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i,3,4
표목차=v,7,6
그림목차=xi,13,5
요약문=0,18,74
본문=0,92,1
제1장 서론=1,93,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1,93,4
제2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4,96,2
제3절 연구체계와 연구내용=5,97,2
제2장 근해저인망류어업의 적정 공급량 산출=7,99,1
제1절 적정공급량 산정방법=7,99,1
1. 자료 및 방법=7,99,2
2. 적정어획강도의 추정=9,101,4
제2절 주요 대상어종별 어획동향과 적정어획량=13,105,1
1. 저어류=13,105,50
2. 부어류=62,154,17
3. 갑각류=78,170,9
4. 연체류=86,178,6
제3절 업종별 어획동향과 적정어획량=91,183,1
1. 대형트롤어업=91,183,4
2. 쌍끌이대형기선저인망어업=95,187,3
3.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어업=98,190,3
4. 쌍끌이서남해구기선저인망어업[원문불량;p.101]=101,193,3
5. 외끌이서남해구기선저인망어업=104,196,3
6. 외끌이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106,198,3
7. 동해구트롤어업=109,201,3
8. 소결=111,203,3
제4절 대상어류의 수급분석 및 어가전망=114,206,1
1. 근해저인망류어업의 어획어종=114,206,3
2. 저인망어업의 수급구조 분석[원문불량;p.120]=116,208,9
3. 가격전망과 업종별 어획단가 추정을 위한 방법론=124,216,4
4. 가격전망 및 어획단가 추정결과=127,219,4
제3장 근해저인망류어업의 적정경영규모 산정=131,223,1
제1절 근해저인망류 업종별 조업 실태=131,223,1
1. 조업 실태 개요=131,223,6
2. 업종별 실태=136,228,9
제2절 업종별 경영 실태 분석=145,237,1
1. 조사표본의 선정 및 조사항목=145,237,2
2. 어업수지 및 경영지표 분석=147,239,8
제3절 근해저인망류어업의 적정 어선규모 산정=155,247,1
1. 적정규모선정의 어선기본성능 분석=155,247,2
2. 어선기본성능과 적정규모산정 관계분석=156,248,4
3. 적정규모선정 모형 구성=159,251,20
4. 업종별 적정규모 선정=179,271,19
제4절 최적 경영성과 도출을 위한 적정 규모 방안=198,290,1
1. 분석 시나리오=198,290,12
2. 현재 어획수준 유지시 적정 규모=210,302,29
3. ABC 어획량 유지시 적정 경영규모=239,331,27
4. 소결=266,358,7
제4장 구조개편 방향 및 시범사업 실시방안 수립=273,365,1
제1절 근해저인망류어업 구조개편방향=273,365,1
1. 구조개편의 요인=273,365,5
2. 구조개편의 목표와 기본방향=277,369,1
3. 구조개편의 기본전략=278,370,2
제2절 시범사업 실시방안=280,372,1
1. 시범사업의 의의=280,372,7
2. 도상연습 실시방안=286,378,7
제3절 시범사업 추진방안=293,385,2
제5장 선박모니터링시스템의 도입방안=295,387,1
제1절 VMS 개요=295,387,1
1. VMS 정의=295,387,1
2. 선박모니터링의 목적 및 기능=295,387,3
3. 어선어업에의 VMS 도입 필요성=297,389,11
제2절 국내ㆍ외 VMS 도입사례=308,400,1
1. 국내사례=308,400,16
2. 국외사례=323,415,8
3. 각 국 어선의 VMS 도입 현황=331,423,1
제3절 VMS 도입가능성 분석=332,424,1
1. VMS관련 국내ㆍ외 정책동향=332,424,9
2. VMS의 국내ㆍ외 기술동향=341,433,2
3. VMS관련 통신망 현황=342,434,20
제4절 근해저인망류어업에의 VMS 도입방안=362,454,1
1. 도입가능한 통신망=362,454,2
2. 운영체계=363,455,2
3. 추진전략=364,456,11
참고문헌=375,467,5
부록=380,472,1
