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2
목차=0,4,4
표차례=0,8,7
그림차례=0,15,7
요약문=0,22,5
Summary=0,27,6
제1장 서론=1,33,1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1,33,3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3,35,2
제2장 철도소음 특성 및 저감 방안=5,37,1
제1절 철도소음 발생원 특성 및 전달경로=5,37,2
1. 전동 소음=6,38,3
2. 차체 공력소음=8,40,2
3. 집전계 소음=9,41,2
4. 구조물 전달 소음과 지반 전달 소음=10,42,1
5. 추진 장치 소음=10,42,2
6. 기타 소음 발생원=11,43,1
제2절 국내외 지하철 소음 실태=12,44,1
1. 국내 지하철 소음 실태=12,44,4
2. 국외 지하철 소음 실태=16,48,6
제3절 국내외 지하철 소음 저감기술 및 방안=22,54,1
1. 레일 용접에 의한 소음 저감=22,54,3
2. 레일 삭정에 의한 소음 저감=24,56,2
3. 곡선부 스퀼 소음 저감=26,58,3
4. 도상이나 벽면 흡음재 부착에 의한 소음 저감=28,60,3
제3장 음장해석 이론=31,63,1
제1절 음장해석 개요=31,63,2
제2절 음선추적방법에 의한 음장 해석=32,64,1
1. 음원 모델링 및 음선의 정의=32,64,3
2. 경계면의 모델링=34,66,2
3. 반사점 결정=35,67,3
4. 반사 후의 음선 벡터=37,69,1
5. 수음영역의 에너지 산정=38,70,2
6. 공기의 흡음효과 산정=39,71,2
제3절 회절음 효과 산정=40,72,1
제4장 전철 소음원 위치 규명=41,73,1
제1절 소음원 위치 규명을 위한 소음측정=41,73,1
1. 측정 목적=41,73,1
2. 소음 측정 위치=41,73,2
3. 소음 계측 및 분석 결과=42,74,8
4. 전철 소음원의 모델링 방법 결정을 위한 수치해석=49,81,11
제5장 터널 및 옥외구간 소음 측정 결과 및 분석=60,92,1
제1절 터널내부 소음측정=60,92,1
1. 터널내부 소음측정 개요=60,92,1
2. 측정 및 분석장비=61,93,1
3. 소음측정 및 분석=61,93,2
4. 구간별 소음측정 결과=63,95,50
5. 터널내부 소음 특성 고찰=113,145,10
제2절 전동차 내ㆍ외부 소음측정=123,155,1
1. 전동차 내ㆍ외부 소음측정 개요=123,155,4
2. 측정 및 분석 장비=127,159,1
3. 소음측정 및 분석=127,159,1
4. 소음측정 결과=128,160,66
5. 전동차 내ㆍ외부 소음특성 고찰=194,226,7
제6장 주요 흡음재의 특성시험 및 분석=201,233,1
제1절 시험항목 및 시험방법=201,233,1
1. 흡음률시험(잔향실법)=201,233,1
2. 흡음률시험(전달함수법)=202,234,1
3. 난연시험=203,235,3
4. 연소성 시험=205,237,2
5. 발수도시험=206,238,2
6. 마모시험=207,239,1
7. 인장시험=207,239,2
8. 충격시험=208,240,1
9. 촉진내후성시험=208,240,2
제2절 흡음재 특성분석=209,241,1
1. 주요 흡음재 종류별 특성=209,241,6
2. 성능시험결과=215,247,17
제3절 터널내부용 흡음재의 선정=232,264,1
1. 흡음재의 선정기준=232,264,2
2. 기 설치된 흡음재의 특성=234,266,1
3. 터널내부용 흡음재의 선정 및 적합성 평가=235,267,2
제7장 터널내부 음장해석 및 전철내부 소음저감 시뮬레이션=237,269,1
제1절 수치해석 모델링=237,269,1
1. 직선구간=237,269,7
2. 곡선구간=243,275,3
제2절 터널 내부 흡차음재 설치 위치=246,278,1
제3절 터널 내부 음장해석 결과 및 고찰=247,279,1
1. 직선구간=247,279,14
2. 곡선구간=261,293,10
제4절 흡차음재 부착시 전철 실내 음압레벨 저감량 산정=271,303,1
1. 직선구간=272,304,11
2. 곡선구간=283,315,8
제8장 결론 및 향후과제=291,323,3
참고문헌=294,326,4
판권지=298,330,1
그림 1.1 지하터널을 통과하는 열차로의 소음 전파경로=2,34,1
그림 2.1 철도의 주요 소음 발생원=5,37,1
그림 2.2 열차 내부로의 소음 전달 경로=7,39,1
그림 2.3 궤도 종류와 속도에 따른 선로변 소음=9,41,1
그림 2.4 속도에 따른 주요 소음원의 기여도=10,42,1
그림 2.5 정상운행시 분당선의 차량속도별 소음레벨 비교=13,45,1
그림 2.6 정상운행시 과천선의 차량속도별 소음레벨 비교=14,46,1
