시험시공 구간 정보=280,328,1

[표 3.4.3] 각 구간에서 처짐량=281,329,1

[표 3.4.4] 섹션 T1A의 하중,교통량 및 응력=282,330,1

[표 3.4.5] 하중 재하 회수에 따른 공용성 평가 실험일정=286,334,1

[표 3.4.6] 보조기층 재료의 골재 입도 범위(고속도로공사 시방서)=290,338,1

[표 3.4.7] 아스팔트 배합비(600×600×50㎣ 기준)=290,338,1

[표 3.4.8] 콘크리트 배합비(600×600×100㎣ 기준)=290,338,1

[표 3.4.9] 실험 단면 계획=291,339,1

[표 3.5.1] 미국 시멘트 협회 적용 시험구간의 자료 수집=301,349,1

[표 3.5.2] 고속국도 차종 분류(참조) 건설기술연구원,1998년 12월=319,367,1

[표 3.5.3] 일반국도 차종 분류=319,367,1

[표 3.5.4] 기존 아스팔트 포장의 대표 물성값=323,371,1

[표 3.5.5] 기층 및 보조기층의 대표 물성값=324,372,1

[표 3.5.6] 중ㆍ신ㆍ콘 배합 설계=325,373,1

[표 3.5.7] 중ㆍ신ㆍ콘 재료 휨강도/압축강도=326,374,1

[표 3.5.8] 지역별 환경 영향 조건 데이터(예)=327,375,1

[표 3.5.9] 누적 포장 손상 계산 결과=333,381,1

[표 3.5.10] 입력변수-설계 교통량(AADT)=337,385,1

[표 3.5.11] 콜로라도 설계법에 적용된 입력변수=337,385,1

[표 3.5.12] 콜로라도 설계법 해석 결과=337,385,1

[표 3.5.13] 중ㆍ신ㆍ콘 설계법 해석 결과=338,386,1

[표 3.5.14] 설계법 비교를 위한 입력변수 변환=339,387,1

[표 3.5.15] 휨강도(1140.72 psi)에 따른 포장 파손 예측=341,389,1

[표 3.5.16] 교통량과 포장두께=348,396,1

[표 3.6.1] 실질할인율 산정자료 『한국은행 국내경제지표,2003』=354,402,1

[표 3.6.2] 17호선 각 차종별 교통량 비율94)=355,403,1

[표 3.6.3] 대안별 보수 년도 및 시공 회수=357,405,1

[표 3.6.4] 중ㆍ신ㆍ콘(15cm) 시공비용=358,406,1

[표 3.6.5] 중ㆍ신ㆍ콘(10cm) 시공비용=358,406,1

[표 3.6.6] 중ㆍ신ㆍ콘(5cm) 시공비용=359,407,1

[표 3.6.7] 일반국도 10AC 시공비용=359,407,1

[표 3.6.8] 콘크리트 포장 단면 보수 단위비용 산정=360,408,1

[표 3.6.9] 5AC 단위비용 산정 단위:1km당 2차로=360,408,1

[표 3.6.10] 아스팔트 상시유지보수 및 패칭 단위비용 산정=361,409,1

[표 3.6.11] 시공비용=361,409,1

[표 3.6.12] 차종별 연료 소모량 계수=366,414,1

[표 3.6.13] 대상 구간의 차량 운행 비용의 단가=366,414,1

[표 3.6.14] 화물 품목 구분에 따른 화물 운송의 시간가치 산정결과=367,415,1

[표 3.6.15] 아스팔트 덧씌우기 유지보수 비용=368,416,1

[표 3.6.16] 중ㆍ신ㆍ콘 유지보수 비용=368,416,1

[표 3.6.17] 대상구간의 공법별 지체 교통량=369,417,1

[표 3.6.18] 대상구간의 차종별 탑승자 시간비용=369,417,1

[표 3.6.19] 대상구간의 차종별 화물의 시간비용=370,418,1

[표 3.6.20] 대상구간의 공법별 교통량에 따른 사용자비용=370,418,1

[표 3.6.21] 대상구간의 lOAC 사용자 비용=370,418,1

