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요약문=i,4,6

SUMMARY=vii,10,8

목차=xv,18,2

표목차=xvii,20,3

그림목차=xx,23,15

CONTENTS=xxxv,38,2

LIST OF TABLES=xxxvii,40,4

LIST OF FIGURES=xli,44,18

제1장 서론=1,62,3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3,64,3

제2절 연구목표 및 내용=6,67,1

1. 연구목표=6,67,2

2. 연구내용=8,69,2

제3절 기술개발 동향=10,71,1

1. 국외 기술개발 동향=10,71,3

2. 국내 기술개발 동향=12,73,3

제2장 연구내용=15,76,3

제1절 개요=17,78,2

제2절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원천설계기술=19,80,3

1. 개요=21,82,4

2.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설계=24,85,62

3. 원격측정명령처리기 해석=86,147,27

4. 요약=112,173,3

제3절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우주인증기술=115,176,3

1. 우주 방사선(Radiation) 해석=117,178,10

2. 궤도환경 해석 및 시험=126,187,33

3. 발사환경 해석 및 시험=158,219,14

4. 전자기호환 시험=172,233,18

5. 전장품과 소프트웨어 PA 및 QA=190,251,5

제4절 원격측정명령처리기 검증기반기술=195,256,3

1. 개요=197,258,3

2. 전기적시험장치의 구성=199,260,7

3. 원격측정명령처리기 검증용 TCTS 개발=205,266,6

4. 통합시험용 탑재소프트웨어 개발=211,272,49

5. 통합시험용 PILS시스템(VDS) 개발=260,321,20

6. 정지궤도 대용량 전력변환장치(PCDU) 실험모델 개발=279,340,38

7. 전기적시험장치 통합시험=316,377,22

8. 원격측정명령처리기 검증결과=337,398,5

9. 요약=341,402,2

제5절 시각동기 기술=343,404,3

1. 개요=345,406,2

2. 시각동기 기술 분석=346,407,27

3. 시각지연 오차 분석 및 모델링=372,433,5

4. 시각동기 시스템 지상시험장비 구축=376,437,10

5. 실시간 궤도 결정 시뮬레이션=386,447,23

6. 소프트웨어 성능 평가 및 기능 개선 방안 연구=408,469,9

제3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417,478,6

제4장 결론=423,484,4

[참고문헌]=427,488,10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37

CONTENTS=xxxv,38,24

Chapter 1. Introduction=1,62,3

Section 1. Background=3,64,3

Section 2. Research Objectives and Contents=6,67,1

1. Research Objectives=6,67,2

2. Research Contents=8,69,2

Section 3. State of the Art in Technologies=10,71,1

1. International State of the Art=10,71,3

2. Domestic State of the Art=12,73,3

Chapter 2. Research Contents=15,76,3

Section 1. Outline=17,78,2

Section 2. Design of Command and Telemetry Unit(CTU)=19,80,3

1. Outline=21,82,4

2. CTU Design=24,85,62

3. CTU Analysis=86,147,27

4. Summary=112,173,3

Section 3. CTU Space Qualif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115,176,3

1. Space Radiation Analysis=117,178,10

2. Orbit Environmental Analysis and Test=126,187,33

3. Launch Environmental Analysis and Test=158,219,14

4. EMI/EMC Test=172,233,18

5. Box & S/W PA and QA=190,251,5

Section 4. CTU Verif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195,256,3

1. Outline=197,258,3

2. Electrical Test Bed Configuration=199,260,7

3. TCTS Development for CTU Verification=205,266,6

4. Flight Software Development for Integration Test=211,272,49

5. Development of PILS System for Integration Test=260,321,20

6. Development of the Large Capacity Power Conversion and Distribution Unit=279,340,38

7. Electrical Test Bed Integration Test=316,377,22

8. Command Telemetry Unit Compliance Matrix=337,398,5

9. Summary=341,402,2

Section 5. Time Synchronization=343,404,3

1. Outline=345,406,2

2. Technology Survey of Time Synchronization=346,407,27

3. Time Delay Error Analysis and Modeling=372,433,5

4. Ground Test Equipments for Time Synchronization Experiment=376,437,10

5. Real-time Orbit Determination Simulation=386,447,23

6. Softwar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Function Improvement=408,469,9

Chapter 3. Application Plan of the Research=417,478,6

Chapter 4. Conclusions=423,484,4

References=427,488,10

표목차

(표 1.1.1)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최종연구개발 목표=7,68,1

(표 2.2.1) 원격측정명령처리기와 RF 인터페이스 규격=26,87,1

(표 2.2.2)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원격명령 주요 특징=28,89,1

(표 2.2.3) 명령 타입 구성=29,90,1

(표 2.2.4) Key1/2 Index 테이블=47,108,1

(표 2.2.5) IV Index 테이블=47,108,1

(표 2.2.6) 원격측정명령처리기 MIL-STD-1553B 통신 구성=57,118,1

(표 2.2.7) EDAC 생성 행렬 G=66,127,1

(표 2.2.8) EDAC 신드롬 생성 행렬 ST=67,128,1

(표 2.2.9) 릴레이구동 회로 규격=70,131,1

(표 2.2.10) 행 및 열 배치=73,134,1

(표 2.2.11) 원격측정명령처리기 텔레메트리 주요 특징=81,142,1

(표 2.2.12) 원격측정명령처리기 텔레메트리 모드=81,142,1

(표 2.2.13) 레귤레이션 및 리플 규격=84,145,1

(표 2.2.14) 원격측정명령처리기의 신뢰도 예측 결과=109,170,1

(표 2.2.15)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이 결함 모니터링 방법=112,173,1