그림 2.7 5호선의 직/곡선구간 운행시 차내외 소음레벨 비교=15,47,1
그림 2.8 속도에 따른 터널내(1),차량내(2) 소음레벨=17,49,1
그림 2.9 궤도구조 및 속도별 차내소음레벨 비교=18,50,1
그림 2.10 궤도 구조별 터널 내ㆍ외부 주행시 차내소음 비교=21,53,1
그림 2.11 높이 차이에 따른 레일 이음매 유형=23,55,1
그림 2.12 레일 이음매의 위치 관계에 따른 발생 소음도=23,55,1
그림 2.13 차륜/레일 표면 거칠기에 따른 소음 스펙트럼=25,57,1
그림 2.14 레일 삭정 전후의 소음도 스펙트럼=25,57,1
그림 2.15 레일에 댐퍼를 부착한 구조도=27,59,1
그림 2.16 댐퍼 부착에 따른 주파수별 운동성(Mobilty) 변화=27,59,1
그림 2.17 일본 철도총연에서 개발한 방진C형 슬라브궤도구조=29,61,1
그림 2.18 도상용 흡음 불록 사용하여 소음 저감한 예(독일)=30,62,1
그림 2.19 도상용 흡음 불록의 상세 사진=30,62,1
그림 3.1 단위 구를 이용한 음선 생성 방법=33,65,1
그림 3.2 경계면에 대한 평면 방정식의 구성=35,67,1
그림 3.3 음선의 경계면 내부 입사 판정법=37,69,1
그림 3.4 평면에 반사된 음선의 진행 방향=37,69,1
그림 3.5 직접음과 회절음의 경로 차=40,72,1
그림 4.1 전철 소음원 위치 규명을 위한 소음 계측 위치=42,74,1
그림 4.2 측정장비 구성=43,75,1
그림 4.3 소음측정 전경=43,75,1
그림 4.4 레일 연결부가 없는 직선구간에서의 시간선도=44,76,1
그림 4.5 레일 연결부가 있는 직선구간에서의 시간선도=45,77,1
그림 4.6 곡률 800m 곡선 구간에서의 시간선도=45,77,1
그림 4.7 곡률 600m 곡선 구간에서의 시간선도=46,78,1
그림 4.8 레일 연결부가 없는 직선구간 주파수 스펙트럼=47,79,1
그림 4.9 레일 연결부가 있는 직선구간 주파수 스펙트럼=47,79,1
그림 4.10 곡률 800m 곡선 구간 주파수 스펙트럼=48,80,1
그림 4.11 곡률 600m 곡선 구간 주파수 스펙트럼=48,80,1
그림 4.12 전철 속도 변화에 따른 총합음압레벨 계측 결과=49,81,1
그림 4.13 기존 소음예측모델에서의 철도소음원의 등가위치=50,82,1
그림 4.14 SONA 프로그램의 소음해석 순서도=51,83,1
그림 4.15 전철 소음원의 등가위치 및 음향파워레벨 결정을 위한 모델=51,83,1
그림 4.16 전철 소음원의 기준 위치 결정을 위한 3가지 수치해석 모델=54,86,1
그림 4.17 등가소음위치 결정을 위한 예측결과와 계측결과의 비교=59,91,1
그림 5.1 터널내부 소음측정장비 설치도=62,94,1
그림 5.2 시간이력선도=62,94,1
그림 5.3 A-ⓐ구간 측정사진-1=63,95,1
그림 5.4 A-ⓐ구간 측정사진-2=63,95,1
그림 5.5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64,96,1
그림 5.6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상행=67,99,1
그림 5.7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하행=67,99,1
그림 5.8 A-ⓑ구간 측정사진-1=68,100,1
그림 5.9 A-ⓑ구간 측정사진-2=68,100,1
그림 5.10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69,101,1
그림 5.11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상행=72,104,1
그림 5.12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하행=72,104,1
그림 5.13 A-ⓒ구간 측정사진-1=73,105,1
그림 5.14 A-ⓒ구간 측정사진-2=73,105,1
그림 5.15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74,106,1
그림 5.16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상행=77,109,1
그림 5.17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하행=77,109,1
그림 5.18 A-ⓓ구간 측정사진-1=78,110,1
그림 5.19 A-ⓓ구간 측정사진-2=78,110,1
그림 5.20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79,111,1