[표 3.6.22] 대상구간의 중ㆍ신ㆍ콘 사용자 비용=371,419,1

[표 3.6.23] 실질할인율에 따른 민감도 분석 결과=373,421,1

[표 3.6.24] 각 구간별 포장 두께에 대한 생애주기비용(분석기간 20년)=375,423,1

[표 4.1.1] 3차년도 계획 대비 수행 실적=396,444,1

그림목차

[그림 1.1.1] 연구 개발 최종 목표=2,50,1

[그림 1.1.2] 연차별 연구 흐름도=4,52,1

[그림 1.1.3] 1차년도 연구 내용 및 범위=5,53,1

[그림 1.1.4] 2차년도 연구 내용 및 범위=6,54,1

[그림 1.1.5] 3차년도 연구 내용 및 범위=7,55,1

[그림 1.3.1] 년차에 따른 각 분야별 연구성과 수행 과정=13,61,1

[그림 2.1.1] 두께에 따른 Whitetopping 분류=15,63,1

[그림 2.2.1] 미국의 기술동향 분석=16,64,1

[그림 2.2.2] 1999년 현재 미국 내 UTW 시공 현황=17,65,1

[그림 2.2.3] 부착력에 따른 복합거동=18,66,1

[그림 2.2.4] Whitetopping 개요도=18,66,1

[그림 2.3.1] 지리산 IC 시험 시공 구간 전경 및 건조 수축 균열=19,67,1

[그림 2.3.2] 마산구간 전경과 코어모습=19,67,1

[그림 2.3.3] Tennessee의 Whitetopping 시공 사례=24,72,1

[그림 2.3.4] 미시시피 시험 시공 구간(Mississippi,1998)=25,73,1

[그림 2.3.5] 세인트 루이스 공항의 줄눈 절삭 시공 사례=30,78,1

[그림 3.1] 각 단계별 중ㆍ신ㆍ콘 연구내용 및 수행결과=43,91,1

[그림 3.1.1] 조강 시멘트와 초조강 시멘트의 슬럼프 경시변화=47,95,1

[그림 3.1.2] 조강 시멘트 및 초조강 시멘트의 압축강도=48,96,1

[그림 3.1.3] 촉진제(NS/LC)를 사용한 슬럼프 경시변화=50,98,1

[그림 3.1.4] 촉진제(NS/LC) 조건별 콘크리트 압축강도=51,99,1

[그림 3.1.5] CN계 촉진제량에 따른 슬럼프 경시변화=53,101,1

[그림 3.1.6] CN계 촉진제량에 따른 압축강도=53,101,1

[그림 3.1.7] 혼합 조건별 슬럼프 경시변화=55,103,1

[그림 3.1.8] 혼합 조건별 콘크리트 압축강도=56,104,1

[그림 3.1.9] 슬럼프 경시 변화=58,106,1

[그림 3.1.10] 공기량 경시변화=59,107,1

[그림 3.1.11] 재령별 압축강도 측정결과=59,107,1

[그림 3.1.12] 재령별 휨 인장강도 측정결과=60,108,1

[그림 3.1.13] 성숙도(Maturity)와 1일 압축강도의 상관관계=61,109,1

[그림 3.1.14] 성숙도(Maturity)와 1,2일 압축강도의 상관관계=62,110,1

[그림 3.1.15] 물-시멘트비별 공기량 경시변화=66,114,1

[그림 3.1.16] 물-시멘트비별 슬럼프 경시변화=67,115,1

[그림 3.1.17] 물-시멘트비별 압축강도=68,116,1

[그림 3.1.18] 단위시멘트량 조건별 공기량 경시변화=69,117,1

[그림 3.1.19] 단위시멘트량 조건별 슬럼프 경시변화=70,118,1

[그림 3.1.20] 단위시멘트량 조건별 압축강도=71,119,1

[그림 3.1.21] 염화칼슘 용액하에서의 동결융해(보통시멘트)=81,129,1

[그림 3.1.22] 염화칼슘 용액하에서의 동결융해(3종시멘트)=82,130,1

[그림 3.1.23] 염화칼슘 용액하에서의 동결용해(조강재)=82,130,1

[그림 3.1.24] 길이변화 시험결과=83,131,1