(표 2.3.1) 각 면의 두께에 따른 방사량(Dij)를 구하는 순서=122,183,1

(표 2.3.2) 2005SAT의 중요 차폐 구조물=122,183,1

(표 2.3.4)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중심에서 방사량=125,186,1

(표 2.3.5)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실험모델 보드별 최대 열소산량 및 전력소모량=131,192,1

(표 2.3.6)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실험모델 열해석 결과 및 시험 결과 비교=135,196,1

(표 2.3.7)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소자별 감쇄요구조건=138,199,1

(표 2.3.8)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보드별 열소산량 및 전력소모량=144,205,1

(표 2.3.9)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원격측정명령처리 보드의 소자별 최대 온도=156,217,1

(표 2.3.10)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EPC 모듈의 소자별 최대 온도=157,218,1

(표 2.3.11) 물성치 및 질량=161,222,1

(표 2.3.12) 고유 진동수=164,225,1

(표 2.3.13) 랜덤 진동 시험 레벨=164,225,1

(표 2.3.14) 지정된 점에서의 처짐량=166,227,1

(표 2.3.15) 주요 소자별 처짐량=166,227,1

(표 2.3.16) 랜덤진동 시험규격=170,231,1

(표 2.3.17) 원격측정명령처리기 개발 주요 일정=190,251,1

(표 2.3.18) 우주환경시험 일정=193,254,1

(표 2.4.1) 검증기반기술 최종 연구개발 목표=197,258,1

(표 2.4.2) 유닛들의 기준 지명자=203,264,1

(표 2.4.3) TCTS 하드웨어 특징=206,267,1

(표 2.4.4) TCTS 소프트웨어 특징=207,268,1

(표 2.4.5) OBC의 특징=212,273,1

(표 2.4.6) FSW 개발 환경=212,273,1

(표 2.4.7) MIL-STD-1553B 메시지 스케줄링 구성표=214,275,1

(표 2.4.8) 제어기에 사용된 변수값=222,283,1

(표 2.4.9) 지상 추적소의 위치=241,302,1

(표 2.4.10) 거리 데이터 잡음 특성=241,302,1

(표 2.4.11) 위치유지 ΔV 요구량=246,307,1

(표 2.4.12) FSW 개발 환경=258,319,1

(표 2.4.13) 2005SAT 추정 관성모멘트=265,326,1

(표 2.4.14) 반작용휠 모델 수치=266,327,1

(표 2.4.15) 2005SAT 추력기 위치 좌표 및 추력 벡터 방향=268,329,1

(표 2.4.16) 지구센서의 수치적 모델링 결과=270,331,1

(표 2.4.17) 태양과 달의 간섭 영역=272,333,1

(표 2.4.18) 태양센서의 수치적 모델링 결과=273,334,1

(표 2.4.19) 관성센서의 수치적 모델링 결과=275,336,1

(표 2.4.20) 전력변환장치 시스템 요구사항=282,343,1

(표 2.4.21) 최악조건 부품 허용오차=290,351,1

(표 2.4.22) 임계전압에 따른 SAS 스위치 턴 온 및 턴 오프 수량=299,360,1

(표 2.4.23) PSB의 POR 조합=311,372,1

(표 2.4.24) OCS 모듈 시험환경=320,381,1

(표 2.4.25) 연동시험 결과 평가(예)=322,383,1

(표 2.4.26) 컴파일러별 Truncation 오차 비교=322,383,1

(표 2.4.27) EPS 모듈 PC 시험항목=326,387,1

(표 2.4.28) 배터리 Enable/Disable 명령과 충전 상태 결과=335,396,1

(표 2.4.29) 배터리 Enable/Disable 명령과 방전 상태 결과 (1 BPC)=336,397,1

(표 2.4.30) 배터리 Enable/Disable 명령과 방전 상태 결과 (1 Battery)=336,397,1

(표 2.4.31)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성능검증 확인표=339,400,3

(표 2.5.1) 시각동기 시스템 규격=348,409,1

(표 2.5.2) 2002년 1월 현재 GPS 위성의 현황=355,416,1

(표 2.5.3) 기준국 위치 선정을 위한 후보지역=398,459,1

(표 2.5.4) 시뮬레이션 초기 궤도 요소=398,459,1

(표 2.5.5) GPS와 정지궤도 위성의 시각동기의 성능 비교표=411,472,1

그림목차

(그림 2.2.1)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보드 구성도=22,83,1

(그림 2.2.2)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인터페이스 다이어그램=25,86,1

