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6

목차=vii,9,10

제1장 총괄=1,19,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1,19,2

2. 연구의 범위=2,20,1

2.1. 붕어에 대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영향조사=2,20,1

2.2. 황소개구리에 대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영향조사=2,20,1

2.3. 붕어 및 황소개구리의 비텔로제닌 측정=2,20,2

2.4. 붕어 및 황소개구리의 내분비계 장애물질(EDCs) 축적실태조사=3,21,1

2.5. 다이옥신 및 Co-planar PCBs 축적실태조사=3,21,1

3. 연구 결과=3,21,1

3.1. 붕어에 대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영향조사=3,21,2

3.2. 황소개구리에 대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영향조사=4,22,2

3.3. 붕어 및 황소개구리의 비텔로제닌 측정=5,23,1

3.4. 붕어 및 황소개구리의 내분비계 장애물질(EDCs) 축적실태조사=6,24,4

3.5. 붕어 및 황소개구리의 다이옥신 및 co-planar PCBs 축적실태조사=9,27,1

3.6. 일본 연구 결과 SPEED 98과의 비교=10,28,1

4. 결론=11,29,4

제2장 연구내용=15,33,1

I. 세부과제명:어류(붕어)에 대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영향조사=15,33,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15,33,2

2. 연구내용 및 방법=16,34,1

2.1. 어류 채집 및 분석용 시료의 전처리=17,35,1

가. 조사 대상종 및 조사지역=17,35,1

나. 채집 방법=17,35,1

다. 조사 기간,횟수,개체수 및 일련번호 기재=17,35,2

라. 어류의 외부형태형질 조사=18,36,1

마. 성비 및 생식소중량지수(GSI) 조사=18,36,3

바. 분석용 시료의 전처리=20,38,1

1) 비텔로제닌 측정용 시료=20,38,2

2) 내분비계장애물질 분석용 시료=21,39,1

3) 조직검사용 시료=21,39,1

2.2. 생식기관의 조직검사=21,39,1

가. 생식소 조직표본 개수=21,39,2

나. 생식소 발달단계=22,40,1

다. 성비=22,40,1

라. 광학현미경 관찰용 생식소 조직표본 제작=22,40,2

마. 이성생식세포 보유개체 판정=23,41,2

3. 결과=25,43,1

3.1. 주변지역의 수환경=25,43,1

가. 한강수계=25,43,1

나. 낙동강수계=25,43,1

다. 금강수계=25,43,1

라. 영산강수계=25,43,1

마. 기타=25,43,3

3.2. 성비=28,46,1

3.3. 생식소중량지수(GSI)=29,47,3

3.4. 생식소 발달단계=31,49,1

가. 난소=31,49,2

나. 정소=32,50,6

3.5. 이성생식세포 보유개체=38,56,7

4. 고찰=45,63,3

5. 참고문헌=48,66,7

II. 세부과제명:양서류(황소개구리)에 대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영향조사=55,73,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55,73,1