그림 5.21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상행=81,113,1
그림 5.22 A-ⓔ구간 측정사진-1=82,114,1
그림 5.23 A-ⓔ구간 측정사진-2=82,114,1
그림 5.24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83,115,1
그림 5.25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상행=85,117,1
그림 5.26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87,119,1
그림 5.27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상행=90,122,1
그림 5.28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하행=90,122,1
그림 5.29 A-ⓖ구간 측정사진-1=91,123,1
그림 5.30 A-ⓖ구간 측정사진-2=91,123,1
그림 5.31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92,124,1
그림 5.32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 상행=94,126,1
그림 5.33 A-ⓗ구간 측정사진-1=95,127,1
그림 5.34 A-ⓗ구간 측정사진-2=95,127,1
그림 5.35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96,128,1
그림 5.36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하행=98,130,1
그림 5.37 A-ⓘ구간 측정사진-1=99,131,1
그림 5.38 A-ⓘ구간 측정사진-2=99,131,1
그림 5.39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100,132,1
그림 5.40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하행=102,134,1
그림 5.41 A-ⓙ구간 측정사진-1=103,135,1
그림 5.42 A-ⓙ구간 측정사진-2=103,135,1
그림 5.43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104,136,1
그림 5.44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상행=107,139,1
그림 5.45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하행=107,139,1
그림 5.46 A-ⓚ구간 측정사진-1=108,140,1
그림 5.47 A-ⓚ구간 측정사진-2=108,140,1
그림 5.48 A-ⓚ구간 채널별 평균소음=109,141,1
그림 5.49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상행=112,144,1
그림 5.50 A-ⓚ구간 주파수별 평균소음-하행=112,144,1
그림 5.51 마제형 터널의 소음특성=114,146,1
그림 5.52 복선/마제형 터널 직/곡선구간의 소음특성=116,148,1
그림 5.53 단선/마제형 터널 직/곡선구간의 소음특성=117,149,1
그림 5.54 복선/박스형 터널 직/곡선구간의 소음특성=118,150,1
그림 5.55 터널내부 스피커 테스트 개념도=122,154,1
그림 5.56 국내지하철 B 마이크로폰 설치도=123,155,1
그림 5.57 상부팬 Ch 1=124,156,1
그림 5.58 차량내부 Ch 2=124,156,1
그림 5.59 차량내부 Ch 3=124,156,1
그림 5.60 M-car하부 Ch 4=124,156,1
그림 5.61 T-car하부 Ch 5=124,156,1
그림 5.62 속도감지기 설치=124,156,1
그림 5.63 국내지하철 C 마이크로폰 설치도=125,157,1
그림 5.64 상부팬 Ch 1=126,158,1
그림 5.65 차량내부 Ch 2,3,4=126,158,1
그림 5.66 T-car하부 Ch 5=126,158,1
그림 5.67 M-car하부 Ch 6=126,158,1
그림 5.68 Inverter Box 하부 Ch 7=126,158,1
그림 5.69 속도감지기 설치=126,158,1
그림 5.70 전동차 주행시 시간이력선도=127,159,1
그림 5.71 터널/옥외 구간 통과시 전동차 내ㆍ외부 소음특성=195,227,1
그림 5.72 터널내부 도상별 전동차 내ㆍ외부 소음특성=196,228,1
그림 5.73 터널내부와 차량내ㆍ외부에서 소음도 분포 특성(1)=198,230,1
그림 5.74 터널내부와 차량내ㆍ외부에서 소음도 분포 특성(2)=198,230,1