[그림 3.1.25] 슬럼프 경시변화=89,137,1

[그림 3.1.26] 공기량 경시변화=90,138,1

[그림 3.1.27] 재령별 압축강도=91,139,1

[그림 3.1.28] 성숙도(Maturity)에 따른 압축강도발현 특성=91,139,1

[그림 3.1.29] 압축강도와 비파괴 탄성계수와의 관계=92,140,1

[그림 3.1.30] 중ㆍ신ㆍ콘 콘크리트 생산 흐름도=95,143,1

[그림 3.1.31] 레미콘 출하 차량별 슬럼프=99,147,1

[그림 3.1.32] 레미콘 출하 차량별 공기량=100,148,1

[그림 3.1.33] 재령별 압축강도 측정결과=101,149,1

[그림 3.1.34] 재령별 휨강도 측정결과=101,149,1

[그림 3.2.1] 현장 시험시공 개요도=104,152,1

[그림 3.2.2] 예비시험과 본 시험의 구간 위치도=107,155,1

[그림 3.2.3] 전체 단면 계획=108,156,1

[그림 3.2.4] 게이지 매립위치 평면도=109,157,1

[그림 3.2.5] 세부 단면 계획=109,157,1

[그림 3.2.6] 기계식 시험 시공 단면 계획=111,159,1

[그림 3.2.7] 단면계획(A)=111,159,1

[그림 3.2.8] 단면계획(B)=111,159,1

[그림 3.2.9] 계측기 매립 위치=112,160,1

[그림 3.2.10] 중ㆍ신ㆍ콘 시험시공 적용 대상구간의 교차로 평면도=114,162,1

[그림 3.2.11] 중ㆍ신ㆍ콘 시험시공 구간의 일일교통량과 기존 포장층 구성=114,162,1

[그림 3.2.12] 인력식 시험시공 흐름도=116,164,1

[그림 3.2.13] 인력식 시험시공 공정=117,165,1

[그림 3.2.14] 기계식 시험시공 흐름도=118,166,1

[그림 3.2.15] 기계식 시험시공 공정=119,167,1

[그림 3.2.16] 시험 시공 흐름도=120,168,1

[그림 3.2.17] 순천-광양간 국도 2호선=123,171,1

[그림 3.2.18] 여수-순천간 국도 17호선=123,171,1

[그림 3.2.19] 17번 국도에서 채취한 코어와 단면 구성도=124,172,1

[그림 3.2.20] 도로 포장 상태 (광양->여수 국도 2호선)=124,172,1

[그림 3.2.21] 공사 홍보를 위한 안내판=125,173,1

[그림 3.2.22] 3지 교차로=125,173,1

[그림 3.2.23] 4지 교차로=126,174,1

[그림 3.2.24] 1차 표면청소 장비=128,176,1

[그림 3.2.25] 2차 표면청소 장비=128,176,1

[그림 3.2.26] 밀링후 콘크리트층 발견=129,177,1

[그림 3.2.27] 절삭면 패인 모습=129,177,1

[그림 3.2.28] 슬립폼 페이버의 유도선 설치=129,177,1

[그림 3.2.29] 콘크리트 타설 작업=130,178,1

[그림 3.2.30] 콘크리트 포설 작업=130,178,1

[그림 3.2.31] 평탄면 마무리 작업=131,179,1

[그림 3.2.32] 슬럼프 측정 모습=131,179,1

[그림 3.2.33] 골재 튐현상=131,179,1

[그림 3.2.34] 몰타르 찌꺼기=131,179,1

[그림 3.2.35] 양생제 살포=133,181,1

[그림 3.2.36] 줄눈 절삭 작업=133,181,1

[그림 3.2.37] 절삭면 물청소 작업=133,181,1

[그림 3.3.38] 게이지 매립=136,184,1

[그림 3.3.39] 줄눈 절삭=136,184,1

[그림 3.2.40]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137,185,1

