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i,3,4
표차례=iv,6,4
그림차례=vii,9,3
요약문(국문)=x,12,34
SUMMARY=xliv,46,2
제1장 서론=1,48,1
제1절 연구의 필요성=1,48,1
1. 행정관리 패러다임의 변화=1,48,2
2. 거버넌스와 "좋은 정부"에 대한 기대=2,49,2
3.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3,50,2
4.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민간참여 요구 증대=4,51,3
5. 과학기술기본법 관련조항에 대한 후속조치의 필요성=6,53,2
제2절 연구의 목표=7,54,2
제3절 연구방법=8,55,3
제2장 과학기술정책과 거버넌스=11,58,1
제1절 과학기술정책의 성격변화=11,58,1
1. 과학기술정책 특성=11,58,4
2. 과학기술 자체의 성격변화=14,61,3
3.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16,63,7
4. 과학기술정책의 환경변화=22,69,12
5. 현행 과학기술정책 참여 현황=33,80,5
제2절 과학기술정책과 거버넌스 이론=37,84,5
제3절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거버넌스 분석=41,88,1
1. 과학기술정책의 유형구분:참여자 중심=41,88,4
2. 제1기:관료주도기=44,91,5
3. 제2기:관료-전문가 협력기=48,95,5
4. 제3기:참여거버넌스기=52,99,4
제4절 정책적 시사점=55,102,2
제3장 정부 정책과정과 민간참여 실태=57,104,1
제1절 정책과정과 민간참여 유형=57,104,2
1. 정책과정과 민간참여의 필요성=58,105,4
2. 정책과정과 민간참여 유형=61,108,5
3. 정책과정에의 민간참여 효과=65,112,3
4. 우리나라 정책과정과 민간참여=67,114,3
제2절 중앙부처 정책과정과 민간참여 현황=69,116,1
1. 민간참여 유형 분석틀=69,116,3
2. 우리나라 정책과정별 민간참여제도 현황=71,118,10
제3절 민간참여제도 평가=80,127,3
제4장 외국의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민간참여 형태=83,130,3
제1절 시민참여 필요성과 한계에 관한 이론=85,132,1
1. 시민참여에 관한 참여민주주의자의 견해=85,132,5
2. 시민참여에 관한 자유민주주의자의 견해=89,136,3
3. 과학기술정책에 있어서 시민참여=91,138,3
제2절 과학기술정책시민참여모델=93,140,1
1. 규제교섭모델(Regulatory Negotiation Model)=93,140,3
2. 포커스 그룹(Focus Groups)=95,142,2
3. 시나리오 워크숍(Senario Workshop)=96,143,3
4. 시민배심원모델(Citizen Jury Model)=98,145,2
5. 시민자문위원회(Planning Cells)=100,147,3
6. 합의회의(Consensus Conference)=102,149,3
제3절 분석틀=104,151,3
1. 의제설정=106,153,1
2. 참여자:대표성과 개방성=107,154,1
3. 운영방식:투명성 및 적절성=107,154,2
4. 참여결과:유용성=108,155,2
제4절 과학기술정책 시민참여모델의 평가=109,156,1
1. 의제설정=109,156,4
2. 참여자=112,159,4
3. 운영방식=115,162,7
4. 참여결과=121,168,8
제5절 외국 민간참여모델 평가의 정책적 함의=128,175,4
제5장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민간참여 확대방안=132,179,1
제1절 전문가 대상 조사=132,179,1
1. 조사방법=132,179,7
2. 조사분석의 결과=138,185,25
제2절 민간참여에 대한 설문조사=163,210,1
1. 조사방법 및 표본의 일반적 특성=163,210,4
2.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적 인식조사 결과=166,213,11
3. 정부정책 참여경험에 대한 집단별 분석=176,223,28
4. 정책과정별 민간참여 유형=203,250,6
5. 정책참여 유형에 따른 효과성 조사=208,255,7
제3절 민간참여 확대방안 시스템 설계=215,262,2
1. 민간참여 시스템 설계를 위한 전제=216,263,6
2. 정책과정별 시민참여 수단=221,268,6
3. 정책과정별 민간참여 시스템=227,274,20
4. 민간참여 시스템의 특징 및 정책적 함의=246,293,1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247,294,7
참고문헌=254,301,6
부록=260,307,29
