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최종(단계)보고서 초록/조영제=2,3,1
요약문=3,4,8
Summary=11,12,2
CONTENTS=13,14,3
목차=16,17,3
그림목차=19,20,3
표목차=22,23,1
제1장 서론=23,24,1
제1절 연구배경=23,24,3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26,27,1
1. 기술적 측면=26,27,5
2. 사회ㆍ문화적 측면=30,31,5
3. 경제ㆍ산업적 측면=34,35,3
제3절 국내외 기술현황=37,38,1
1.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37,38,2
2. 앞으로의 전망=38,39,2
제4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범위=39,40,1
1. 연구개발의 목적=39,40,2
2. 연구개발의 범위=40,41,2
제2장 선어회의 적정 유통 및 품질유지기간의 설정=42,43,1
제1절 서론=42,43,3
제2절 재료 및 방법=45,46,1
1. 원료어=45,46,1
2. 실험방법=45,46,3
제3절 결과 및 고찰=47,48,1
1. 선어회의 치사방법에 따른 생명시간의 검토=47,48,13
2. 선어회의 조리형태에 따른 생명시간의 검토=60,61,2
3. 얼음물의 침지유무 및 저장온도에 따른 생명시간 연장방법의 검토=62,63,16
4. 선어회의 포장 및 껍질부착 유무에 따른 생명시간 연장방법의 검토=78,79,3
5. 활어의 종류에 따른 생명시간의 검토=81,82,27
제3장 포장 선어회의 처리가공 방법 및 HACCP plan model 개발=108,109,1
제1절 주요 위생지표세균에 대한 위생적 안전성 확보=108,109,1
1. 선어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108,109,4
2. 균의 증식속도=111,112,1
3. 2차 오염의 방지=112,113,4
4. 온도관리=115,116,2
제2절 선어회의 위생적인 가공처리 및 수송을 위한 HACCP 시스템 개발=116,117,1
1. 목적 및 범위=116,117,1
2. 용어의 정의=116,117,2
3. GMP=117,118,13
4. SSOP=130,131,9
5. HACCP=139,140,7
제3절 포장 선어회의 대규모 처리가공 필요성 검토=146,147,1
1. 선어회와 활어회의 차이=146,147,3
2. 활어유통의 문제점=148,149,3
3. 선어회 유통의 장점=150,151,3
4. 선어회 가공처리 공정=153,154,3
5. 선어회의 위생처리 방법=156,157,3
6. 선어회 가공공장의 위생설비=158,159,1
7. 선어회 가공공장의 조건=158,159,3
8. 선어회의 가공ㆍ유통 및 검사기준=161,162,1
9. 선어회의 가공공장의 설립방안=162,163,4
제4장 선어회의 원료어종 및 신선도 판정기술 확립=166,167,1
제1절 서론=166,167,2
제2절 재료 및 방법=167,168,1
1. 원료어=167,168,1
2. 실험방법=167,168,8
제3절 결과 및 고찰=175,176,1
1. 어종 및 원산지 판정=175,176,18
2. 신선도 판정=193,194,2
제4절 결론=195,196,1
제5장 선어회의 소비촉진을 위한 홍보방안의 검토=196,197,1
제1절 선어회 보급의 문제점 및 대책=196,197,1
1. 선어회 보급에 있어서 문제점 및 개선방안=196,197,2
2. 대책=197,198,2
제2절 선어회의 소비촉진 및 문화형성 위한 홍보방안=198,199,1
1.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198,199,3
2. 선어회 가공업체,생선횟집 및 판매처를 통한 홍보=200,201,3
3. 인터넷,홈쇼핑을 통한 홍보=202,203,1
제3절 선어회 판매대책=202,203,1
1. 국내판매=202,203,3
2. 수출=204,205,1
제6장 참고문헌=205,206,11
연구결과 활용 계획서=216,217,6
기술요약서=222,223,5
부록(국내어종의 특징 및 생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227,228,12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3
CONTENTS=13,14,10
Chapter I Preface=23,24,1
Purpose,Necessity and bounds of this study=23,24,19
Chapter II Establishment of optimal circulation and shelf-life in fresh sliced raw fish=42,43,1
Section 1. Introduction=42,43,3
Section 2. Materials and Methods=45,46,1
1. Materials=45,46,1
2. Methods=45,46,3
Section 3. Results and Discussion=47,48,1
1. Killing methods=47,48,13
2. Handling forms=60,61,2
3. Ice water and storage temperature=62,63,16
4. Packing methods and skin=78,79,3
5. Fish species=81,82,27
Chapter III Processing methods of fresh sliced raw fish and develoment=108,109,1
Section 1. Sanitary safety in fresh sliced raw fish=108,109,1
1. Food poison in fresh sliced raw fish=108,109,4
2. Growth of microorganism=111,112,1
3. Contamination=112,113,4
4. Temperature control=115,116,2
