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2,2,1

요약문=3,3,24

SUMMARY=27,27,2

CONTENTS=29,29,4

제목 차례=33,33,4

표차례=37,37,3

그림 차례=40,40,3

제1장 서론=43,43,1

제1절 연구 필요성=43,43,1

1. 기술적 측면=43,43,1

2. 경제ㆍ산업적 측면=43,43,2

3. 사회ㆍ문화적 측면=44,44,1

제2절 국내ㆍ외 관련연구의 현황과 문제점=44,44,2

제3절 연구 목표 및 연구내용=45,45,1

1. 연구목표=45,45,1

2. 연구내용=45,45,1

제4절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46,46,1

1. 연구방법=46,46,1

2. 추진체계=46,46,2

제2장 업종별 현황분석 및 경영 분석=48,48,1

제1절 업종별 어선현황=48,48,1

1. 업종별 어선 및 허가 현황=48,48,3

2. 업종별 톤수 및 마력수=50,50,3

3. 업종별 연도별 허가건수=52,52,2

제2절 업종별 재무비율 분석=54,54,1

1. 쌍끌이 대형기선저인망어업=54,54,1

2. 외끌이 대형기선저인망어업=54,54,2

3. 대형트롤어업=55,55,1

4. 동해구 기선저인망어업=56,56,1

5. 서남구 기선저인망어업=56,56,2

6. 동해구 트롤어업=57,57,2

7. 대형선망어업=58,58,1

8. 기선권현망어업=58,58,2

9. 근해통발어업=59,59,1

10. 근해안강망어업=60,60,1

11. 근해채낚기어업=60,60,2

12. 근해유자망어업=61,61,2

13. 근해연승어업=62,62,2

14. 업종별 경영종합 평가=63,63,2

제3절 어업협정이 어업경영에 미치는 영향=65,65,1

1. 한ㆍ일 어업협정으로 인한 영향=65,65,2

2. 한ㆍ중 어업협정으로 인한 영향=67,67,2

제4절 분석대상 업종의 선정=68,68,1

1. 선정기준=68,68,1

2. 적정경영규모 대상업종 선정 결과=69,69,2

제3장 업종별 적정 경영규모 분석=71,71,1

제1절 업종별 적정 경영규모 산정방법=71,71,1

제2절 기술효율성 분석=71,71,1

1. 이론적배경=72,72,3

2. 프론티어(frontier) 생산함수모형 및 추정방법=74,74,1

3. 근해안강망어업 분석결과=75,75,7

4. 근해채낚기어업 분석결과=81,81,6

5. 근해자망어업 분석결과=86,86,5

6. 근해연승어업 분석결과=90,90,4

제3절 적정규모에 대한 어업인 인식도=94,94,1

1. 어업경영자 만족도 조사=94,94,4

2. 정부의 근해어업 어선정책에 관한 제언=98,98,1

제4절 업종별 적정규모=99,99,1

1. 근해안강망어업=99,99,2

2. 근해채낚기어업=100,100,2

3. 근해자망어업=101,101,2

4. 근해연승어업=102,102,2

제4장 새로운 어선의 종합적인 구조 및 배치 연구=104,104,1

제1절 톤급별 주요 요목=104,104,1

1. 근해안강망어업=104,104,2

2. 근해채낚기어업=105,105,1

3. 근해자망어업=106,106,1

4. 근해연승어업=106,106,2

제2절 조업방식=107,107,1

1. 근해안강망어업=107,107,3

2. 근해채낚기어업=109,109,3

3. 근해자망어업=111,111,2

4. 근해연승어업=112,112,1

제3절 어로시스템=113,113,1

1. 근해안강망어업=113,113,11

2. 근해채낚기어업=124,124,6

3. 근해자망어업=129,129,3

4. 근해연승어업=132,132,4

제4절 일본의 어선연구 현황=135,135,1

1. 자문조사=135,135,1

2. 자문내용=136,136,3

3. 일본의 어선개발에 대한 연구 현황=138,138,7

제5절 적용법규에 대한 검토=144,144,8

제6절 업종별 어선의 일반배치도 작성=152,152,1

1. 근해안강망어업=152,152,4

2. 근해채낚기어업=156,156,5

3. 근해자망 및 연승어업=160,160,4

제7절 맺는 말=163,163,1

제5장 업종별 최적선형 도출=164,164,1

제1절 근해어업 업종별 선형특성 분석=164,164,1

1. 업종별 주요 근해어선의 선형특성=164,164,3

2. 업종별 어선의 주요치수=166,166,2

3. 주요 업종별 선형요소 분석 및 정면선도 작성=167,167,9

제2절 우선 기술개발 대상업종 어선의 선형설계=176,176,1

1. 우선 기술개발 대상업종의 선정=176,176,1

2. 근해안강망 어선의 선형 개념 정립=177,177,4