부록 1. 수산물 소비함수 및 가격결정=381,473,6
부록 2. 국제수산기구의어업규제사항이행에관한고시=387,479,4
부록 3. 무선설비규칙=391,483,12
부록 4. 선박안전법시행규칙=403,495,29
부록 5. 선박설비기준=432,524,3
부록 6. 어선원및어선재해보상보험법시행규칙=435,527,3
부록 7. 어선원및어선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438,530,1
[그림 1-1] 연구의 체계=5,97,1
[그림 2-1] 가오리류의 어획량 변동추이=13,105,1
[그림 2-2] 가오리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14,106,1
[그림 2-3] 가오리류의 CPUE 변동추이=14,106,1
[그림 2-4] 가자미류의 어획량 변동추이=16,108,1
[그림 2-5] 가자미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17,109,1
[그림 2-6] 가자미류의 CPUE 변동추이=17,109,1
[그림 2-7] 갈치의 어획량 및 CPUE 변동추이=18,110,1
[그림 2-8] 갈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19,111,1
[그림 2-9] 강달이류의 어획량 변동추이=21,113,1
[그림 2-10] 강달이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21,113,1
[그림 2-11] 강달이류의 CPUE 변동추이=22,114,1
[그림 2-12] 갯장어의 어획량 변동추이=23,115,1
[그림 2-13] 갯장어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24,116,1
[그림 2-14] 갯장어의 CPUE 변동추이=24,116,1
[그림 2-15] 눈볼대의 어획량 변동추이=26,118,1
[그림 2-16] 눈볼대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26,118,1
[그림 2-17] 눈볼대의 CPUE 변동추이=27,119,1
[그림 2-18] 대구의 어획량 변동추이=28,120,1
[그림 2-19] 대구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28,120,1
[그림 2-20] 대구의 CPUE 변동추이=29,121,1
[그림 2-21] 도루묵의 어획량 변동추이=30,122,1
[그림 2-22] 도루묵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31,123,1
[그림 2-23] 대구의 CPUE 변동추이=31,123,1
[그림 2-24] 말쥐치의 어획량 변동추이=33,125,1
[그림 2-25] 말쥐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33,125,1
[그림 2-26] 말쥐치의 CPUE 변동추이=34,126,1
[그림 2-27] 명태의 어획량 변동추이=36,128,1
[그림 2-28] 명태의 성어와 미성어비율=36,128,1
[그림 2-29] 명태의 업종별 어획비율의 변동추이=37,129,1
[그림 2-30] 명태의 CPUE 변동추이=37,129,1
[그림 2-31] 민어의 어획량 변동추이=39,131,1
[그림 2-32] 민어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39,131,1
[그림 2-33] 민어의 CPUE 변동추이=40,132,1
[그림 2-34] 병어류의 어획량 변동추이=41,133,1
[그림 2-35] 병어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42,134,1
[그림 2-36] 병어류의 CPUE 변동추이=43,135,1
[그림 2-37] 보구치의 어획량 변동추이=44,136,1
[그림 2-38] 보구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45,137,1
[그림 2-39] 보구치의 CPUE 변동추이=45,137,1
[그림 2-40] 부세의 어획량 변동추이=47,139,1
[그림 2-41] 부세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47,139,1