(그림 2.2.3) 상향링크 원격명령 포맷=27,88,1

(그림 2.2.4) 상향링크 원격명령 데이터 포맷=29,90,1

(그림 2.2.5) 원격 명령 데이터 신호 흐름도=30,91,1

(그림 2.2.6) 원격 명령 처리 흐름도=31,92,1

(그림 2.2.7) DES 동작 과정=35,96,1

(그림 2.2.8) CFB 모드 동작=37,98,1

(그림 2.2.9) 원격명령 데이터 링크 레이어 보안 옵션=39,100,1

(그림 2.2.10) 암호화된 CCSDS 원격명령 포맷=39,100,1

(그림 2.2.11) DES CFB 모드 코어 로직=41,102,1

(그림 2.2.12) DES CFB 코어의 타이밍 시뮬레이션=42,103,1

(그림 2.2.13) 3DES 암호/복호화 흐름 다이어그램=43,104,1

(그림 2.2.14) 3DES CFB 암호/복호화 과정=44,105,1

(그림 2.2.15) 3DES CFB 시뮬레이션 파형=45,106,1

(그림 2.2.16) ACC를 사용한 새로운 KEY1/2 및 IV 생성 과정=48,109,1

(그림 2.2.17) 위성 및 지상국 간 암호화 운용 과정=49,110,1

(그림 2.2.18)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기능 시험 환경=51,112,1

(그림 2.2.19) SCC 명령 GUI 생성 화면=52,113,1

(그림 2.2.20) 암호화된 SCC 명령 결과 화면=53,114,1

(그림 2.2.21) BUS 명령 GUI 생성 화면=54,115,1

(그림 2.2.22) 암호화된 BUS 명령 결과 화면=54,115,1

(그림 2.2.23) 원격측정명령처리기의 MIL-STD-1553B 버스 인터페이스=56,117,1

(그림 2.2.24) 원격측정명령처리기 SOH 1553B 버스 포맷=58,119,1

(그림 2.2.25) 원격측정명령처리기 텔레메트리 1553B 버스 포맷=59,120,1

(그림 2.2.26) 상향링크 명령 플래그 1553B 버스 포맷=59,120,1

(그림 2.2.27) 상향링크 버스 명령 데이터 1553B 버스 포맷=60,121,1

(그림 2.2.28) 링-큐 버퍼 운용도=61,122,1

(그림 2.2.29) OBC Flag 1553B 버스 포맷=62,123,1

(그림 2.2.30) BUS SCC 1553B 버스 포맷=62,123,1

(그림 2.2.31) Normal 및 Auxiliary 텔레메트리 1553B 버스 포맷=63,124,1

(그림 2.2.32)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제어 프로그램 구성=64,125,1

(그림 2.2.33) 원격측졍명령처리기 프로그램 스케줄러 타이밍 다이어그램=66,127,1

(그림 2.2.34) Bilevel 출력 인터페이스=70,131,1

(그림 2.2.35) 릴레이구동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71,132,1

(그림 2.2.36) 상세 행렬 구동 회로 연결=72,133,1

(그림 2.2.37) 릴레이구동 회로 도면=74,135,1

(그림 2.2.38) 릴레이구동 회로 시뮬레이션 파형=75,136,1

(그림 2.2.39) 릴레이구동 전류/전압 측정 파형=77,138,1

(그림 2.2.40) 릴레이구동 전류/전압 측정 파형(500mA max 조건)=78,139,1

(그림 2.2.41) 텔레메트리 포맷=79,140,1

(그림 2.2.42) 텔레메트리 처리 블록 다이어그램=80,141,1

(그림 2.2.43) 원격측정명령처리기 Normal 텔레메트리 포맷=82,143,1

(그림 2.2.44) EPC 보드 구성도=83,144,1

(그림 2.2.45)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각 보드 및 유닛=85,146,1