3. 근해안강망 어선의 선형설계=180,180,16

4. 최종 선형결정 및 선형 선도 작성=195,195,3

5. 개발선의 조선공학적 제계산=198,198,19

6. 모형시험을 통한 저항성능 비교 검토=217,217,14

7. 연구개발 결과=231,231,2

8. 선형개선에 따른 경제적 효과(근해안강망)=232,232,3

제6장 적정규모의 이행을 위한 정책방향=235,235,1

제1절 어선 관련 제도 및 정책의 변천=235,235,1

1. 어선관련 제도=235,235,4

2. 어선관련 정책=238,238,4

제2절 어선정책의 특징 및 방향=241,241,1

1. 어선정책의 특징=241,241,2

2. 어선정책 방향=242,242,3

제7장 결론=245,245,1

[참고문헌]=246,246,2

[부록1] 분석대상외 업종별 근해어선의 선형특성=248,248,3

[부록2] 근해어선의 주요치수 상관관계 분석=251,251,18

[부록3] 기준선 및 설계선 선도(LINES)=269,269,3

[부록4] 초기 복원성 계산서=272,272,12

[부록5] 모형시험 저항 성능 평가서=284,284,9

[부록6] 안강망선도=293,293,5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28

CONTENTS=29,29,14

Chapter 1. Introduction=43,43,1

1. Necessity of Study=43,43,1

1) In the view of Technology=43,43,1

2) In the view of Economy and Industry=43,43,2

3) In the view of Society and Culture=44,44,1

2.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of Related studies (domestic and overseas)=44,44,2

3. Objective of Study and Contents=45,45,1

1) Objective=45,45,1

2) Contents=45,45,1

4. Methodology and Process of Study=46,46,1

1) Methodology=46,46,1

2) Process=46,46,2

Chapter 2. General Condition and Management Condition of Off-shore Fisheries=48,48,1

1. The Present Condition of Off-shore Fishing vessels=48,48,1

1) Vessels and Permission=48,48,3

2) Tonnage and Horse power=50,50,3

3) Number of Permissions=52,52,2

2. Financial Ratio Analysis of Off-shore Fisheries=54,54,11

3. Effects on Fisheries Management by Fishery Agrement=65,65,1

1) Fishery Agrement between Korea and Japan=65,65,2

2) Fishery Agrement between Korea and China=67,67,2

4. Selection for Analyzing=68,68,1

1) A standard for Selection=68,68,1

2) Result of Selection=69,69,2

Chapter 3. Analysis on Optimal Management Size Off-shore Fisheries=71,71,1

1. Method of Estimation=71,71,1

2. Technical Efficiency Analysis=71,71,23

3. Fishermen's Recognition on the Optimal Scale of Vessel=94,94,1

1) Research on Satisfaction of Fishermen=94,94,4

2) Comments on Vessel Policy of Off-shore Fishery by Government=98,98,1

4. Optimal Management Size of Off-Shore Fisheries=99,99,1

1) Stow Nets Fishery=99,99,2

2) Angling Fishery=100,100,2

3) Gill Nets Fishery=101,101,2

4) Long Lines Fishery=102,102,2

Chapter 4. Synthetic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new fishing vessel=104,104,1