[그림 3.2.41] 시간에 따른 온도 및 건조수축=138,186,1

[그림 3.1.42] 중ㆍ신ㆍ콘 포장의 공용성 평가 계획=142,190,1

[그림 3.3.43] FWD 측정과정=143,191,1

[그림 3.2.44] FWD 측정 지점도=144,192,1

[그림 3.2.45] 계절별 평균 처짐량-여름=145,193,1

[그림 3.2.46] 계절별 평균 처짐량-겨울=145,193,1

[그림 3.2.47] 기계식-두께에 따른 FWD처짐량(여름)=146,194,1

[그림 3.2.48] 인력-기계식 FWD처짐량 비교(여름)=146,194,1

[그림 3.2.49] 하중에 따른 처짐 비교(100㎜,150㎜)=147,195,1

[그림 3.2.50] 인력식구간 FWD처짐량 비교-재하위치=147,195,1

[그림 3.2.51] 기계식구간 FWD처짐량 비교-재하위치=148,196,1

[그림 3.2.52] 중앙부,줄눈부 FWD처짐량 비교-여름=148,196,1

[그림 3.2.53] 중ㆍ신ㆍ콘 포장과 다른 포장의 처짐량 비교=149,197,1

[그림 3.2.54] 중ㆍ신ㆍ콘 포장과 다른 포장의 처짐량 비교=150,198,1

[그림 3.2.55] 게이지 매립위치=152,200,1

[그림 3.2.56] 차륜 재하위치=152,200,1

[그림 3.2.57] 차축형태=153,201,1

[그림 3.2.58] 온도분포=154,202,1

[그림 3.2.59] R3와 R6 변형률 비교(중앙)=154,202,1

[그림 3.2.60] 종방향 변형률 비교(단부)=154,202,1

[그림 3.2.61] 종방향 변형률 비교(우각부)=154,202,1

[그림 3.2.62] 하중의 크기에 따른 포장의 응력분포=154,202,1

[그림 3.2.63] 포장두께에 따른 종방향 변형률=155,203,1

[그림 3.2.64] 포장두께에 따른 횡방향 변형률=155,203,1

[그림 3.2.65] 하중 재하위치에 따른 변형률=156,204,1

[그림 3.2.66] 포장체의 변형률 분포 및 방향성 분석=156,204,1

[그림 3.2.67] 대기온도 및 포장온도=158,206,1

[그림 3.2.68]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거동 분석=159,207,1

[그림 3.2.69] 하중재하바퀴 위치=159,207,1

[그림 3.2.70] 콘크리트 하부에서 발생하는 변형률(5㎝ 구간)=160,208,1

[그림 3.2.71] 콘크리트 하부에서 발생하는 변형률(10㎝ 구간)=161,209,1

[그림 3.2.72] 콘크리트 하부에서 발생하는 변형률(15㎝ 구간)=161,209,1

[그림 3.2.73]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에 따른 거동(8월)=162,210,1

[그림 3.2.74]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에 따른 거동(11월)=163,211,1

[그림 3.2.75] 포장온도에 따른 거동(5㎝)=163,211,1

[그림 3.2.76] 포장 온도에 따른 거동(10㎝ 구간)=164,212,1

[그림 3.2.77] 포장 온도에 따른 거동(15㎝)=164,212,1

[그림 3.2.78] 컬링에 의한 거동=165,213,1

[그림 3.2.79] 하중 재하위치에 따른 거동(5㎝-중앙부)=166,214,1

[그림 3.2.80] 하중재하위치에 따른 거동(10㎝)=168,216,1

[그림 3.2.81]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거동(15㎝)=169,217,1