(그림 2.2.46) CPU에 의한 SRAM으로부터 Read 동작=89,150,1

(그림 2.2.47) CPU에 의한 SRAM으로부터 Read 동작=90,151,1

(그림 2.2.48) SRAM Write 사이클=91,152,1

(그림 2.2.49) CPU에 의한 SRAM에 Write 동작(최적의 경우)=91,152,1

(그림 2.2.50) CPU에 의한 SRAM에 Write 동작(최악의 경우)=92,153,1

(그림 2.2.51) Summit에 의한 SRAM으로부터 Read 동작=93,154,1

(그림 2.2.52) Summit에 의한 SRAM에 Write 동작=94,155,1

(그림 2.2.53) Summit에 의한 SRAM에 Write 동작=95,156,1

(그림 2.2.54) Summit에 의한 SRAM에 Write 동작=95,156,1

(그림 2.2.55) 중재 타이밍=96,157,1

(그림 2.2.56) 래치 데이터(최적의 경우)=97,158,1

(그림 2.2.57) 래치 데이터(최악의 경우)=97,158,1

(그림 2.2.58) 돌입 전류 제한 회로=98,159,1

(그림 2.2.59) 결과 파형(1:입력 전류,2:+50V 입력 전압)=99,160,1

(그림 2.2.60) 결과 파형(1:부하 전류,3:FET 구동 전압)=99,160,1

(그림 2.2.61) 결과 파형(1:전력 손실 R10,2:입력 전압)=100,161,1

(그림 2.2.62) 28V 출력 온/오프 회로=100,161,1

(그림 2.2.63) 결과 파형(1:온/오프 인에이블,2:FET 구동 전압)=101,162,1

(그림 2.2.64) 결과 파형(1:온/오프 인에이블,2:-28V 출력 전압)=101,162,1

(그림 2.2.65) +3.3V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02,163,1

(그림 2.2.66) 결과 파형(1:+5.5V 입력전압,2:+3.3V 출력전압)=103,164,1

(그림 2.2.67) 결과파형(1:TR(2N5662,X1) 전류,2:TR(2N5662,X2전류)=103,164,1

(그림 2.2.68) 결과 파형(1:+3.3V 출력전압,2:부하전류)=104,165,1

(그림 2.2.69) 입력 필터회로=104,165,1

(그림 2.2.70) 결과 파형(1:입력 필터 위상 보드플롯)=105,166,1

(그림 2.2.71) 결과 파형(2:입력 필터 이득 보드 플롯)=105,166,1

(그림 2.2.72) 출력 필터 회로=105,166,1

(그림 2.2.73) 결과 파형(1:출력 필터 이득 보드 플롯)=106,167,1

(그림 2.2.74) 결과 파형(1:출력 필터 위상 보드 플롯)=106,167,1

(그림 2.2.75) 원격측정명령처리기 하드웨어 구성도=108,169,1

(그림 2.2.76) 원격측정명렁처리기 신뢰도 블록 다이어그램=108,169,1

(그림 2.3.1)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전장박스 구조물=118,179,1

(그림 2.3.2) 총이온화선량 심도선(Dose-depth Curve)=118,179,1

(그림 2.3.3) 2.54㎜ (Al) 구형 껍질 안의 CTU EQM=121,182,1

(그림 2.3.4)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카테시안 좌표[17.70㎝(X)×13.18㎝(Y)×18.47㎝(Z)=121,182,1

(그림 2.3.5) 2005SAT 버스 모델=123,184,1

(그림 2.3.6) 단순화된 2005SAT 버스 모델=123,184,1

(그림 2.3.7) SPENVIS Sectoring Tool과 SIGMA II 비교=125,186,1

(그림 2.3.8)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실험모델 조립도=127,188,1

(그림 2.3.9)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실험모델의 열모델=129,190,1

(그림 2.3.10) PCB에 IC가 장착되었을 때 온도분포=132,193,1

(그림 2.3.11)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실험모델 EPC 보드의 표면열모델=133,194,1

(그림 2.3.12)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실험모델 열주기시험 온도응답 프로파일=135,196,1

(그림 2.3.13)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외/내부 형상=136,197,1

(그림 2.3.14)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보드의 기본 열설계=137,198,1

(그림 2.3.15) 하우징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0,201,1

(그림 2.3.16) 하향 Uplink/1553 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0,201,1

(그림 2.3.17) 상향 Uplink/1553 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1,202,1

(그림 2.3.18) 하향 Telemetry 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1,202,1

(그림 2.3.19) 상향 Telemetry 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2,203,1

(그림 2.3.20) 하향 Command 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2,203,1

(그림 2.3.21) 상향 Command 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3,204,1

(그림 2.3.22) EPC 모듈 제어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3,204,1

(그림 2.3.23)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열주기시험=145,206,1

(그림 2.3.24)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열주기시험온도응답 프로파일=145,206,1

(그림 2.3.25)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열진공시험=146,207,1

(그림 2.3.26)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열진공시험 온도응답 프로파일=146,207,1

(그림 2.3.27) 열주기환경 해석 및 시험 결과(고온조건)=148,209,1

(그림 2.3.28) 열주기환경 해석 및 시험 결과(저온조건)=148,209,1

(그림 2.3.29) 열진공환경 해석 및 시험 결과(고온조건)=149,210,1

(그림 2.3.30) 열진공환경 해석 및 시험 결과(저온조건)=149,210,1

(그림 2.3.31) 하우징 온도분포(고온조건)=150,211,1

(그림 2.3.32) 하향 Uplink/1553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0,211,1

(그림 2.3.33) 상향 Uplink/1553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1,212,1

(그림 2.3.34) 하향 Telemetry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1,212,1

(그림 2.3.35) 상향 Telemetry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2,213,1

(그림 2.3.36) 하향 Command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2,213,1

(그림 2.3.37) 상향 Command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3,214,1

(그림 2.3.38) EPC 모듈 제어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3,214,1

(그림 2.3.39) 해석 케이스 별 결과 및 열진공시험 결과 비교(고온조건)=154,215,1

(그림 2.3.40) 해석 케이스 별 결과 및 열진공시험 결과 비교(저온조건)=155,216,1

(그림 2.3.41)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유한요소 모델링=159,220,1