1. Major required numericla value=104,104,4

2. Review on Fishing Method=107,107,6

3. Review on fishing system=113,113,23

4. Present Study on Fishing Vessel in Japan=135,135,10

5. Review on Laws=144,144,8

6. Drawing up General Arrangement Plan of Off-shore Fishing Vessel=152,152,12

7. Result=163,163,1

Chapter 5. Optimal Shape of Off-shore Fishing Vessel=164,164,1

1. Feature of Off-shore Fishing Vessel's Shape=164,164,1

1) Fishing gear and fishing method of off-shore fishery=164,164,3

2) Feature of Off-shore Fishing Vessel's Shape=166,166,2

3) Analysis on Vessel's Shape and Make-up of Vessel's Plan=167,167,9

2. Design on Shape of Off-shore Fishery' Fishing Vessel=176,176,1

1) Selection of fisheries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176,176,1

2) Basic Concept of Off-shore Stow Nets Fishing Vessel=177,177,4

3) Design on Shape of Off-shore Stow Nets Fishing Vessel=180,180,16

4) Decision on Vessel's Shape and Frame line=195,195,3

5) Multi-calculation of Developed Vessel=198,198,19

6) Resistance Power Test by a model=217,217,14

7) Implication=231,231,2

8) Econo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Vessel's Shape=232,232,3

Chapter 6. Policy Direction for Shifting to Optimal Size=235,235,1

1. Related Laws and Policy Transition=235,235,7

2. Policy Direction of Fishing vessel=241,241,4

Chapter 7. Conclusion=245,245,1

References=246,246,2

Appendix=248,248,50

표목차

[표 2-1] 연도별 업종별 어선척수=48,48,1

[표 2-2] 업종별 평균 선령(2001년 기준)=49,49,1

[표 2-3] 업종별 선령별 어선척수(2001년)=50,50,1

[표 2-4] 업종별 연도별 어선톤수=51,51,1

[표 2-5] 업종별 연도별 어선마력수=52,52,1

[표 2-6] 근해어업의 업종별ㆍ연도별 허가건수(2001년)=53,53,1

[표 2-7] 쌍끌이 대형기선저인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4,54,1

[표 2-8] 외끌이 대형기선저인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5,55,1

[표 2-9] 대형트롤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5,55,1

[표 2-10]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6,56,1

[표 2-11] 서남구기선저인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7,57,1

[표 2-12] 동해구 트롤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7,57,1

[표 2-13] 대형선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8,58,1

[표 2-14] 기선권현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9,59,1

[표 2-15] 근해통발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59,59,1

[표 2-16] 근해안강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60,60,1

[표 2-17] 근해채낚기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61,61,1

[표 2-18] 근해유자망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61,61,1

[표 2-19] 근해연승어업의 기간별 재무비율=62,62,1

[표 2-20] 대형기저(쌍끌이)의 종합 평점=64,64,1

[표 2-21] 업종별 종합 평점=64,64,1

[표 2-22] 일본 수역에서의 우리나라 어선의 조업실태=66,66,1

[표 2-23] 중국수역에서의 우리나라 어획 실태(2001.6.30~2002.12.31)=68,68,1

[표 2-24] 업종별 분석대상 결정 순위=69,69,1

[표 3-1] 근해안강망어업의 기술효율성 추정을 위한 표본 실태=75,75,1

[표 3-2] 근해안강망어업의 생산요소에 대한 탄성치 추정결과=76,76,1

[표 3-3] 근해안강망어업의 연도별 생산량 기준 생산기술 효율성 지표 평균=77,77,1

[표 3-4] 근해안강망어업의 어선톤급별 생산량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78,78,1

[표 3-5] 근해안강망어업의 어전마력별 생산량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78,78,1

[표 3-6] 근해안강망어업의 연도별 생산금액 기준 생산기술 효율성 지표 평균=79,79,1

[표 3-7] 근해안강망어업의 어선톤급별 생산금액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0,80,1