[그림 3.2.82] 하중 재하 바퀴위치에 따른 거동(15㎝-8월)=170,218,1

[그림 3.2.83] 하중재하 바퀴위치에 따른 거동(10㎝-11월)=170,218,1

[그림 3.2.84] 하중 재하 바퀴위치에 따른 거동(15㎝-11월)=171,219,1

[그림 3.2.85] 콘크리트 단면의 Decmec 측정 모식도=172,220,1

[그림 3.2.86] Demec Data의 +△(이미지참조)T 분석,△(이미지참조)Demec Reading<0=173,221,1

[그림 3.2.87] Demec Data의 -△(이미지참조)T 분석,△(이미지참조)Demec Reading>0=173,221,1

[그림 3.2.88] 각 구간별 데멕 포인터 설치 위치=174,222,1

[그림 3.2.89] 데멕 게이지 및 측정 모습=175,223,1

[그림 3.2.90] 대기온도와 구간별 표면온도=175,223,1

[그림 3.2.91] 두께에 따른 일 최대 변이량(슬래브 간격 1.8m×1.8m)=176,224,1

[그림 3.2.92] 슬래브 크기에 따른 위치별 일 최대 변이량=176,224,1

[그림 3.2.93] 온도경사에 따른 수평 변이랑=177,225,1

[그림 3.2.94] 온도 경사에 따른 두께별 변이량(+:줄눈닫힘,-:줄눈벌어짐)=179,227,1

[그림 3.2.95] 두께별 변이랑에 따른 온도 경사 기울기=179,227,1

[그림 3.2.96] 슬래브 크기와 온도경사와의 관계(두께 55㎜)=180,228,1

[그림 3.2.97] 슬래브 크기에 따른 온도 경사 기울기(55㎜)=180,228,1

[그럼 3.2.98] 슬래브 크기와 온도경사와의 관계(두께 110㎜)=180,228,1

[그림 3.2.99] 슬래브 내부응력과 마찰응력 모식도=182,230,1

[그림 3.2.100] 슬래브 위치에 따른 마찰응력 변화=182,230,1

[그림 3.3.101] 위치별 변이량 측정(두께 50㎜ 구간)=182,230,1

[그럼 3.2.lO2] 위치별 변이량 측정(두께 100㎜ 구간)=183,231,1

[그림 3.2.103] 위치별 변이량 측정(두께 150㎜ 구간)=183,231,1

[그림 3.2.104] 하부 마찰저항 보정계수 추정=185,233,1

[그림 3.2.105] 두께변화에 따른 하부 마찰저항 보정계수 변화=186,234,1

[그림 3.2.106] 줄눈간격 변화에 따른 하부 마찰저항 보정계수 변화=186,234,1

[그림 3.2.107] 밀링 후 표면상태=188,236,1

[그림 3.2.108] 시공 후 표면 상태=188,236,1

[그림 3.2.109] 시간에 따른 균열 맵-인력,기계식 구간=188,236,1

[그림 3.2.110] 일반국도 17호선 1구간 균열맵(2003년 7,8월)=190,238,1

[그림 3.2.111] 접속부 균열=191,239,1

[그림 3.2.112] 줄눈부 스폴링 현상=191,239,1

[그림 3.2.113] 줄눈부 스폴링 현상=192,240,1

[그림 3.2.114] 단부끝 균열=192,240,1

[그림 3.2.115] 제 유무에 따른 균열 맵-Rl,R2=193,241,1

[그림 3.2.116] R2구간 코어 채취=194,242,1

[그림 3.2.117] R7구간 코어 채취=194,242,1

[그림 3.2.118] R2 구간 줄눈 유도=195,243,1

[그림 3.2.119] R7 구간 줄눈 유도=195,243,1

[그림 3.2.120] 코어채취 위치=195,243,1

[그림 3.2.121] 줄눈부 코어채취 장면=195,243,1

[그림 3.2.l22] 1-J(줄눈부) 시편=195,243,1

[그림 3.2.123] 1-C(중앙부) 시편=195,243,1

[그림 3.2.124] 2-J(줄눈부) 시편=196,244,1

[그림 3.2.135] 3-J(줄눈부) 시편=196,244,1

[그림 3.2.126] 코어공시체=196,244,1

[그림 3.2.137] 공시체 절단=196,244,1

[그림 3.2.128] 절단된 공시체=197,245,1

[그림 3.2.129] 금속제 지그를 에폭시 수지로 공시체에 부착한 형상=197,245,1

[그림 3.2.130] 부착강도 시험용 가압판=197,245,1

[그림 3.2.131] 부착강도 시험기=197,245,1

[그림 3.2.132] 부착강도 시험상황=198,246,1

[그림 3.2.133] 1ㆍ2ㆍ4구간 부착강도 시험 후 공시체 파단면=199,247,1

[그림 3.2.134] 3구간 부착강도 시험 후 공시체 파단면=199,247,1

[그림 3.2.135] 프로파일 미터=202,250,1

[그림 3.2.136] 프로파일 측정 장면=202,250,1

[그림 3.2.137] 측정된 프르파일(2호선 2구간 순천-> 광양)=202,250,1

[그림 3.2.138] PrI 산출=203,251,1

[그림 3.3.1] 유한요소해석 모형 개발 절차=209,257,1

[그림 3.3.2] 축대칭 모형의 단면 및 변위,응력 분포=210,258,1

[그림 3.3.3] HWLS 하중 재하 크기와 시편 단면=211,259,1

[그림 3.3.4] 2차년도 유한요소해석에 적용된 UTW 단면=211,259,1

[그림 3.3.5] 2차년도 연구 내용중 노상 깊이에 따른 인장응력의 변화=212,260,1

[그림 3.3.6] 2차년도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해석 모형=213,261,1