[그림 4-1] 과학기술정책 민간참여 기본모형=104,151,1
[그림 5-1] 과학기술정책 민간참여에 대한 인식=139,186,1
[그림 5-2] 과학기술정책 민간참여의 찬성에 대한 논거=140,187,1
[그림 5-3] 과학기술정책 민간참여의 반대에 대한 논거=141,188,1
[그림 5-4] 과학기술자들의 정책참여의 문제점=143,190,1
[그림 5-5] 민간기업들의 정책참여의 문제점=148,195,1
[그림 5-6] 시민단체들의 정책참여의 문제점=153,200,1
[그림 5-7] 일반국민들의 정책참여의 문제점=159,206,1
[그림 5-8] 최종학력=164,211,1
[그림 5-9] 직업=165,212,1
[그림 5-10] 세부직업=166,213,1
[그림 5-11]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적 인식=167,214,1
[그림 5-12]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참여와 관련된 문제점=168,215,1
[그림 5-13] 과학기술정책에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경우의 장점=169,216,1
[그림 5-14] 과학기술정책에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경우의 단점=170,217,1
[그림 5-15] 과학기술정책 참여에 대한 인식도 평가=172,219,1
[그림 5-16] 정책과정에서 일반시민참여가 가장 필요한 곳=173,220,1
[그림 5-17] 정책과정에서 전문가참여가 가장 필요한 곳=174,221,1
[그림 5-18] 정책과정에서 시민단체참여가 가장 필요한 곳=175,222,1
[그림 5-19] 정책과정에서 기업참여가 가장 필요한 곳=176,223,1
[그림 5-20] 입법예고에 대한 집단별 분석=177,224,1
[그림 5-21] 정책고객관리에 대한 집단별 분석=178,225,1
[그림 5-22] 행정정보공개에 대한 집단별 분석=179,226,1
[그림 5-23] 인터넷 게시판 등 의견수렴에 대한 집단별 분석=180,227,1
[그림 5-24] 인터넷 정책포럼에 대한 집단별 분석=181,228,1
[그림 5-25] 정책만족도조사에 대한 집단별 분석=182,229,1
[그림 5-26] 고객평가제에 대한 집단별 분석=183,230,1
[그림 5-27] 정책여론조사에 대한 집단별 분석=184,231,1
[그림 5-28] 온라인투표에 대한 집단별 분석=186,233,1
[그림 5-29] 자문위원회에 대한 집단별 분석=187,234,1
[그림 5-30] 정책토론회에 대한 집단별 분석=189,236,1
[그림 5-31] 정책모니터링 및 평가에 대한 집단별 분석=190,237,1
[그림 5-32] 정책제안에 대한 집단별 분석=191,238,1
[그림 5-33] 공청회에 대한 집단별 분석=192,239,1
[그림 5-34] 정책개발을 위한 민관합동위원회에 대한 집단별 분석=194,241,1
[그림 5-35] 민관합동 정책집행에 대한 집단별 분석=195,242,1
[그림 5-36]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 가입에 대한 집단별 분석=197,244,1
[그림 5-37] 인터넷 청원에 대한 집단별 분석=198,245,1
[그림 5-38] 정부정책에 관한 인터넷 자료조사에 대한 집단별 분석=199,246,1
[그림 5-39] 지난 3년간 공무원의 참여유형=201,248,1
[그림 5-40] 지난 3년간 과학기술자의 참여유형=201,248,1
[그림 5-41] 지난 3년간 산업체의 참여유형=202,249,1
[그림 5-42] 지난 3년간 일반시민의 참여유형=202,249,1
[그림 5-43] 지난 3년간 직업별 참여유형=203,250,1
[그림 5-44] 지난 3년간 시민참여 경험빈도 순위=208,255,1
[그림 5-45] 정책발전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인식도=210,257,1
[그림 5-46] 시민단체에서 과학기술정책에 적극 참여하려는 태도에 대한 인식=211,258,1
[그림 5-47] 시민단체에서 과학기술정책참여가 바람직하지 못한 이유(1순위)=212,259,1
[그림 5-48] 일부 과학기술자가 자문위원 혹은 심의위원 등 참여에 대한 인식=213,260,1
[그림 5-49] 일부 과학기술자의 자문위원 혹은 심의위원 참여방식이 바람직하지 못한 이유(1순위)=214,261,1
[그림 5-50] 의제설정 참여 시스템 절차=231,278,2
[그림 5-51] 정책형성 참여 시스템 절차=236,283,1
[그림 5-52] 정책집행 참여 시스템 절차=239,286,2
[그림 5-53] 정책평가 참여 시스템 절차=242,289,1
[그림 5-54] 정책과정 참여 시스템 절차=243,290,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