[표 3-8] 근해안강망어업의 어선마력별 생산금액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0,80,1

[표 3-9] 근해채낚기어업의 기술효율성 추정을 위한 표본 실태=81,81,1

[표 3-10] 근해채낚기어업의 생산요소에 대한 탄성치 추정결과=82,82,1

[표 3-11] 근해채낚기어업의 연도별 생산량 기준 생산기술 효율성 지표 평균=83,83,1

[표 3-12] 근해채낚기어업의 어선톤급별 생산량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3,83,1

[표 3-13] 근해채낚기어업의 연도별 생산금액 기준 생산기술 효율성 지표 평균=84,84,1

[표 3-14] 근해채낚기어업의 어선톤급별 생산금액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5,85,1

[표 3-15] 근해채낚기어업의 어선마력별 생산금액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6,86,1

[표 3-16] 근해자망어업의 기술효율성 추정을 위한 표본 실태=86,86,1

[표 3-17] 근해자망어업의 생산요소에 대한 탄성치 추정결과=87,87,1

[표 3-18] 근해자망어업의 지역별 생산량 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8,88,1

[표 3-19] 근해자망어업의 톤급별 생산량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8,88,1

[표 3-20] 근해자망어업의 마력별 생산량기준 기술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8,88,1

[표 3-21] 근해자망어업의 지역별 생산금액기준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89,89,1

[표 3-22] 근해자망어업의 톤급별 생산금액기준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90,90,1

[표 3-23] 근해자망어업의 마력별 생산금액기준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90,90,1

[표 3-24] 근해연승어업의 기술효율성 추정을 위한 표본 실태=91,91,1

[표 3-25] 근해연승어업의 생산요소에 대한 탄성치 추정결과=91,91,1

[표 3-26] 근해연승어업의 연도별 생산량 기준 생산기술 효율성 지표 평균=92,92,1

[표 3-27] 근해연승어업의 어선톤급별 생산량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92,92,1