그림 5.75 환기 및 냉방기 작동에 따른 소음원과 차량내부 소음특성=200,232,1
그림 6.1 잔향실법에 의한 흡음률 측정방법=201,233,1
그림 6.2 전달함수법에 의한 흡음률 시험장치=202,234,1
그림 6.3 연소성 시험기=205,237,1
그림 6.4 발수도 시험장치=207,239,1
그림 6.5 인장시험편 형상 및 크기=208,240,1
그림 6.6 충격원의 형태=208,240,1
그림 6.7 유리면(좌측) 및 암면(우측) 흡음재의 형상=210,242,1
그림 6.8 발포알루미늄 및 나무뿌리 흡음재의 형상=211,243,1
그림 6.9 콘크리트 흡음재의 형상=211,243,1
그림 6.10 흡음블럭의 형상=212,244,1
그림 6.11 폴리에스테르 흡음재의 형상=212,244,1
그림 6.12 전달함수법에 의한 흡음률 시험결과=219,251,1
그림 6.13 잔향실법에 의한 흡음률 시험결과=223,255,1
그림 6.14 충격시험 결과=229,261,1
그림 7.1 마제형 단선 터널=239,271,1
그림 7.2 마제형 복선 터널=239,271,1
그림 7.3 박스형 단선 터널=240,272,1
그림 7.4 박스형 복선 터널=240,272,1
그림 7.5 원형 단선 터널=241,273,1
그림 7.6 원형 복선 터널=241,273,1
그림 7.7 직선구간 터널 형상별 음장해석 모델=242,274,1
그림 7.8 곡선구간 터널 형상별 음장해석 모델=245,277,1
그림 7.9 박스형 단선터널에서의 흡차음재 설치 형태=246,278,1
그림 7.10 박스형 복선터널에서의 흡차음재 설치 형태=246,278,1
그림 7.11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마제형 단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49,281,1
그림 7.12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마제형 복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50,282,1
그림 7.13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박스형 단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51,283,1
그림 7.14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박스형 복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52,284,1
그림 7.15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원형 단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53,285,1
그림 7.16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원형 복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54,286,1
그림 7.17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R=400m인 박스형 복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63,295,1
그림 7.18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R=250m인 마제형 복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64,296,1
그림 7.19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R=400m인 마제형 복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65,297,1
그림 7.20 흡차음재 설치 방법에 따른 R=600m인 마제형 단선터널에서의 음압레벨 분포=266,298,1
그림 7.21 직선구간 박스형 단선터널의 레일 중앙부와 측면에 흡차음재 설치시의 음압레벨 분포=281,313,1
그림 7.22 직선구간 원형 복선터널의 바닥부 전체와 측면에 흡차음재 설치시 음압레벨 분포=282,314,1
그림 7.23 곡률반경 R=250인 마제형 복선터널의 레일 중앙부와 측면에 흡차음재 설치시의 음압레벨 분포=289,321,1
그림 7.24 곡률반경 R=400인 마제형 복선터널의 레일 중앙부와 측면에 흡차음재 설치시의 음압레벨 분포=290,32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