[그림 3.3.7] 2차년도 재하 위치에 따른 해석에 필요한 슬래브=214,262,1

[그림 3.3.8] 슬래브 조건에 따른 깊이에 다른 횡방향 응력 분포 및 수직방향 처짐=215,263,1

[그림 3.3.9] 3차년도 3차원 다중슬래브 모형의 해석 범위=216,264,1

[그림 3.3.10] 3차년도 3차원 다중슬래브 모형의 깊이방향 해석 범위=217,265,1

[그림 3.3.11] 3차원 다중슬래브 모형과 단일슬래브 모형 요소망 비교=217,265,1

[그림 3.3.12]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요소망 생성=219,267,1

[그림 3.3.13] 노상 두께에 따른 횡방향 인장 응력의 변화=220,268,1

[그림 3.3.14] 노상 깊이에 따른 횡방향 변형률 변화=220,268,1

[그림 3.3.15] 단부 하중 재하시 하중 위치와 응력 측정 위치=221,269,1

[그림 3.3.16] 줄눈 깊이에 따른 슬래브 상부 횡방향응력 변화(단부하중재하)=222,270,1

[그림 3.3.17] 줄눈 깊이에 따른 슬래브 상부 종방향응력 변화(단부하중재하)=222,270,1

[그림 3.3.18] 중앙부 하중 재하에 따른 모형간 응력 분포도=223,271,1

[그림 3.3.19] 깊이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중앙부)=224,272,1

[그림 3.3.20] 깊이에 다른 횡방향 변형률 변화(중앙부)=224,272,1

[그림 3.3.21] 깊이에 따른 처짐량 변화(중앙부)=224,272,1

[그림 3.3.22] 단부 하중 재하에 따른 모형간 응력 분포도=226,274,1

[그림 3.3.23] 깊이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단부)=226,274,1

[그림 3.3.24] 깊이에 따른 횡방향 변형률 변화(단부)=226,274,1

[그림 3.3.25] 깊이에 따른 처짐량 변화(단부)=227,275,1

[그림 3.3.26] 우각부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모형간 응력 분포도=228,276,1

[그림 3.3.27] 깊이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우각부)=228,276,1

[그림 3.3.28] 깊이에 따른 횡방향 변형률 변화(우각부)=229,277,1

[그림 3.3.29] 깊이에 따른 처짐량 변화(우각부)=229,277,1

[그림 3.3.30] 길어깨부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모형간 응력 분포도=230,278,1

[그림 3.3.31] 깊이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길어깨부)=231,279,1