[표 3-28] 근해연승어업의 연도별 생산금액 기준 생산기술 효율성 지표 평균=93,93,1

[표 3-29] 근해연승어업의 어선톤급별 생산금액기준 생산기술 효율성지표별 표본어가 분포=93,93,1

[표 3-30] 근해어업의 일반현황=95,95,1

[표 3-31] 어선에 대한 만족도 조사=97,97,1

[표 3-32] 정부의 어선정책에 관한 제언=98,98,1

[표 4-1] 기존의 69톤급 안강망어선의 주요요목=105,105,1

[표 4-2] 기존의 79톤급 채낚기어선의 주요요목=105,105,1

[표 4-3] 기존의 29톤급 자망어선의 주요요목=106,106,1

[표 4-4] 기존의 39톤급 연승어선의 주요요목=107,107,1

[표 4-5] 수동조상기와 자동조상기의 비교=125,125,1

[표 4-6] 근해채낚기어선의 집어등 광력기준=125,125,1

[표 4-7] 근해어업 어선 허가 규모에 대한 기준=144,144,1

[표 4-8] 선박안전법상의 욕실 및 세탁실 등의 설치기준=145,145,1

[표 4-9] 선박안전법상의 어선의 표준재화 적재 기준=147,147,1

[표 4-10] 조사 대상 선박과 개발선의 주요목=154,154,1

[표 4-11] 조사 대상 선박과 개발선의 주요목=157,157,1

[표 4-12] 기존선과 개발선의 비교=160,160,1

[표 4-13] 조사 대상 선박과 개발선의 주요목=160,160,1

[표 4-14] 기존선과 개발선의 비교=163,163,1

[표 5-1] 주요 근해어선의 규모=164,164,1

[표 5-2] 업종별 주요어선의 주요치수 관계식=167,167,1

[표 5-3] 주요 업종별 선형 요소 분석=168,168,1

[표 5-4] 근해안강망어선의 주요요목 및 설계 요구치=180,180,1

[표 5-5] 선형 변환 전ㆍ후의 근해안강망 어선의 주요요목=184,184,1

[표 5-6] 설계1선(차인선형)과 설계2선(곡선형)의 배수량 등계산 결과=198,198,1

[표 5-7] 기존선과 설계선의 건현 계산 결과 비교=199,199,1

[표 5-8] 연료유 등 적재시의 복원성능 검토결과=200,200,1

[표 5-9] 어선의 복원성 기준=201,201,1

[표 5-10] 청수 적재시의 복원성능 검토결과=201,201,1

[표 5-11] 식량 등 적재시의 복원성능 검토결과=202,202,1

[표 5-12] 설계 1선(차인선형)의 복원성 평가 요약=203,203,1

[표 5-13] 설계 2선(곡선형)의 복원성 평가 요약=204,204,1

[표 5-14] 설계선의 선체운동 관련 주요요목=205,205,1

[표 5-15] 불규칙파 중의 선체운동 계산 조건=206,206,1

[표 5-16] 선체운동응답특성 해석 결과=206,206,1

[표 5-17] 근해안강망어선의 선형별 시험 및 계측항목=217,217,1

[표 5-18] 설계1선(차인선형)의 주요제원=221,221,1

[표 5-19] 설계2선(곡선형)의 주요제원=221,221,1

[표 5-20] 저항시험결과 요약=222,222,1

[표 5-21] 기존 선형과 개선 선형의 유효마력 비교=233,233,1

[표 5-22] 근해안강망 어선의 추정 선가=233,233,1

[표 5-23] 근해안강망어선 선형개선 이후의 기대효과=234,234,1

[표 6-1] 어선법 주요 개정 연혁=237,237,1

[표 6-2] 어선 및 장비 지원 변동추이=240,240,1

그림목차

[그림 3-1] 평균비용에 의한 효율성 비교=73,73,1

[그림 3-2] 프론티어 등생산량곡선과 효율성=73,73,1

[그림 4-1] 안강망 어업=107,107,1

[그림 4-2] 근해채낚기어업의 조업방식=110,110,1

