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2,2,1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이연희=3,3,1

Project Summary/Lee,Yeonhee=4,4,1

목차=5,5,1

제1장 서론=6,6,2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8,8,3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11,11,1

목차=12,12,5

1. 용어의 정의=17,17,2

2. 국가항생제내성 안전관리 사업 대상 세균과 항생제=19,19,5

3. 검체 수집 시 고려사항=24,24,1

3.1. 검체 수집 장소=24,24,1

3.2. 검체 수(sample size)=24,24,1

3.3. 검체 대상=24,24,1

3.4. 검체종류=25,25,1

4. 세균의 분리 및 동정법=25,25,1

4.1. Aeromonas=25,25,1

4.2. Bacillus cereus=25,25,2

4.3. Camphylobacter=26,26,14

4.4. Clostridium perfringens=39,39,1

4.5. 장구균 (Enterococci)=39,39,3

4.6. Escherichia coli=41,41,5

4.7. Diarrheagenic E. coli=45,45,6

4.8. Listeria=50,50,4

4.9. Salmonella=53,53,7

4.10. Shigella=59,59,5

4.11. 황색포도알균 (Staphylococcus areus)=63,63,4

4.12. Vibrio=66,66,3

4.13. Vibrio parahaemolyticus=68,68,6

4.14. Yersinia enterocolitica 와 Y. pseudotuberculosis=73,73,8

부록 I 배지 조성=81,81,41

5. 항균제 디스크 감수성 검사의 표준실시 방법=122,122,1

5.1. 서론=122,122,1

5.2. 감수성 검사 실시에 있어서 고려 사항들=122,122,1

5.3. 통상검사와 결과보고를 위한 항균제 디스크의 선택=123,123,1

5.3.1. 검사 결과의 보고=123,123,1

5.3.2. 항균제의 일반명=123,123,3

5.3.3. 선택지침=125,125,1

5.3.4. 통상적인 항균제 검사 및 선택적인 항균제 검사의 보고 지침=125,125,2

5.4. 디스크 확산법에 필요한 시약=126,126,1

5.4.1. Muller-Hinton 우무배지=126,126,3

5.4.2. 항균제 디스크의 보관=128,128,1

5.4.3. 접종을 위한 혼탁도 기준=128,128,2

5.5. 접종액의 준비=129,129,1

5.5.1. 배양방법=129,129,1

5.5.2. 집락의 직접 부유법=129,129,1

5.5.3. 우무배지에 균주 접종=129,129,2

5.5.4. 균이 접종된 우무평판배지에 디스크 넣기=130,130,1

5.6. 평판배지의 판독 및 결과 해석=130,130,2

5.7. 배양이 까다롭거나 문제시 되는 세균=131,131,1

5.7.1. Haemophilus 균종=131,131,2

5.7.2. 임균(Neisseria gonorrhaeae)=132,132,2

5.7.3. 폐렴사슬알균 (S. pneumoniae)과 그 외의 사슬알균종 (Streptoccus)=133,133,2

5.7.4. 내성 포도알균 (Sraphylococcus)의 검사=134,134,2

5.7.5. 내성 장알균 (Enterococci)의 검사=135,135,2

5.7.6. 광범위 β-Lactamase를 산생하는 그람음성 세균의 검색=136,136,1

5.8. β-lactamase 검사=136,136,1

5.8.1. 목적=136,136,1

5.8.2. β-lactamase 검사의 목적=136,136,2

5.9. 디스크 확산법 결과의 해석=137,137,1

5.9.1. 억제대 해석의 기준=137,137,1

5.9.2. 해석의 범주=137,137,2

5.10. 정도관리 절차=138,138,1

5.10.1. 목적=138,138,1

5.10.2. 정도관리를 위한 참조 균주=138,138,2

5.10.3. 정도관리 균주의 보존=139,139,1

5.10.4. 억제대의 정도 관리=139,139,3

5.11. 디스크 확산법의 한계점=142,142,1

5.11.1. 여러 가지 균종에 따른 적용=142,142,1

5.11.2. 잘못된 결과들=142,142,1

5.11.3. 내성의 출현=142,142,1

5.11.4. 정도관리 확인의 방법=142,142,2

부록 II 디스크확산법의 해석기준=144,144,60

6. 산소성 세균 (Aerobic bacteria)의 항균제 감수성 검사-희석법=204,204,1

6.1.개요=204,204,1

6.1.1. 범위=204,204,1

6.1.2. 개념=204,204,2

6.2.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위한 주의사항=205,205,2

6.3. 항균제=206,206,1

6.3.1. 구입과 보관=206,206,1

6.3.2. 항균제의 분말의 계량=206,206,3

6.3.3. 항균제 보존용액 준비=208,208,1

6.3.4. 검사하고자 하는 항균제 농도의 수=208,208,2

6.4. 통상적인 검사와 보고를 위한 항균제의 선택=209,209,1

6.4.1. 검사결과의 보고=209,209,1