[그림 2-42] 부세의 CPUE 변동추이=48,140,1
[그림 2-43] 붕장어의 어획량 변동추이=50,142,1
[그림 2-44] 붕장어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50,142,1
[그림 2-45] 붕장어의 CPUE 변동추이=51,143,1
[그림 2-46] 아귀류의 어획량 변동추이=52,144,1
[그림 2-47] 아귀류의 어획비율 변동추이=53,145,1
[그림 2-48] 아귀류의 CPUE 변동추이=54,146,1
[그림 2-49] 옥돔의 어획량 변동추이=55,147,1
[그림 2-50] 옥돔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56,148,1
[그림 2-51] 참돔의 어획량 변동추이=57,149,1
[그림 2-52] 참돔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58,150,1
[그림 2-53] 참돔의 CPUE 변동추이=59,151,1
[그림 2-54] 참조기의 어획량 변동추이=60,152,1
[그림 2-55] 참조기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61,153,1
[그림 2-56] 참조기의 CPUE 변동추이=61,153,1
[그림 2-57] 고등어의 어획량 및 CPUE 변동추이=63,155,1
[그림 2-58] 고등어의 연령별 자원량의 변동추이=64,156,1
[그림 2-59] 멸치의 어획량 변동추이=66,158,1
[그림 2-60] 멸치의 업종별 혼획비율 변동추이=67,159,1
[그림 2-61] 멸치의 CPUE 변동추이=67,159,1
[그림 2-62] 삼치의 어획량 변동추이=69,161,1
[그림 2-63] 삼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70,162,1
[그림 2-64] 삼치의 CPUE 변동추이=70,162,1
[그림 2-65] 전갱이의 어획량 및 CPUE 변동추이=72,164,1
[그림 2-66] 전갱이의 연령별 자원량 변동추이=73,165,1
[그림 2-67] 정어리의 어획량 변동추이=75,167,1
[그림 2-68] 청어의 어획량 변동추이=76,168,1
[그림 2-69] 청어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77,169,1
[그림 2-70] 청어의 CPUE 변동추이=77,169,1
[그림 2-71] 꽃게의 어획량 변동추이=79,171,1
[그림 2-72] 대게의 업종별 어획량 변동추이=82,174,1
[그림 2-73] 대하의 어획량 변동추이=84,176,1
[그림 2-74] 대하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85,177,1
[그림 2-75] 갑오징어의 어획량 변동추이=86,178,1
[그림 2-76] 갑오징어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87,179,1
[그림 2-77] 갑오징어의 CPUE 변동추이=88,180,1
[그림 2-78] 오징어의 어획량 변동추이=89,181,1
[그림 2-79] 오징어의 업종별 어획비율 변동추이=90,182,1
[그림 2-80] 오징어의 CPUE 변동추이=90,182,1
[그림 2-81] 대형트롤어업의 어획량 및 CPUE의 변동=92,184,1
[그림 2-82] 쌍끌이대형기선저인망어업의 어획량 및 CPUE의 변동=95,187,1
[그림 2-83]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어업의 어획량 및 CPUE의 변동=98,190,1
[그림 2-84] 쌍끌이서남구기선저인망어업의 어획량 및 CPUE의 변동=101,193,1
[그림 2-85] 외끌이서남해구기선저인망어업의 어획량 및 CPUE의 변동=104,196,1
[그림 2-86] 외끌이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의 어획량 및 CPUE의 변화=107,199,1
[그림 2-87] 동해구트롤어업의 어획량 및 CPUE의 변동=109,201,1