[그림 4-3] 근해자망어업의 조업방식=111,111,1

[그림 4-4] 근해연승어업=112,112,1

[그림 4-5] 근해안강망어업의 수암해식 어구 모형도=114,114,1

[그림 4-6] 근해안강망어업의 범포식 어구 모형도=114,114,1

[그림 4-7] 근해안강망어선에 설치된 사이드 롤러=117,117,1

[그림 4-8] 근해안강망어선 엔진룸 내부의 사이드 롤러=117,117,1

[그림 4-9] 근해안강망어선에 설치된 캡스턴=118,118,1

[그림 4-10] 근해안강망어선에 설치된 선수부 롤러=118,118,1

[그림 4-11] 근해안강망어선의 직립볼형 양망기=119,119,1

[그림 4-12] 근해안강망어선의 횡롤러형 양망기=119,119,1

[그림 4-13] 근해안강망어선의 갤로스=120,120,1

[그림 4-14] 근해안강망어선의 어로용 닻=121,121,1

[그림 4-15] 근해안강망어선의 트롤용 윈치=123,123,1

[그림 4-16] 근해채낚기어선의 자동조상기=124,124,1

[그림 4-17] 근해채낚기어선의 집어등=126,126,1

[그림 4-18] 근해채낚기어선의 메탈 하라이드등=126,126,1

[그림 4-19] 근해채낚기어선의 원추형 Sea Anchor 모형=127,127,1

[그림 4-20] 근해채낚기어선의 반구형 Sea Anchor 모형=127,127,1

[그림 4-21] 근해채낚기어선의 자동조상기 집중제어반=128,128,1

[그림 4-22] 근해자망어선의 양망기=129,129,1

[그림 4-23] 근해자망어선의 사이드 롤러=130,130,1

[그림 4-24] 아이슬랜드의 자망어선에 설치된 양망기=131,131,1

[그림 4-25] 유럽의 자망어선 양망기=131,131,1

[그림 4-26] 유럽의 자망어선 정리기=131,131,1

[그림 4-27] 근해연승어업의 양승기와 사이드롤러=132,132,1

[그림 4-28] 근해연승어선의 뜸줄정리기=133,133,1

[그림 4-29] 유럽의 자동 연승 어선=134,134,1

[그림 4-30] Tamasima 박사의 초청 강연회 장면=135,135,1

[그림 4-31] 일본의 85톤형 1수인 저인망과 북유럽형의 30m급의 선미트롤어선=137,137,1

[그림 4-32] 모델 설계한 180톤급 근해저인망 어선 측면도=143,143,1

[그림 4-33] 근해 안강망 어선=152,152,1

[그림 4-34] 근해안강망어선의 현측조업식 배치도=154,154,1

[그림 4-35] 근해안강망어선의 선미식 배치도=155,155,1

[그림 4-36] 근해채낚기어선의 선원거주공간=156,156,1

[그림 4-37] 근해채낚기어선의 조타실 내부=156,156,1

[그림 4-38] 근해채낚기어선의 조업공간=157,157,1

[그림 4-39] 근해채낚기어선의 집어등=157,157,1

[그림 4-40] 기존의 일반배치도=158,158,1

[그림 4-41] 개발된 일반배치도=159,159,1

[그림 4-42] 근해자망 및 연승어선의 거주구역=161,161,1

[그림 4-43] 근해 연승어선의 기존 일반배치도=161,161,1

[그림 4-44] 개발된 일반배치도=162,162,1

[그림 5-1] 근해안강망어선 연도별 총톤수의 변화=165,165,1

[그림 5-2] 근해안강망어선 연도별 마력의 변화=165,165,1

[그림 5-3] 근해안강망어선 연도별 길이의 변화=166,166,1

[그림 5-4]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 Cp Curve,Body Plan & Profile=169,169,1

