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부안군 농촌지하수관리사업」 보고서는=1,3,2

목차=3,5,2

표목차=5,7,2

그림목차=7,9,3

추진배경=10,12,1

사업의 역할=10,12,1

추진목표=11,13,1

추진전략=11,13,1

추진방향=11,13,2

I. 조사 및 분석=13,15,2

1.1. 현황=14,16,1

1.1.1. 지역행정구역 및 인구=14,16,13

1.1.2. 지하수 현황=27,29,8

1.1.3. 잠재오염원 현황=35,37,2

1.1.4. 조사실적=37,39,5

1.2. 분석=42,44,1

1.2.1. 특성분석=42,44,22

1.2.2. 추세분석 및 예측=64,66,7

1.2.3. 행정구역별 현황분석=71,73,26

II. 지하수 관리대책=97,99,3

2.1. 지하수 수량관리=99,101,4

2.2. 지하수 수질관리=103,105,8

2.3. 지하수 모니터링=111,113,1

2.3.1. 지하수 관측망 현황=111,113,2

2.3.2. 보조 지하수 관측망 설치 제안=113,115,1

2.3.3. 관측정 설치 및 운영 계획=114,116,2

2.4. 종합대책=116,118,1

2.4.1. 행정규제에 의한 관리방안=116,118,4

2.4.2. 비규제적인 관리방안=120,122,2

2.4.3. 기술적 측면=122,124,2

2.4.4. 지하수관리 필요지역 제안 및 관리방안=124,126,2

2.4.5. 제언 및 발전방향=126,128,1

III. 농촌지하수관리 시스템 구축ㆍ운영=127,129,3

3.1. 배경=129,131,1

3.2. 목표=129,131,1

3.3. 운영 계획=130,132,1

3.3.1. 개시일자=130,132,1

3.3.2. 접속방법=130,132,1

3.3.3. 운영방법=130,132,1

3.3.4. 유지관리 계획=131,133,1

3.3.5. 교육 및 홍보계획=131,133,1

3.4. 정보서비스내역=132,134,1

3.5. 기대효과=133,135,1

3.6. 시스템 활용방법=134,136,1

3.6.1. 시스템 구성도=134,136,1

3.6.2. 시스템 기능=135,137,1

3.6.3. 시스템 활용=136,138,17

용어해설=153,155,12

참고문헌=165,167,8

자문결과=173,175,8

과업참여자=181,183,1

[판권지]=182,184,1

표목차

(표 1-1-1)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14,16,1

(표 1-1-2) 용수구역별 행정구역 현황=16,18,1

(표 1-1-3)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18,20,1

(표 1-1-4) 토지이용 변화 추이=19,21,1

(표 1-1-5) 행정구역별 지질분포 면적=20,22,1

(표 1-1-6) 수문지질단위 분류=21,23,1

(표 1-1-7) SCS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에 의한 토양분포 면적=22,24,1