[그림 3.3.32] 깊이에 따른 횡방향 변형률 변화(길어깨부)=231,279,1

[그림 3.3.33] 깊이에 따른 횡방향 처짐량 변화(길어깨부)=232,280,1

[그림 3.3.34] 중ㆍ신ㆍ콘 기본 개념=233,281,1

[그림 3.3.35] 부착 정도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34,282,1

[그림 3.3.36] 부착 정도에 따른 횡방향 변형률 변화=234,282,1

[그림 3.3.37] 정적하중재하 실험시 바퀴하중 및 접지면적=236,284,1

[그림 3.3.38] 변형률 게이지 매립 위치 및 방향=236,284,1

[그림 3.3.39] 중앙부 하중 재하 따른 슬래브 하부 변형률 비교(슬래브 두께 10㎝)=237,285,1

[그림 3.3.40] 중앙부 하중 재하 따른 슬래브 하부 변형률 비교(슬래브 두께 15㎝)=237,285,1

[그림 3.3.41] 단부 하중 재하 따른 슬래브 하부 변형률 비교(슬래브 두께 10㎝)=238,286,1

[그림 3.3.42] 단부 하중 재하 따른 슬래브 하부 변형률 비교(슬래브 두께 10㎝)=238,286,1

[그림 3.3.43] FWD와 모형의 하중 및 재하 면적 비교=239,287,1

[그림 3.3.44] 중앙부 처짐량 결과 비교(10㎝)=240,288,1

[그림 3.3.45] 단부 처짐량 결과 비교(10㎝)=240,288,1

[그림 3.3.46] 우각부 처짐량 결과 비교(l0㎝)=240,288,1

[그림 3.3.47] 길어깨부 처짐량 결과 비교(l0㎝)=241,289,1

[그림 3.3.48] 중앙부 처짐량 결과 비교(5㎝)=241,289,1

[그림 3.3.49] 단부 처짐량 결과 비교(5㎝)=242,290,1

[그림 3.3.50] 중앙부 처짐량 결과 비교(15㎝)=242,290,1

[그림 3.3.51] 단부 처짐량 결과 비교(15㎝)=243,291,1

[그림 3.3.52] FWD 결과와 모형(자중 배제)과의 처짐량 비교(중앙부-5㎝)=243,291,1

[그림 3.3.53] FWD 결과와 모형(자중 배제)과의 처짐량 비교(중앙부-lO㎝)=244,292,1

[그림 3.3.54] 두께에 따른 처짐량 비교(중앙부)=244,292,1

[그림 3.3.55]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최대 횡방향 인장응력 발생지점 및 크기=246,294,1

[그림 3.3.56] 하중 재하 위치에 따른 최대 횡방향 인장응력 비교=246,294,1

[그림 3.3.57] 민감도 분석을 위한 기본 단면=248,296,1

[그림 3.3.58] 아스팔트 탄성계수 변화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0,298,1

[그림 3.3.59] 아스팔트 탄성 계수 변화에 따른 슬래브 내 횡방향 응력 변화=251,299,1

[그림 3.3.60] 아스팔트 두께 변화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1,299,1

[그림 3.3.61] 아스팔트 두께 변화에 따른 슬래브 내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2,300,1

[그림 3.3.62] 콘크리트 탄성 계수 변화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2,300,1

[그림 3.3.63] 콘크리트 탄성계수 변화에 따른 슬래브 내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3,301,1

[그림 3.3.64] 콘크리트 두께 변화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4,302,1

[그림 3.3.65] 콘크리트 두께 변화에 따른 슬래브 내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4,302,1

[그림 3.3.66] 콘크리트 크기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5,303,1

[그림 3.3.67] 콘크리트 슬래브 크기에 따른 슬래브 내 횡방항 인장응력 변화=255,303,1

[그림 3.3.68] 재하 압력 크기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6,304,1

[그림 3.3.69] 재하 압력에 따른 슬래브네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56,304,1

[그림 3.3.70] 하중 재하 크기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60,308,1

[그림 3.3.71] 아스팔트 기층 두께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60,308,1

[그림 3.3.72] 콘크리트 탄성계수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61,309,1

[그림 3.3.73] 콘크리트 두께에 따른 횡방향 인장응력 변화=262,310,1

[그림 3.4.1] 피로모형 개발 연구 흐름도=265,313,1

[그림 3.4.2] 아스팔트 두께 영향(Mack. J,1996)=266,314,1

[그림 3.4.3] 코너 균열 기본원리=267,315,1

[그림 3.4.4] Mid-slab 균열 기본원리=267,315,1

[그림 3.4.5] 종방향 줄눈 단차 기본원리=267,315,1

[그림 3.4.6] 횡방향 줄눈 단차 기본원리=267,315,1

[그림 3.4.7] 줄눈 스폴링 기본원리=268,316,1

[그림 3.4.8] 피로식 개발 방법에 따른 예산과 자료 신빙성간의 관계=273,321,1

[그림 3.4.9] 휨피로 실험 장치=275,323,1

[그림 3.4.10] 쪼갬 인장 피로실험 개요=275,323,1

[그림 3.4.11] CEDEX 실험 트랙의 단면도=277,325,1

[그림 3.4.12] CAPTIF 실험 트랙의 단면도=277,325,1

[그림 3.4.13] HVS의 단면도=277,325,1

[그림 3.4.14] ALF의 설계도=277,325,1

[그림 3.4.15] TxMLS의 개념도=278,326,1

[그림 3.4.16] AASHO 시험도로 피로모형 개발 흐름도=279,327,1

[그림 3.4.17] 브라질 피로 모델 개발 과정=280,328,1

[그림 3.4.18] KALES 하중실험=285,333,1

[그림 3.4.19] FWD 실험=285,333,1

[그림 3.4.20]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률(A site)=286,334,1