Section 2. HACCP system=116,117,1
1. Purpose and bounds=116,117,1
2. Definition=116,117,2
3. GMP=117,118,13
4. SSOP=130,131,9
5. HACCP=139,140,7
Section 3. Manufacturing Necessity of packed fresh sliced raw fish=146,147,1
1. Fresh sliced raw fish and live sliced raw fish=146,147,3
2. Problems in circulation of live fish=148,149,3
3. Advantage=150,151,3
4. Processing procedure=153,154,3
5. Sanitary management=156,157,3
6. Sanitary equipment=158,159,1
7. Elementary condition of manufacture=158,159,3
8. Quality criterion=161,162,1
9. Manufacturing Fundation=162,163,4
Chapter IV Identification and judgement of fish species and freshness=166,167,1
Section 1. Introduction=166,167,2
Section 2. Materials and methods=167,168,1
1. Matrials=167,168,1
2. Methods=167,168,8
Section 3. Results and Discussion=175,176,1
1. Fish species and origin=175,176,18
2. Freshness=193,194,2
Section 4. Conclusion=195,196,1
Chapter V Publicity of fresh sliced raw fish=196,197,1
Section 1. Problems and settlement=196,197,1
1. Problems=196,197,2
2. Settlement=197,198,2
Section 2. Publicity plan=198,199,1
1. Publicity by public massmedia=198,199,3
2. Publicity by manufacture and market place=200,201,3
3. Publicity by internet and home shopping=202,203,1
Section 3. Marketing settlement=202,203,1
1. Domestic=202,203,3
2. Expert=204,205,1
Chapter VI References=205,206,34
그림 1-1. 선어회의 씹힘성과 감칠맛의 변화=27,28,1
그림 2-1. 치사방법에 따른 0℃ 저장 중 넙치육의 사후경직도의 변화=48,49,1
그림 2-2. 즉살에 의한 0℃ 저장 중 넙치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50,51,1
그림 2-3. 마취사에 의한 0℃ 저장 중 넙치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50,51,1
그림 2-4. 전기자극사에 의한 0℃ 저장 중 넙치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51,52,1
그림 2-5. 치사방법에 따른 0℃ 저장 중 넙치육의 ATP 함량 변화=53,54,1
그림 2-6. 치사방법에 따른 0℃ 저장 중 넙치육의 IMP 함량 변화=55,56,1
그림 2-7. 치사방법에 따른 0℃ 저장 중 넙치육의 유산함량 변화=57,58,1
그림 2-8. 치사방법에 따른 0℃ 저장 중 넙치육의 파괴강도 변화=59,60,1
그림 2-9. 조리방법에 따른 0℃ 저장 중 넙치육의 파괴강도 변화=60,61,1
그림 2-10.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넙치 Round의 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64,65,1
그림 2-11.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넙치 Fillet의 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64,65,1
그림 2-12.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넙치 Round의 1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66,67,1
그림 2-13.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넙치 Fillet의 1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66,67,1
그림 2-14. 얼음물의 침지한 넙치 Fillet의 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68,69,1
그림 2-15. 얼음물의 침지하지 않은 넙치 Fillet의 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68,69,1
그림 2-16. 얼음물의 침지한 넙치 Fillet의 1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69,70,1
그림 2-17. 얼음물의 침지하지 않은 넙치 Fillet의 1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69,70,1
그림 2-18.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방어 Round의 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71,72,1