(그림 2.3.42) 내부 형상 및 배치=159,220,1

(그림 2.3.43) 원격측정명령처리보드 및 전력변환장치=160,221,1

(그림 2.3.44) 원격측정명령처리기의 1차 모드 형상=162,223,1

(그림 2.3.45) 원격측정명렁처리기의 2차 모드 형상=163,224,1

(그림 2.3.46) 모드 형상(Telemetry 보드)=163,224,1

(그림 2.3.47) 변위 처짐량 계산 위치=165,226,1

(그림 2.3.48) 충격시험장치=168,229,1

(그림 2.3.49) 충격시험 규격=168,229,1

(그림 2.3.50) 충격시험 장면과 충격응답스펙트럼(SRS)=169,230,1

(그림 2.3.51) 랜덤진동 시험장치=170,231,1

(그림 2.3.52) 랜덤진동시험 규격=171,232,1

(그림 2.3.53) 랜덤진동시험 장면과 파워스펙트랄밀도(PSD)=171,232,1

(그림 2.3.54) 입력 전원 라인의 돌입 전류 측정 시험 셋업=176,237,1

(그림 2.3.55) 입력 전원 라인의 돌입 전류 측정 결과=176,237,1

(그림 2.3.56) 입력 전원 라인의 차동모드 및 공통모드 전류 측정 구성=176,237,1

(그림 2.3.57) 입력 전원 라인의 공통모드 전류 측정 시험 셋업=176,237,1

(그림 2.3.58) 입력 전원 라인의 차동모드 전류 측정 결과=176,237,1

(그림 2.3.59) 입력 전원 라인의 공통모드 전류 측정 결과=176,237,1

(그림 2.3.60) 입력 전원 라인데 차동모드 연속 전압 사인파형 인가 규격=179,240,1

(그림 2.3.61) 30㎐∼10㎑ 주파수 영역에서 입력 전원 라인에 차동모드 연속 전압 사인파형 인가 구성=179,240,1

(그림 2.3.62) 10㎑∼50㎒ 주파수 영역에서 입력 전원 라인에 차동모드 연속 전압 사인파형 인가 구성=180,241,1

(그림 2.3.63) 입력 전원 라인에 차동모드 연속 전압 사인파형 인가 시험 셋업=180,241,1

(그림 2.3.64) 입력 전원 라인에 차동모드 과도특성 전압 인가 구성=180,241,1

(그림 2.3.65) 입력 전원 라인에 차동모드 과도특성 전압 인가 시험 셋업=180,241,1

(그림 2.3.66) 입력 전원 라인에 차동모드 과도특성 전압 교정 및 교정된 전압(10㎐)=181,242,1

(그림 2.3.67) 입력 전원 라인에 차동모드 과동특성 전압 인가 결과=181,242,1

(그림 2.3.68) 시리얼 디지털 인터페이스 라인에 차동모드 과도특성 전압교정 및 교정된 전압(10㎐)=182,243,1

(그림 2.3.69) RS-422 시리얼 디지털 라인에 차동모드 과도특성 전압 인가 결과=182,243,1

(그림 2.3.70) 자기장에 대한 복사성방출 측정 시험 셋업=184,245,1

(그림 2.3.71) 자기장에 대한 복사성방출 결과(z 축)=185,246,1

(그림 2.3.72) 전기장에 대한 복사성방출 규격=185,246,1

(그림 2.3.73) 전기장에 대한 복사성방출 측정 시험 셋업=185,246,1

(그림 2.3.74) 전기장에 대한 복사성방출 측정 결과=186,247,1

(그림 2.3.75) 자기장에 대한 복사성감응 규격=187,248,1

(그림 2.3.76) 자기장에 대한 복사성감응 인가 시험 셋업=188,249,1

(그림 2.3.77) 전기장에 대한 복사성감응 인가 규격=188,249,1

(그림 2.3.78) 전기장에 대한 복사성감응 인가 시험 셋업=189,250,1

(그림 2.4.1) 전기적 시험장치의 구성=200,261,1

(그림 2.4.2) 전기적시험장치의 전기적 인터페이스 다이어그램=202,263,1

(그림 2.4.3) MIL-STD-1553B 데이터 버스 인터페이스 다이어그램=202,263,1

(그림 2.4.4)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인터페이스 다이어그램=204,265,1