[그림 2-88] 시대별 근해저인망류어업의 생산구조 변화 추이=117,209,1
[그림 2-89] 근해저인망류어업의 생산비중 추이=119,211,1
[그림 2-90] 어획단가 추정 절차=125,217,1
[그림 3-1] 근해저인망류어업 업종별 조업어장=137,229,1
[그림 3-2] 어선의 ISM에 의한 계층적 유향 그래프=159,251,1
[그림 3-3] 유전자 알고리즘의 흐름도=164,256,1
[그림 3-4] 적정규모선정을 위한 모형 흐름=173,265,1
[그림 3-5] 최적선단의 구성=174,266,1
[그림 3-6] 문제의 코딩화=176,268,1
[그림 3-7] 데이터 입력 예시=180,272,1
[그림 3-8] 프로그램 결과 예시=181,273,1
[그림 3-9] 현 어업상황에 따른 적정규모(대형트롤)=182,274,1
[그림 3-10] 현 어업상황에 따른 적정규모(쌍끌이대형기저)=182,274,1
[그림 3-11] 현 어업상황에 따른 적정규모(외끌이대형기저)=183,275,1
[그림 3-12] 현 어업상황에 따른 적정규모(외끌이서남해구기저)=184,276,1
[그림 3-13] 현 어업상황에 따른 적정규모(쌍끌이서남해구기저)=185,277,1
[그림 3-14] 현 어업상황에 따른 적정규모(동해구기저)=185,277,1
[그림 3-15] 현 어업상황에 따른 적정규모(동해구트롤)=186,278,1
[그림 3-16] ABC수준에 따른 적정규모(대형트롤)=187,279,1
[그림 3-17] ABC수준에 따른 적정규모(쌍끌이대형기저)=188,280,1
[그림 3-18] ABC수준에 따른 적정규모(외끌이대형기저)=189,281,1
[그림 3-19] ABC수준에 따른 적정규모(외끌이서남해구기저)=190,282,1
[그림 3-20] ABC수준에 따른 적정규모(쌍끌이서남해구기저)=190,282,1
[그림 3-21] ABC수준에 따른 적정규모(동해구기저)=191,283,1
[그림 3-22] ABC수준에 따른 적정규모(동해구트롤)=192,284,1
[그림 3-23] 현재 어획량 하 업종군별 적정규모(근해대형트롤)=193,285,1
[그림 3-24] 현재 어획량 하 업종군별 적정규모(서남해구중형트롤)=194,286,1
[그림 3-25] 현재 어획량 하 업종군별 적정규모(동해구중형트롤)=195,287,1
[그림 3-26] 현재 어획량 하 업종군별 적정규모(근해대형트롤)=196,288,1
[그림 3-27] 현재 어획량 하 업종군별 적정규모(서남해구중형트롤)=196,288,1
[그림 3-28] 현재 어획량 하 업종군별 적정규모(동해구중형트롤)=197,289,1
[그림 5-1] 원양어업담당관실 VMS 운영체계=310,402,1
[그림 5-2] 국립수산과학원 VMS 운영체계=312,404,1
[그림 5-3] 해양경찰청 VMS 구성도=313,405,1
[그림 5-4] 디지털 어업통신망의 구성도=317,409,1
[그림 5-5] 관련 기관간 정보유통체계 및 SFGs 서비스 기능도=318,410,1
[그림 5-6] 1:1 통신 및 인터넷 연결=319,411,1
[그림 5-7] 1:N 통신 및 인터넷 연결=319,411,1
[그림 5-8] 일본ㆍ중국수역에 출어하는 우리어선의 보고절차=333,425,1
[그림 5-9] 외국어선의 우리 EEZ 입ㆍ출역 및 조업상황 확인절차=335,427,1
[그림 5-10] 거리별 위성망 비교=343,435,1
[그림 5-11] 오브콤 VMS 시스템 구성도=345,437,1
[그림 5-12] Orbcomm의 선박위성단말장치=345,437,1
[그림 5-13] 육상 AIS 기지국을 통한 관제=346,438,1
[그림 5-14] 저궤도 위성을 통한 AIS 정보중계와 관제=346,438,1
[그림 5-15] 센터VMS시스템 예=346,438,1
[그림 5-16] 선박설치시스템 예=346,438,1
[그림 5-17] Argos의 선박위치 파악경로=348,440,1
[그림 5-18] 디지털 SSB 기지국 장치=353,445,1
[그림 5-19] 디지털 SSB 단말기 장치=354,446,1
[그림 5-20] 해상망 TRS 활용 예시(KT파워텔 자료참조)=356,448,1
[그림 5-21] 디지털 SSB통신망 운영체계=363,455,1
[그림 5-22] 위성통신망 운영체계=364,456,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