[그림 3.4.21] 온도와 변형율(6.14일,A site)=287,335,1

[그림 3.4.22] HWLS의 개념도=288,336,1

[그림 3.4.23] HWLS 피로실험 진행절차=289,337,1

[그림 3.4.24] 실험 공시체 단면=291,339,1

[그림 3.4.25] 하중 영향(아스팔트 50㎜,콘크리트 50㎜)=292,340,1

[그림 3.4.26] 반복하중재하실험(아스팔트 50,론크리트 50㎜)=293,341,1

[그림 3.4.27] 피로모델 개발 흐름도=294,342,1

[그림 3.5.1] AASHTO설계법에서 제시한 Whitetopping 덧씌우기 두께 설계 과정=298,346,1

[그림 3.5.2] AASHTO Whitetopping 설계 작업표 73)=299,347,1

[그림 3.5.3] 미국 시멘트 협회 UTW 설계법 과정=300,348,1

[그림 3.5.4] 롤로라도 Whitetopping 설계과정=305,353,1

[그림 3.5.5] 콜로라도(Sata Fe) 시험구간 I=306,354,1

[그림 3.5.6] 콜로라도(Longmont) 시험구간 II=306,354,1

[그림 3.5.7] 콜로라도(Lamar) 시험구간 III=307,355,1

[그림 3.5.8] 실험적 응력과 이론적 응력 사이의 회귀 모델=308,356,1

[그림 3.5.9] 실험적 변형률과 이론적 변형률 사이의 회귀모델=309,357,1

[그림 3.5.10] 온도 차이에 의한 응력 vs 총응력=309,357,1

[그림 3.5.11] Transtec의 whitetopping 설계 과정=312,360,1

[그림 3.5.12] 중ㆍ신ㆍ콘 설계법 개발=315,363,1

[그림 3.5.13] ESAL 산정 방법=317,365,1

[그림 3.5.14] 누적 손상개념=319,367,1

[그림 3.5.15] 앞축 하중 분포=320,368,1

[그림 3.5.16] 뒷축 하중 분포=320,368,1

[그림 3.5.17] 차량 궤적 변동 조사방법=321,369,1

[그림 3.5.18] 차량 Wandering의 개념=321,369,1

[그림 3.5.19] 차종에 따른 Wandering 분포 및 중첩효과=322,370,1

[그림 3.5.20] 중ㆍ신ㆍ콘 거동 예측 모형의 개발=328,376,1

[그림 3.5.21] 포장의 공용성 및 설계수명 예측=330,378,1

[그림 3.5.22] 누적 손상 설계 수명 예측 과정=332,380,1

[그림 3.5.23] 확률변수의 선정=334,382,1

[그림 3.5.24]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결과(예)=335,383,1

[그림 3.5.25] 중ㆍ신ㆍ콘 설계법 검증 및 추진프로세스)=336,384,1

[그림 3.5.26] 콜로라도 VS 중ㆍ신ㆍ콘 설계법 수명예측=338,386,1

[그림 3.5.27] 노상 지지력에 따른 수명 예측=340,388,1

[그림 3.5.28] 휨강도에 따른 수명 예측=342,390,1

[그림 3.5.29] 온도경사에 따른 수명 예측=343,391,1

[그림 3.5.30] 접속 후 화면=344,392,1

[그림 3.5.31] Heart-UTW 설계 프로그램 구성=345,393,1

[그림 3.5.32] Heart-UTW 프로그램 세부 알고리즘=346,394,1

[그림 3.6.1] 생애주기 비용=351,399,1

[그림 3.6.2] 시간대별 일일 통행 비율=355,403,1

[그림 3.6.3] 중ㆍ신ㆍ콘 와 lOAC의 공용성 곡선=356,404,1

[그림 3.6.4] 공사 구간에 의한 교통 지체=364,412,1

[그림 3.6.5] 공사 구간에 의한 교통 지체=364,412,1

[그림 3.6.6] 공사에 따른 지체 교통량=365,413,1

[그림 3.6.7] 생애 주기 비용=371,419,1

[그림 3.6.8] 누적 생애 주기 비용=372,420,1

[그림 3.5.9] 실질할인율의 변동에 따른 교통량별 LCC 변화=374,422,1

[그림 3.6.10] 대안별 생애 주기 비용=376,424,1

[그림 3.6.11] 교통량이 많을 경우 대안별 누적 생애 주기 비용=376,424,1

[그림 3.6.12] 교량량이 보통일 경우 대안별 누적 생애 주기 비용=377,425,1

[그림 3.6.13] 교통량이 적을 경우 대안별 누적 생애 주기 비용=377,425,1

[그림 4.2.1] 연구 성과물의 활용방안과 기대효과=400,4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