(그림 2.4.5) 전력변환장치 인터페이스 다이어그램=205,266,1

(그림 2.4.6) TCTS 하드웨어=206,267,1

(그림 2.4.7) TCTS 소프트웨어 초기 창=208,269,1

(그림 2.4.8) TCTS 소프트웨어의 원격 명령 생성 인터페이스=208,269,1

(그림 2.4.9) TCTS 소프트웨어의 자동 CTU 명령 테스트 인터페이스=209,270,1

(그림 2.4.10) TCTS 소프트웨어의 텔레메트리 테스트 인터페이스=209,270,1

(그림 2.4.11) TCTS 소프트웨어의 CTU 관리 인터페이스=209,270,1

(그림 2.4.12) TCTS 소프트웨어의 텔레메트리 데이터(EPS,ACS,OCS) 인터페이스=210,271,1

(그림 2.4.13) FSW 전체 구성도=211,272,1

(그림 2.4.14) FSW 타스크 타이밍 스케줄링=213,274,1

(그림 2.4.15) MIL-STD-1553B 메시지 스케줄링=215,276,1

(그림 2.4.16) FSW의 명령 폴링 메커니즘=216,277,1

(그림 2.4.17) 탑재소프트웨어 ACS 모듈 구성=218,279,1

(그림 2.4.18) 태양벡터와 고도각/방위각과의 관계=219,280,1

(그림 2.4.19) Piogram (관성좌표계에서 몸체좌표계로의 변환)=219,280,1

(그림 2.4.20) Single Axis 선형시스템 제어기=222,283,1

(그림 2.4.21) 덤핑모드 동작 결정 알고리즘=224,285,1

(그림 2.4.22) 덤핑모드에서의 추력기 선정 알고리즘=224,285,1

(그림 2.4.23) 위치유지모드에서의 구동기 선정=226,287,1

(그림 2.4.24) 탑재용 임무계획 소프트웨어의 구성=229,290,1

(그림 2.4.25) 좌표의 정의=233,294,1

(그림 2.4.26) 실시간 궤도결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개념=235,296,1

(그림 2.4.27) 자동위치유지 시스템 알고리즘 종합=240,301,1

(그림 2.4.28) X-축 성분 위치추정 오차=242,303,1

(그림 2.4.29) Y-축 성분 위치추정 오차=243,304,1

(그림 2.4.30) Z-축 성분 위치추정 오차=243,304,1

(그림 2.4.31) X-축 성분 위치제어 오차=243,304,1

(그림 2.4.32) Y-축 성분 위치제어 오차=244,305,1

(그림 2.4.33) Z-축 성분 위치제어 오차=244,305,1

(그림 2.4.34) 총 위치 제어 오차=244,305,1

(그림 2.4.35) 위치제어에 의한 위성의 경도변화=245,306,1

(그림 2.4.36) 위치제어에 의한 궤도 경사각 변화=245,306,1

(그림 2.4.37) OCS 모듈의 소스코드 파일의 구성=247,308,1

(그림 2.4.38) ODS와 OCS의 연동개념=248,309,1

(그림 2.4.39) OCS 명령처리의 흐름도=248,309,1

(그림 2.4.40) OCS 파라미터의 수정과정=249,310,1

(그림 2.4.41) OCS 업링크 파라미터 생성기 주화면=250,311,1

(그림 2.4.42) 추력기 데이터 설정화면=250,311,1

(그림 2.4.43) EPS 모듈의 주요함수=252,313,1

(그림 2.4.44) EPS모듈 소스코드 파일의 구성=252,313,1

(그림 2.4.45) VDS-EPS의 데이터 흐름=253,314,1

(그림 2.4.46) 전력변환장치 제어명령 전송경로=254,315,1

(그림 2.4.47) 텔레메터리 데이터의 전송=255,316,1

(그림 2.4.48) EPS 파라미터의 수정과정=256,317,1

(그림 2.4.49) EPS 파라미터 설정화면=257,318,1

(그림 2.4.50) 배터리충방전기 상태 설정화면=257,318,1

(그림 2.4.51) OBC Mon 명령 생성 윈도우=258,319,1

(그림 2.4.52) OBC Mon의 텔레메트리 모니터링 윈도우(EPS,ACS,OCS)=259,320,1

(그림 2.4.53) 비행체 동역학 시뮬레이터(VDS)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260,321,1

(그림 2.4.54) 비행체 동역학 시뮬레이터(VDS) 하드웨어 구성=262,323,1

(그림 2.4.55) 위성 좌표계 정의=264,325,1

(그림 2.4.56) 반작용휠 내부 구동 알고리즘=265,326,1

(그림 2.4.57) 반작용휠 배치=266,327,1

(그림 2.4.58) 2005SAT 추력기 배치도=267,328,1

(그림 2.4.59) 위성 공전에 따른 SAD 회전오차=270,331,1

(그림 2.4.60) 지구센서 감지 영역=271,332,1

(그림 2.4.61) 다중 물체 간섭 영역=272,333,1

(그림 2.4.62) 관성센서 자이로 배치=275,336,1

(그림 2.4.63) 동역학 모델의 코닝 현상 결과=276,337,1

(그림 2.4.64) 반작용휠 모델의 내부 전기적 특성 결과=277,338,1

(그림 2.4.65) 추력기 모델의 토크 생성 결과=277,338,1

(그림 2.4.66) 태양전지판 구동모터의 동작 특성 결과=278,339,1

(그림 2.4.67) 지구센서의 측정범위 및 지구획득범위 결과=278,339,1

(그림 2.4.68) 태양센서의 최소 Bit 변환 결과=279,340,1

(그림 2.4.69) 전력변환장치 시스템 블록다이어그램=284,345,1

(그림 2.4.70) 버스전압 변화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동작 모드=288,349,1