6.4.2. 항균제의 일반명=209,209,4

6.4.3. 항균제 선택지침=212,212,2

6.5. 정도관리 절차(Quality control)=213,213,1

6.5.1. 목적=213,213,1

6.5.2. 정도관리를 위한 참조균주=213,213,2

6.5.3. 정도관리 균주의 보존=214,214,2

6.6. 항균제 희석법을 위한 접종액 준비=215,215,1

6.6.1. 접종액 준비를 위한 표준 혼탁도=215,215,1

6.6.2. 배양법=215,215,2

6.6.3. 집락의 직접 부유법=216,216,1

6.7. 우무희석법 (Agar dilution method)=216,216,1

6.7.1. 시약과 검체=216,216,2

6.7.2. 우무희석평판의 준비 (Preparation of agar dilution)=217,217,2

6.7.3. 균 접종 준비=218,218,2

6.7.4. 우무 희석평판배지에 균의 접종=219,219,1

6.7.5. 우무배지의 배양=219,219,1

6.7.6. 우무희석법에서 종결점 (end-point)의 결정=220,220,1

6.8. 액체배지 희석과정 (시험관 희석법과 미량희석법)=220,220,1

6.8.1. Mueller-Hinton 액체배지=220,220,3

6.8.2. 희석된 항균제의 준비와 보존=222,222,2

6.8.3. 액체배지 희석 검사=223,223,2

6.9. 배양하기 까다로운 균들=224,224,2

6.9.1. 헤모필루스 균종=225,225,2

6.9.2. 임균(Neisseria gonorrhoeae)=226,226,2

6.9.3. 폐렴사슬알균과 기타 사슬알균=227,227,2

6.10. 내성이 문제 되는 균종들=228,228,1

6.10.1. 포도알균=228,228,3

6.10.2. 장알균=230,230,2

6.10.3. 광범위 β-lactamase(ESBL) 산생 그람음성 막대균=231,231,2

6.11. β-Lactamase 검사=232,232,1

6.11.1. 검사 목적=232,232,1

6.11.2. β-Lactamase 검사방법의 종류 선택=232,232,1

6.12. MIC결과의 보고=233,233,1

6.12.1. 감수성=233,233,1

6.12.2. 중등도 내성=233,233,1

6.12.3. 내성=233,233,1

6.13. 정도관리 절차=233,233,1

6.13.1. 목적=233,233,2

6.13.2. 정도관리 책임능력들=234,234,1

6.13.3. 정도관리를 위한 참조균주=234,234,3

6.13.4. 정도관리 균주의 보존=236,236,2

6.13.5. 배치 또는 로트(lot)의 정도관리=237,237,2

6.13.6. MIC 정도관리 한계=238,238,1

6.13.7. 정도관리 검사의 빈도=238,238,2

6.13.8. 선별검사를 위한 정도관리 검사의 빈도=239,239,1

6.13.9. 교정조치=239,239,3

6.13.10. 범위를 벗어났을 때의 환자에 대한 결과 보고=241,241,1

6.13.11. 환자 결과의 검증=241,241,2

6.13.12. 다른 관리 과정들=242,242,1

6.14. 희석 검사방법의 한계=242,242,1

6.14.1. 다양한 세균 종에 대한 적용=242,242,2

6.14.2. 잘못된 결과=243,243,1

6.14.3. 내성의 출현=243,243,1

6.15. 선별 검사=243,243,1

부록III 산소성 세균(Aerobic bacteria)의 희석법에 의한 MIC 해석기준=244,244,65

7. 항생제 내성 경향 및 전파경로 조사법 확립=309,309,1

7.1. Plasmid profile 분석법=309,309,1

7.1.1. Plasmid DNA의 분리=309,309,4

7.2. Plasmid DNA=312,312,2

7.3.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근거한 방법=313,313,1

7.3.1.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분석법=313,313,4

7.3.2. REP-PCR(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PCR) 분석법=316,316,2

7.4 Ribotyping=317,317,3

7.5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PFGE)=319,319,1

7.5.1. PFGE의 방법=319,319,6

7.5.2. PFGE용 각종 완충용액들=324,324,2

7.6.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325,325,1

7.6.1. Staphylococcus aureus=326,326,3

7.6.2. Neisseria meningitidis=328,328,3

8. 결과의 보고 및 보관=331,331,2

9. 외국의 표준화된 방법=332,332,9

10. 기타 참고문헌=340,340,4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344,344,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345,345,2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해당사항 없음=346,346,1

참고문헌=347,347,3

총괄 연구과제 요약=350,3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