(표 1-1-8) 조사지구내 토양군 분류=23,25,1

(표 1-1-9) 농가 및 경지면적 현황=24,26,1

(표 1-1-10) 읍면별 사업체 현황=25,27,1

(표 1-1-11) 광업 현황=26,28,1

(표 1-1-12) 산업단지 및 농공단지=26,28,1

(표 1-1-13) 읍면별 지하수이용현황=27,29,1

(표 1-1-14) 읍면별 단위면적당 지하수이용현황=30,32,1

(표 1-1-15) 구경별 현황=31,33,1

(표 1-1-16) 심도별 현황=31,33,1

(표 1-1-17) 지하수 폐공 발생 원인별 현황=33,35,1

(표 1-1-18) 점오염원 분포현황=35,37,1

(표 1-1-19) 지하수 기 조사현황=39,41,1

(표 1-1-20) 부안군 수맥조사 현황=40,42,1

(표 1-1-21) 시설진단 내역=41,43,1

(표 1-2-1) 지하수 수위변화 현황=43,45,1

(표 1-2-2) 읍면별 수리상수 분포현황=44,46,1

(표 1-2-3) 지질별 암반대수층의 수리특성=45,47,1

(표 1-2-4) 지하수 함양율=48,50,1

(표 1-2-5) 소유역별 지하수 평균함양량 산정=50,52,1

(표 1-2-6) 읍면별 지하수 함양량=51,53,1

(표 1-2-7) 유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53,55,1

(표 1-2-8) 읍면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55,57,1

(표 1-2-9) 충적 및 암반지하수 이화학분석결과=56,58,1

(표 1-2-10) 읍면별 지하수유형=59,61,1

(표 1-2-11) 주변환경에 따른 질산성질소의 질소오염원 구성비=60,62,1

(표 1-2-12) 읍면별 질산성질소 현황=61,63,1

(표 1-2-13) 2001 토양측정망 운영결과(환경부)=62,64,1

(표 1-2-14) 부안군 토양분석 결과=63,65,1

(표 1-2-15) 지하수 개발공수 및 이용량 변화=65,67,1

(표 1-2-16) 지하수오염예측도 등급 분류표=69,71,1

(표 1-2-17) 행정구역별 지하수오염예측등급 면적비=70,72,1

(표 2-1-1) 읍면별 지하수 개발ㆍ이용 특성=101,103,1

(표 2-1-2) 지하수 개발ㆍ이용 항목에 따른 동리별 순위=102,104,1

(표 2-2-1) 지하수 용도별 수질검사결과=104,106,1

(표 2-2-2) 읍면별 질산성질소 일제조사 현황=104,106,1

(표 2-2-3) 읍면별 지하수 수질환경 특성=107,109,1

(표 2-2-4) 지하수 수질환경 특성에 따른 동리별 순위=108,110,1

(표 2-2-5) 생활용수기준 초과관정 현황=109,111,1

(표 2-3-1) 부안군 관내 지하수 수질 측정망(2003, 환경부)=111,113,1

(표 2-3-2) 부안군 관내 국가 지하수관측망 설치현황(2003, 12 현재)=112,114,1

(표 2-3-3) 보조 지하수 관측정 설치 제안=113,115,1

(표 2-3-4) 관측정 설치방법 장ㆍ단점 비교=114,116,1

(표 2-3-5) 수동 지하수 관측정 후보지(안)=115,117,1

(표 2-4-1) 지하수보전구역의 지정범위=117,119,1

(표 2-4-2) 지하수관리 필요지역 제안(안)=125,127,1

그림목차

(그림 1-1-1)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14,16,1

(그림 1-1-2) 인구추이=15,17,1

(그림 1-1-3) 용수구역별 행정구역 현황도=17,19,1

(그림 1-1-4) 지목별 토지이용현황=18,20,1

(그림 1-1-5) 토지이용 변화추이=19,21,1

(그림 1-1-6) 지질도=20,22,1

(그림 1-1-7) 토양도=22,24,1

(그림 1-1-8) 농가 및 경지면적 현황=24,26,1

(그림 1-1-9) 년도별 사업체 증가 추이=25,27,1

(그림 1-1-10) 용도별 지하수이용현황=27,29,1

(그림 1-1-11) 읍면별/용도별 지하수이용현황=28,30,1

(그림 1-1-12) 읍면별 단위면적당 지하수 이용현황=29,31,1

(그림 1-1-13) 읍면별 단위면적당 지하수 개발현황=29,31,1

(그림 1-1-14) 구경별 지하수 개발현황=31,33,1

(그림 1-1-15) 심도별 지하수 개발현황=31,33,1

(그림 1-1-16) 부안군 현장조사관정 위치도=32,34,1

(그림 1-1-17) 원인별 폐공현황=33,35,1

(그림 1-1-18) 되메움 절차=34,36,1

(그림 1-1-19) 점오염원 분포 현황=35,37,1

(그림 1-1-20) 점오염원 위치도=36,38,1

(그림 1-1-21) 지하수 기 조사 현황도=39,41,1

(그림 1-2-1)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2D)=42,44,1

(그림 1-2-2)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3D)=42,44,1

(그림 1-2-3) 읍면별 암반지하수의 수리특성=44,46,1

(그림 1-2-4) 지질별 암반지하수 평균심도 및 양수량=46,48,1

(그림 1-2-5) 지질별 암반지하수 투수량계수, 수리전도도 및 비양수량=46,48,1

(그림 1-2-6) 수계, DEM 및 유역구분도=49,51,1

(그림 1-2-7) 소유역별 지하수 함양량 비교=50,52,1

(그림 1-2-8) 읍면별 지하수 함양량=51,53,1

(그림 1-2-9) 지하수 이용량 대 적정개발가능량=52,54,1

(그림 1-2-10) 유역별 지하수 이용량 및 개발가능량=52,54,1

(그림 1-2-11) 지하수 이용량 대 적정개발가능량=54,56,1

(그림 1-2-12) 읍면별 지하수 이용량 및 개발가능량=54,56,1

(그림 1-2-13) 대수층별 읍면별 지하수의 Piper Diagram=58,60,1

(그림 1-2-14) 질산성질소 농도 분포 및 동위원소 조사관정 위치도=60,62,1