(그림 2.4.71) BCB 보드 블록 다이어그램=289,350,1

(그림 2.4.72) 버스전압 오차검출회로 주파수 응답특성=293,354,1

(그림 2.4.73) 버스전압조절기 SAS 보상회로 응답특성=294,355,1

(그림 2.4.74) 부품 실패시 SAS 보상회로 응답특성=295,356,1

(그림 2.4.75) 배터리충방전기 보상회로의 주파수 응답특성=296,357,1

(그림 2.4.76) 태양전지 어레이 션트 스위치 유닛의 블록다이어그램=297,358,1

(그림 2.4.77) FPGA 제어로직 시뮬레이션 결과=300,361,1

(그림 2.4.78) 버스전압 변동파형=301,362,1

(그림 2.4.79) 부하변동 시 각 션트스위치 모듈의 스위칭 상태=301,362,1

(그림 2.4.80) 배터리 충방전기 구성도=303,364,1

(그림 2.4.81) 배터리 충방전기 충전모드 해석결과=304,365,1

(그림 2.4.82) 스텝-업 모드 배터리 충-방전기 컨버터 해석결과=304,365,1

(그림 2.4.83) 위상동기제어를 위한 FPGA제어 출력신호=305,366,1

(그림 2.4.84) 직류전류 검출 증폭기=306,367,1

(그림 2.4.85) 직류전류 검출 증폭기 해석 결과=306,367,1

(그림 2.4.86) 버스 과전압 측정기=307,368,1

(그림 2.4.87) 전력 변환기 블록다이어그램=308,369,1

(그림 2.4.88) PSB 블록 다이어그램=310,371,1

(그림 2.4.89) 버스전압 오차에 의한 SAS스위치 듀티 변화=312,373,1

(그림 2.4.90) 배터리 충전 명령 전송=313,374,1

(그림 2.4.91) 스텝부하변화에 따른 버스 전압 변화=313,374,1

(그림 2.4.92) 배터리 충전동안(127/255) 출력신호=313,374,1

(그림 2.4.93) 배터리충방전기제어를 위한 PSB 듀티비 변화=313,374,1

(그림 2.4.94) 전력제어 및 분배장치 시제품=314,375,1

(그림 2.4.95) 전력제어 및 분배장치 내부모듈사진=314,375,1

(그림 2.4.96) Fuse 및 릴레이 유닛 시제품=314,375,1

(그림 2.4.97) ACS 모듈의 자세결정 결과=317,378,1

(그림 2.4.98) ACS 모듈의 확장칼만필터 수행 결과=317,378,1

(그림 2.4.99) 남북위치유지 2회 수행시 ACS 모듈의 자세제어 결과=318,379,1

(그림 2.4.100) 남북위치유지 2회 수행시 자세결정을 통한 반작용휠 속도=318,379,1

(그림 2.4.101) 연동시험을 통한 OCS모듈 검증 방법=321,382,1

(그림 2.4.102) EPS FSW CSCI 시험환경=324,385,1

(그림 2.4.103) EPS FSW CSCI 시험용 소프트웨어의 파일 구성=324,385,1

(그림 2.4.104) 충방전 모드변화(연동시험 시뮬레이터 수행결과)=329,390,1

(그림 2.4.105) 방전전류(EPS-VDS 연동시험 결과)=329,390,1

(그림 2.4.106) SOC 변화=329,390,1

(그림 2.4.107) SOC 변화(EPS-VDS 연동시험 결과)=329,390,1

(그림 2.4.108) 배터리 온도(연동시험 시뮬레이터 수행결과)=330,391,1

(그림 2.4.109) 배터리 온도(EPS-VDS 연동시험 결과)=330,391,1

(그림 2.4.110) 배터리 압력(연동시험 시뮬레이터 수행결과)=331,392,1

(그림 2.4.111) 배터리 압력(EPS-VDS 연동시험 결과)=331,392,1

(그림 2.4.112) 충전전류=331,392,1

(그림 2.4.113) RS-422 시리얼 통신 타이밍 구조=333,394,1

(그림 2.4.114) 시리얼 통신을 통한 릴레이 구동 명령 결과=334,395,1

(그림 2.4.115) 시리얼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결과=334,395,1