그림 2-19.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방어 Fillet의 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71,72,1
그림 2-20.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방어 Round의 1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72,73,1
그림 2-21. 얼음물의 침지유무에 따른 방어 Fillet의 1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72,73,1
그림 2-22. 얼음물의 침지한 방어 Fillet의 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74,75,1
그림 2-23. 얼음물의 침지하지 않은 Fillet의 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74,75,1
그림 2-24. 얼음물의 침지한 방어 Fillet의 1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75,76,1
그림 2-25. 얼음물의 침지하지 않은 Fillet의 10℃ 저장 중 육의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75,76,1
그림 2-26. 얼음물의 침지하지 않은 넙치와 방어 Round의 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77,78,1
그림 2-27. 얼음물의 침지하지 않은 넙치와 방어 Fillet의 0℃ 저장 중 육의 파괴강도 변화=77,78,1
그림 2-28. 포장방법에 따른 넙치육의 0℃ 저장 중 파괴강도 변화=79,80,1
그림 2-29. 포장방법에 따른 방어육의 0℃ 저장 중 파괴강도 변화=79,80,1
그림 2-30. 껍질부착여부에 따른 넙치육의 0℃ 저장 중 파괴강도 변화=80,81,1
그림 2-31. 껍질부착여부에 따른 방어육의 0℃ 저장 중 파괴강도 변화=80,81,1
그림 2-32. 즉살한 넙치육의 0℃ 저장 중 파괴강도와 사후경직도의 변화=83,84,1
그림 2-33. 즉살한 넙치육의 0℃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84,85,1
그림 2-34. 즉살한 참돔의 0℃ 저장 중 파괴강도와 사후경직도의 변화=86,87,1
그림 2-35. 즉살한 참돔육의 0℃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87,88,1
그림 2-36. 즉살한 조피볼락의 0℃ 저장 중 파괴강도와 사후경직도의 변화=90,91,1
그림 2-37. 즉살한 조피볼락육의 0℃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91,92,1
그림 2-38. 즉살한 농어의 0℃ 저장 중 파괴강도와 사후경직도의 변화=93,94,1
그림 2-39. 즉살한 농어육의 0℃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94,95,1
그림 2-40. 즉살한 참숭어의 0℃ 저장 중 파괴강도와 사후경직도의 변화=96,97,1
그림 2-41. 즉살한 참숭어육의 0℃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98,99,1
그림 2-42. 즉살한 방어의 0℃ 저장 중 파괴강도와 사후경직도의 변화=100,101,1
그림 2-43. 즉살한 방어육의 0℃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101,102,1
그림 2-44. 즉살한 민물돔의 0℃ 저장 중 파괴강도와 사후경직도의 변화=103,104,1
그림 2-45. 즉살한 민물돔육의 0℃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104,105,1
그림 2-46. 한국과 일본에서 선어회 생명시간 비교=107,108,1
그림 4-1. SDS-PAGE와 IEF 전기영동 시료제조=170,171,1
그림 4-2. 표준물질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넓은 범위의 표준물질)=171,172,1
그림 4-3. 표준물질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좁은 범위의 표준물질)=171,172,1
그림 4-4. IEF mark를 이용한 IPGphor에서 pH 결정을 위한 표준곡선=173,174,1
그림 4-5. pI kit를 이용한 multiphor에서 pH 결정을 위한 표준곡선=173,174,1
그림 4-6. 근형질단백질의 SDS-PAGE 전기영동상=176,177,1
그림 4-7. 국내외산 동일어종의 근형질단백질 SDS-PAGE 형태=177,178,1
그림 4-8. 근원섬유단백질의 SDS-PAGE 전기영동상=179,180,1
그림 4-9. 국내외산 동일어종의 근원섬유단백질 전기영동상=181,182,1
그림 4-10. IPGphor system응 이용하여 나타낸 어종별 등전점 전기영동상=182,183,1
그림 4-11. IPGphor system응 이용하여 나타낸 국내외산 동일 어종의 등전점 전기영동상 비교=184,185,1
그림 4-12. Multiphor system을 이용하여 나타낸 어종별 등전점 전기영동상 비교=186,187,1
그림 4-13. Multiphor system을 이용하여 나타낸 국내외산 동일 어종의 등전점 전기영동상=188,189,1
그림 4-14. 서식지 판정을 위한 근형질단백질의 SDS-PAGE 전기동영상=189,190,1
그림 4-15. 서식지 판정을 위한 근원섬유단백질의 SDS-PAGE 전기동영상=190,191,1
그림 4-16. Multiphor system을 이용하여 나타낸 서식지별 동일어종의 등전점 전기영동상 비교=192,193,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