(그림 1-2-15) 주변환경에 따른 질소오염원 구성비=60,62,1

(그림 1-2-16) 농경지토양오염조사 현황=62,64,1

(그림 1-2-17) 지하수 이용 비율=64,66,1

(그림 1-2-18) 년도별 지하수개발ㆍ이용지하수조사연보 (1997~2002, 건설교통부)=64,66,1

(그림 1-2-19) 신규관정 개발추이=65,67,1

(그림 1-2-20) 년도별 지하수 이용실태=66,68,1

(그림 1-2-21) 용도별 지하수 이용량 추이=66,68,1

(그림 1-2-22) 지하수 이용전망 추세=67,69,1

(그림 1-2-23) 지하수오염예측도=68,70,1

(그림 1-2-24) 지하수오염예측도 등급별 면적비=68,70,1

(그림 1-2-25) 지하수오염예측도 작성 모식도=69,71,1

(그림 2-1-1) 단위면적당 지하수이용량(천㎥/년/㎢)=99,101,1

(그림 2-1-2) 단위면적당 관정밀도도(공/㎢)=99,101,1

(그림 2-1-3) 지하수 수량관리 방안=100,102,1

(그림 2-2-1) 수질기준 초과관정 위치=103,105,1

(그림 2-2-2) 질산성질소 일제조사 현황=103,105,1

(그림 2-2-3) 지하수 전기전도도가 높은 지역=105,107,1

(그림 2-2-4) 지하수 수질관리 방안=106,108,1

(그림 2-3-1) 지하수 수위 및 수질 관측망 위치=111,113,1

(그림 2-4-1) 지하수보전구역 지정 체계도=116,118,1

칼라목차

jpg

(그림 1-1-1)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14,16,1

(그림 1-1-3) 용수구역별 행정구역 현황도=17,19,1

(그림 1-1-4) 지목별 토지이용현황=18,20,1

(그림 1-1-6) 지질도=20,22,1

(그림 1-1-7) 토양도=22,24,1

(그림 1-1-8) 농가 및 경지면적 현황=24,26,1

(그림 1-1-11) 읍면별/용도별 지하수이용현황=28,30,1

(그림 1-1-14) 구경별 지하수 개발현황=31,33,1

(그림 1-1-15) 심도별 지하수 개발현황=31,33,1

(그림 1-1-16) 부안군 현장조사관정 위치도=32,34,1

(그림 1-1-17) 원인별 폐공현황=33,35,1

(그림 1-1-19) 점오염원 분포 현황=35,37,1

(그림 1-1-20) 점오염원 위치도=36,38,1

(그림 1-2-1)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2D)=42,44,1

(그림 1-2-2)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3D)=42,44,1

(그림 1-2-6) 수계, DEM 및 유역구분도=49,51,1

(그림 1-2-8) 읍면별 지하수 함양량=51,53,1

(그림 1-2-9) 지하수 이용량 대 적정개발가능량=52,54,1

(그림 1-2-11) 지하수 이용량 대 적정개발가능량=54,56,1

(그림 1-2-14) 질산성질소 농도 분포 및 동위원소 조사관정 위치도=60,62,1

(그림 1-2-15) 주변환경에 따른 질소오염원 구성비=60,62,1

(그림 1-2-16) 농경지토양오염조사 현황=62,64,1

(그림 1-2-17) 지하수 이용 비율=64,66,1

(그림 1-2-18) 년도별 지하수개발ㆍ이용지하수조사연보(1997~2002, 건설교통부)=64,66,1

(그림 1-2-19) 신규관정 개발추이=65,67,1

(그림 1-2-23) 지하수오염예측도=68,70,1

(그림 1-2-24) 지하수오염예측도 등급별 면적비=68,70,1

(그림 2-1-1) 단위면적당 지하수이용량(천㎥/년/㎢)=99,101,1

(그림 2-1-2) 단위면적당 관정밀도도(공/㎢)=99,101,1

(그림 2-2-1) 수질기준 초과관정 위치=103,105,1

(그림 2-2-2) 질산성질소 일제조사 현황=103,105,1

(그림 2-2-3) 지하수 전기전도도가 높은 지역=105,107,1

3.6.1. 시스템 구성도=134,136,1

부록

346

목차

[표제지 등]=0,1,2

목차=1,3,2

1. 일반현황=3,5,2

1.1. 행정현황=5,7,6

1.2. 하천현황=11,13,4

2. 지하수현황=15,17,2

2.1. 현황조사 관정내역=17,19,154

2.2. 기설관정 지층내역=171,173,6

3. 잠재오염원현황=177,179,2

3.1. 오수배출시설=179,181,6

3.2. 폐수배출시설=185,187,4

3.3. 유류저장시설=189,191,4

3.4. 매립장=193,195,4

4. 특성분석=197,199,2

4.1. 순간수위변화시험=199,201,16

4.2. 양수시험=215,217,12

4.3. 지하수 함양량 산정=227,229,8

4.4. 양ㆍ음이온 분석=235,237,20

4.5. 동위원소 분석=255,257,8

4.6. 수질검사 내역=263,265,10

4.7. 농경지 토양오염분석=273,275,4

4.8. 물리탐사=277,279,22

4.9. 물리검층=299,301,8

5. 추세분석 및 예측=307,309,2

5.1. 축산현황 및 가축에 의한 오염부하량=309,311,16

5.2. 토지이용현황 및 토지이용에 의한 오염부하량=325,327,8

5.3. 인구현황 및 인구에 의한 오염부하량=333,335,6

6. 지하수모니터링=339,341,2

6.1. 보조 지하수 관측정 산정=341,343,4

칼라목차

jpg

1.2. 하천현황=13,15,1

(현장조사관정 위치도)=19,21,1

주변환경에 따른 δN(‰)값의 빈도=259,261,1

(수질검사 위치도)=265,267,1

4.8. 물리탐사=279,281,19

이용현황보기

농촌지하수관리사업 보고서 : 부안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76385 628.114 ㄴ293ㄴ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76386 628.114 ㄴ293ㄴ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