(그림 2.5.1) LORAN-C 시스템의 전파 수신 가능 지역=351,412,1

(그림 2.5.2) 표준주파수국 HLA의 운용 개요=352,413,1

(그림 2.5.3) 표준주파수국 HLA의 운용장비=353,414,1

(그림 2.5.4) GPS 시스템의 3가지 Segment=354,415,1

(그림 2.5.5) GPS 위성군의 궤도면과 위성 분포=354,415,1

(그림 2.5.6) GPS/NAVSTAR Block II 위성의 형상=355,416,1

(그림 2.5.7) GPS 시스템의 Control Segment 위치=356,417,1

(그림 2.5.8) GPS 수신기의 일반적인 구성도=357,418,1

(그림 2.5.9) GPS 수신기에서의 시간 지연 측정 원리=358,419,1

(그림 5.2.10) GPS를 이용한 거리측정 원리1=359,420,1

(그림 5.2.11) GPS를 이용한 거리측정 원리2=359,420,1

(그림 2.5.12) 위성의 배치에 의한 정밀도 차이=360,421,1

(그림 2.5.13) GPS/NAVSTAR 위성에 의한 시각동기 정밀도=361,422,1

(그림 5.2.14) 제1세대 GPS Clock구성도=362,423,1

(그림 5.2.15) 제2세대 GPS Clock구성도=362,423,1

(그림 5.2.16) 제3세대 GPS Clock구성도=362,423,1

(그림 5.2.17) INSAT-3B의 Ku-EIRP Contour Map=364,425,1

(그림 2.5.18) INSAT 위성의 시각동기 코드 형식과 신호 체계=365,426,1

(그림 2.5.19) INSAT 위성의 시각동기 신호 송신 체계=367,428,1

(그림 2.5.20) INSAT 위성의 시각동기 신호 수신 체계=368,429,1

(그림 2.5.21) TDF2 위성을 이용한 시각동기 신호 측정 원리=371,432,1

(그림 2.5.22) 습도에 따른 대류층 시각지연=375,436,1

(그림 2.5.23) 이온층 일별 시각지연=375,436,1

(그림 2.5.24) 시각동기 개념도=377,438,1

(그림 2.5.25) 시각동기 시스템 지상장비 구성도=378,439,1

(그림 2.5.26) 시각동기 시스템 지상시험장비 사진=379,440,1

(그림 2.5.27) 시각동기시험을 위한 안테나 및 RF송수신장비=380,441,1

(그림 2.5.28) 송수신 보드 기능 블록 구성도=380,441,1

(그림 2.5.29) 시각동기 시스템 패킷=381,442,1

(그림 2.5.30) 시각동기 지상시험 장비 송수신 보드 내부 사진=381,442,1

(그림 2.5.31) 송수신 모뎀간의 지연 시간 측정 시스템 구성도=384,445,1

(그림 2.5.32) 송신프로그램 GUI=384,445,1

(그림 2.5.33) Labview로 구성된 수신프로그램=385,446,1

(그림 2.5.34) 지연시간 처리 GUI=385,446,1

(그림 2.5.35) 미분보정 방식에 의한 표준시각 전파 원리=386,447,1

(그림 2.5.36) 추력에 의한 가속도 정의와 국부 좌표계 설정=393,454,1

(그림 2.5.37) NSSK 수행시 추력기 작동 프로파일=395,456,1

(그림 2.5.38) NSSK 수행시 위성의 궤도 경사각 변화=396,457,1

(그림 2.5.39) 남북위치유지 기동시의 위성의 움직임=399,460,1

(그림 2.5.40) 전주-서울 간 수신 시각차=399,460,1

(그림 2.5.41) 전주-경주 간 수신 시각차=400,461,1

(그림 2.5.42) 서울-경주간 수신 시각차=400,461,1

(그림 2.5.43) 전주-강릉간 수신 시각차=400,461,1

(그림 2.5.44) 대전-경주간 수신 시각차=400,461,1

(그림 2.5.45)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장 기준국들=401,462,1

(그림 2.5.46) 궤도 결정을 위한 확장 칼만 필터 흐름도=402,463,1

(그림 2.5.47) 궤도 조정 기동이 없는 경우 EKF를 사용한 궤도추정=405,466,1

(그림 2.5.48) EKF 필터를 사용하여 NSSK시 궤도추정=405,466,1

(그림 2.5.49) 입력 추정 필터에서의 가속도 추정 프로파일=406,467,1

(그림 2.5.50) 입력 추정 필터 개요도=407,468,1

(그림 2.5.51) 입력 추정 필터에 의한 궤도 추정 결과=408,469,1

(그림 2.5.52) 정지궤도 위성의 Error Ellipsoid=410,471,1

(그림 2.5.53) 한반도 남부에서의 시각동기 오차(오차반경 1㎞)=410,471,1

(그림 2.5.54) 한반도 남부에서의 시각동기 오차(오차반경 2㎞)=410,471,1

(그림 2.5.55) GPS 클럭의 내부 구조=413,474,1

(그림 2.5.56) 기지국 내에서의 GEO Clock 연결 방안=414,475,1

칼라목차

jpg

(그림 2.3.21) 상향 Command 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3,204,1

(그림 2.3.22) EPC 모듈 제어보드 온도분포 및 열전대 위치(고온 예비 열해석)=143,204,1

(그림 2.3.29) 열진공환경 해석 및 시험 결과(고온조건)=149,210,1

(그림 2.3.30) 열진공환경 해석 및 시험 결과(저온조건)=149,210,1

(그림 2.3.31) 하우징 온도분포(고온조건)=150,211,1

(그림 2.3.32) 하향 Uplink/1553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0,211,1

(그림 2.3.33) 상향 Uplink/1553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1,212,1

(그림 2.3.34) 하향 Telemetry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1,212,1

(그림 2.3.35) 상향 Telemetry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2,213,1

(그림 2.3.36) 하향 Command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2,213,1

(그림 2.3.37) 상향 Command 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3,214,1

(그림 2.3.38) EPC 모듈 제어보드 온도분포(고온조건)=153,214,1

(그림 2.3.39) 해석 케이스 별 결과 및 열진공시험 결과 비교(고온조건)=154,215,1

(그림 2.3.44) 원격측정명령처리기의 1차 모드 형상=162,223,1

(그림 2.3.46) 모드 형상(Telemetry 보드)=163,2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