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보고서 초록/이평구=2,3,1
요약문=3,4,6
SUMMARY=9,10,6
CONTENTS=15,16,2
목차=17,18,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9,20,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19,20,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9,20,5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23,24,3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6,27,1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26,27,10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35,36,6
제3절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40,41,4
제4절 향후전망=43,44,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45,46,1
제1절 전국의 지질=45,46,4
제2절 전국 규모의 지구화학적 재해 평가기준도 통합 작성=49,50,1
1. 지구화학적 재해 평가기준값 설정=49,50,1
가. 지질단위별 자연배경값 설정=49,50,10
나. 전국평균치 설정=59,60,2
다. 전국 규모 지구화학적 재해 평가 기준값=60,61,5
라. 유해원소의 이상대 도출 및 오염원 규명=64,65,4
제3절 Machine learning algorithm 기법을 이용한 광산재해 평가기술 개발=68,69,1
1. 베이시안 통계기법을 이용한 분석=68,69,1
가. 베이시안 통계기법의 원리=68,69,8
나. 자료처리=75,76,3
다. 베이시안 분석=78,79,7
2.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분석=85,86,1
가.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원리=85,86,3
나. 의사결정나무=88,89,5
다.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광산의 위치 예측=92,93,17
라. 중금속 오염 분포도 해석=108,109,5
3. 해석 및 결론=113,114,2
제4절 지구화학적 재해 오염원 DB 구축 및 NPL 기반=115,116,1
1. 국내 폐금속광산 관련자료 조사 및 수집=115,116,24
2. 광산 오염도 현황 조사 결과=138,139,3
3. 폐광산 오염도 평가 결과 요약=141,142,48
4. 국가우선순위 기반 구축=188,189,7
제5절 전국 5대 광화대 중금속재해 전과정 평가 기반기술=194,195,1
1. Solid phase 중금속재해 발생-거동=194,195,1
가. Solid phase 오염물질이 종류,발생 및 적치현황=194,195,2
나. 황화광물의 산화과정에 관한 광물학적 연구=195,196,14
다. Solid phase 오염원에서의 중금속 존재형태 규명=208,209,4
라. 기존 처리기술(매립)에서의 문제점 및 대안 제시=212,213,2
2. 용출거동 평가=213,214,1
가. 지표수-오염물질(폐광석,광미) 반응을 고려한 용출 평가기술=213,214,18
나. 지구화학적 모델링을 이용한 용출특성 평가 기술=230,231,8
다. 시간변화에 따른 중금속 용출특성=237,238,9
3. Liquid phase 중금속재해 확산 평가 및 제어에 관한 연구=245,246,1
가. 산성광산배수 내 중금속의 퇴적물-물 분배와 거동=245,246,13
나. 산성광산배수 내 콜로이드에 의한 미량금속의 거동=257,258,9
제6절 중금속 재해 위해등급 평가기술=266,267,9
제7절 농작물(벼)-토양 식물흡수도(bio-availability)=275,276,6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281,282,1
제1절 연도별 연구목표 및 평가착안점에 입각한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281,282,2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283,284,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84,285,1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284,285,1
제2절 타연구에의 응용,기업화 추진 방안=284,285,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287,288,5
제7장 참고문헌=292,293,9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5
CONTENTS=15,16,4
Chapter 1. Introduction=19,20,1
Section 1. Background and Definition=19,20,1
Section 2. Necessity=19,20,5
Section 3. Purpose and Scope=23,24,3
Chapter 2. Status of R&D Activit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26,27,1
Section 1. Trends of R&D=26,27,10
Section 2. Comparison with Advanced Nations=35,36,6
Section 3. Technical Levels=40,41,4
Section 4. Future Expect=43,44,2
Chapter 3. Contents of R&D and Results=45,46,1
Section 1. Geology=45,46,4
Section 2. National Geochemical Baseline Map=49,50,1
1. Geochemical Baseline=49,50,19
Section 3. Assessment Technique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68,69,1
1. Analyses by Bayesian Statistics=68,69,17
2. Analyses by Data Mining Technique=85,86,28
3. Interpretation and Results=113,114,2
Section 4. Geochemical Hazards Database and NPL=115,116,1
1. Field Exploration and Sampling=115,116,24
2. Results of Field Exploration=138,139,3
3. Results of Geochemical Hazards Assessment=141,142,48
4. National Priority List(NPL)=188,189,7
Section 5. Geochemical Hazards Assessment Technologies=194,195,1
1. Transport and Fate of Heavy Metals=194,195,20
2. Leaching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213,214,33
3. Transport and Fate of Heavy Metals in Streams=245,246,21
Section 6. Bioavailability Assessment Technologies=266,267,9
Section 7. Bioavailability Assessment in Crops=275,276,6
Chapter 4. Degree of Achievement and Contribution=281,282,1
Section 1. Degree of Achievement=281,282,2
Section 2. Growth and Contribution in the Relevant Areas=283,284,1
Chapter 5. Application of R&D Results=284,285,1
Section 1. Practical Use of R&D Products=284,285,1
Section 2. Application and Future Plan=284,285,3
Chapter 6. Scientific Information on Leading Technology=287,288,5
Chapter 7. References=292,293,9
jpg
fig. 3.12. 1:1,000,000 측척 지질도=83,84,1
fig. 3.13. 암상별 Contrast 값의 분포도=83,84,1
fig. 3.14. 암상과 21종류의 지화학에 대해 광산의 위치가 발생할 확률계산을 수행하고 이를 중첩한 결과 도면(+,금.은 광산)=84,85,1
fig. 3.18. 의사결정 나무를 적용해 분류된 6가지의 영역=107,108,1
fig. 3.19. 의사결정나무에 으해 분류된 금-은광의 배태 가능지역과 실제 광산의 위치=108,109,1
fig. 3.20. 광산의 위치가 중첩된 중금속 원소의 분포도=110,111,1
fig. 3.21. 지화학도면에서,광산지역의 평균 지화학 값 이상인 영역 중 예측 광산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도면=111,112,1
fig. 3.22. 예측된 지역만을 선택하여 각 화소에서의 지화학 값을 광산 영역의 평균값으로 나눈 normalized 된 분포도를 작성하여 현횅 광산의 위치를 중첩한 결과=112,113,1
fig. 3.23. 의사결정나무와 베이시안 기법에 의해 제작된 예측도면과 광산의 위치.강원도와 충청도 지역을 확대한 도면=114,115,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