[그림 5-5] 정면선도 작성 및 순정 작업 수행 화면=169,169,1

[그림 5-6] 43톤급 근해자망어선 Cp Curve & Body Plan Profile=170,170,1

[그림 5-7] 근해자망어선의 정면선도 작성 및 순정 작업 수행 화면=171,171,1

[그림 5-8] 79톤급 근해채낚기어선 Cp Curve,Body Plan & Profile=172,172,1

[그림 5-9] 근해채낚기어선의 정면선도 작성 및 순정 작업 수행 화면=173,173,1

[그림 5-10] 29톤급 근해연승어선 Cp Curve & Body Plan Profile=174,174,1

[그림 5-11] 근해연승어선의 정면선도 작성 및 순정 작업 수행 화면=175,175,1

[그림 5-12] 기존 G/T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176,176,1

[그림 5-13] 근해안강망어선에 있어 주기관을 장착한 주기관실 스케치=177,177,1

[그림 5-14] 근해안강망어선의 540마력 주기관 및 사양=178,178,1

[그림 5-15] 근해안강망어선의 선원실 배치=179,179,1

[그림 5-16] Lackenby 방법=181,181,1

[그림 5-17] Cp 및 Lcb 변환에 따른 선형변환=183,183,1

[그림 5-18] 기존선형과 변환 후의 선형(○표시된 선도) 비교(선수부)=184,184,1

[그림 5-19] 기존선형과 번환 후의 선형(○표시된 선도) 비교(선미부)=184,184,1

[그림 5-20] 기존선형과 변환 후의 선형(○표시된 선도) 비교(정면도)=185,185,1

[그림 5-21] 기존선형과 변환 후 선형의 Cp 곡선=185,185,1

[그림 5-22] 기존 근해안강망 어선의 선도=186,186,1

[그림 5-23] 선형 변환된 근해안강망 어선 선도=187,187,1

[그림 5-24] 근해안강망어서의 Cp-Curve=190,190,1

[그림 5-25] 같은 주요목을 가진 선박에서 차인선형과 곡선형으로의 선형 변환=191,191,1

[그림 5-26] 수선(Waterline)와 선수측면 형상 비교=191,191,1

[그림 5-27] 근해안강망어선의 선수부분에 위치한 선원실=192,192,1

[그림 5-28] 근해안강망어선 개선 전ㆍ후의 Cp 곡선=193,193,1

[그림 5-29] 근해안강망어선 개선 전ㆍ후의 정면선도=194,194,1

[그림 5-30] 차인선형 근해안강망어선의 선수ㆍ선미 부분=194,194,1

[그림 5-31] 수정 후 곡선형 근해안강망어선 선형의 선수ㆍ미 부분=194,194,1

[그림 5-32] 근해안강망어선의 기존 선형과 수정 후 선형(○표시된 선도)의 선수 비교=195,195,1

[그림 5-33] 근해안강망어선 설계1선(차인선형)의 최종 선도=196,196,1

[그림 5-34] 근해안강망어선 설계2선(곡선형)의 최종 선도=197,197,1

[그림 5-35] 설계선의 상하운동응답 특성비교(at Design Speed)=208,208,1

[그림 5-36] 설계선의 상하운동응답 특성비교(at 180˚)=209,209,1

[그림 5-37] 설계선의 종운동응답 특성비교(at Design Speed)=210,210,1

[그림 5-38] 설계선의 종운동응답 특성비교(at 180˚)=211,211,1

[그림 5-39] 설계선의 횡운동응답 특성비교(at Design Speed)=212,212,1

[그림 5-40] 설계선의 횡운동응답 특성비교(at 90˚)=213,213,1

[그림 5-41] 선수파중 S.T 17 위치에서의 설계선의 슬래밍 발생횟수=214,214,1

[그림 5-42] 선수파중 S.T 17 위치에서의 설계선의 갑판침수 발생횟수=215,215,1

[그림 5-43] 선미작업장에서의 설계선의 수직가속도 비교=216,216,1

[그림 5-44] 모형시험에 사용된 회류수조=218,218,1

[그림 5-45] 시험대상 설계1선(차인선형)과 설계2선(곡선형)의 정면선도=219,219,1

[그림 5-46] 설계1선(차인선형)과 설계2선(곡선형)의 모형선(정면)=220,220,1

[그림 5-47] 설계1선(차인선형)과 설계2선(곡선형)의 모형선(측면)=220,220,1

[그림 5-48] 만재상태에서의 설계 1,2선의 트림 및 침하량 비교곡선=223,223,1

[그림 5-49] 시운전상태에서의 설계 1,2선의 트림 및 침하량 비교곡선=223,223,1

[그림 5-50] 만재상태에서의 설계 1,2선의 잉여저항계수 비교곡선=224,224,1

[그림 5-51] 시운전상태에서의 설계 1,2선의 잉여저항계수 비교곡선=224,224,1

[그림 5-52] 만재상태에서의 설계 1,2선의 유효마력 비교곡선=225,225,1

[그림 5-53] 시운전상태에서의 설계 1,2선의 유효마력 비교곡선=225,225,1

[그림 5-54] 저항시험기 검정(Calibration) Setting 모습=227,227,1

[그림 5-55] 회류수조 관측부 유속계측시험 모습=227,227,1

[그림 5-56]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 모형선 부착모습=227,227,1

[그림 5-57]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의 설계1선(차인선형) 선수측면 파형관측=228,228,1

[그림 5-58]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의 설계2선(곡선형) 선수측면 파형관측=228,228,1

[그림 5-59]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 설계1선(차인선형)의 선수부 파형모습=228,228,1

[그림 5-60]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 설계2선(곡선형)의 선수부 파형모습=229,229,1

[그림 5-61]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 설계1선(차인선형)의 선수부 파형모습=229,229,1

[그림 5-62]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 설계2선(곡선형)의 선수부 파형모습=229,229,1

[그림 5-63]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의 설계1선(차인선형) 선미부 파형모습=230,230,1

[그림 5-64] 69톤급 근해안강망어선의 설계2선(곡선형) 선미부 파형모습=230,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