2. 연구내용 및 방법=55,73,1

2.1. 조사지점 및 일정=55,73,1

가. 조사지점=55,73,2

나. 채집지점의 환경=56,74,1

1) 한강수계=56,74,1

2) 낙동강수계=57,75,1

3) 금강수계=57,75,1

4) 영산강수계=57,75,1

5) 기타수계=57,75,2

다. 조사일정=58,76,1

2.2. 조사방법=58,76,1

가. 황소개구리의 채집,분석용 시료의 전 처리 및 일련번호 기재=58,76,2

나. 황소개구리의 외부형태조사=59,77,1

다. 황소개구리 생식소 외형의 이상 유무조사=59,77,1

라. 생식기관내 조직학적 정상유무의 판단을 위한 표본제작 및 조직검사=59,77,2

마. 혈액 및 근육 채취=60,78,1

3. 결과=60,78,1

3.1. 황소개구리의 개체 수 및 암ㆍ수 비율조사=60,78,2

3.2. 내분비계 장애물질 분석용 시료 공급=61,79,2

3.3 채집된 황소개리의 체중 및 체장 측정=62,80,3

3.4 황소개구리의 체장 및 뒷다리 길이 측정=64,82,3

3.5 황소개구리의 체중,생식소 무게,생식소중량지수(GSI)=66,84,3

3.6. 황소개구리 외부형태의 이상 유무조사=68,86,2

3.7. 황소개구리 생식소 외형의 이상 유무조사=69,87,2

3.8. 황소개구리 생식소 내의 이상 유무조사=70,88,3

4. 고찰=72,90,3

5. 참고문헌=74,92,9

III. 세부과제명:어류 및 양서류의 비텔로제닌(Vitellogenin) 측정=83,101,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83,101,1

2. 연구내용 및 방법=83,101,1

2.1. 연구내용=83,101,1

2.2. 연구방법=83,101,1

3. 연구추진전략 및 방법=83,101,1

3.1. 조사기간:2003년 5월 ∼ 2004년 3월.=83,101,1

3.2. 조사횟수=84,102,1

3.3. 조사방법=84,102,1

가. 혈액샘플 채취=84,102,1

나.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실험=84,102,1

4. 결과=84,102,15

5. 고찰=99,117,11

6. 참고문헌=110,128,1

IV. 세부과제명:어류 및 양서류의 EDCs 축적실태조사=111,129,1

1. 연구목표=111,129,1

2. 연구내용 및 방법=111,129,1

2.1.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112,130,1

가. 시약 및 기구=112,130,1

1) 시약=112,130,2

2) 기구 및 장치=113,131,1

나. 분석과정=114,132,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114,132,1

① 분석방법 흐름도=114,132,1

② 시료 전처리 과정=114,132,1

③ 시료분석조건=115,133,2

2) 검출한계(MDL)=116,134,2

3) 검량선=117,135,2

4) GC-MSD 크로마토그램=119,137,13

5) 회수율=132,150,2

다. 결과 및 고찰=134,152,9

라. 참고문헌=142,160,2

2.2. Chlorinated pesticides(4종),DDT(6종),Endosulfan(2종),Chlordane(2종)=144,162,1

가. 시약 및 기구=144,162,1

1) 시약=144,162,1

2) 기구 및 장치=144,162,1

나. 분석과정=144,162,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144,162,1

① 분석방법 흐름도=144,162,2

② 시료 전처리 과정=146,164,1

③ 시료분석조건=147,165,2

2) 검출한계(MDL)=148,166,2

3) 검량선=149,167,4

4) GC-MSD 크로마토그램=152,170,6

5) 회수율=157,175,2

다. 결과 및 고찰=158,176,7

라. 참고 문헌=164,182,2

2.3. Atrazin,Metribuzin,Alachlor,Malathion,Nitrofen,Triflularin,Cypermetrin,Fenvalerate,Permethrin(9종)=166,184,1

가. 시약 및 기구=166,184,1

1) 시약=166,184,1

2) 기구 및 장치=166,184,1

나. 분석과정=166,184,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166,184,1

① 분석방법 흐름도=167,185,1

② 시료 전처리 과정=167,185,2

③ 시료분석조건=169,187,2

2) 검출한계(MDL)=170,188,2

3) 검량선=171,189,2

4) GC/MS 크로마토그램=173,191,7

5) 회수율=180,198,1

다. 결과 및 고찰=180,198,8

라. 참고문헌=187,205,1

2.4. Phthalates(8)=188,206,1

가. 시약 및 기구=188,206,1

1) 시약=188,206,1

2) 기구 및 장치=188,206,2

나. 분석과정=189,207,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189,207,1

① 분석방법 흐름도=189,207,1

② 시료 전처리 과정=189,207,2

③ 시료분석조건=190,208,1

2) 검출한계(MDL) 산출=191,209,1

3) 검량선=191,209,2

4) GC-MSD 크로마토그램=193,211,5

5) 회수율=198,216,1

다. 결과 및 고찰=199,217,5

2.5. Di(2-ethylhexyl)adipate (DEHA)=204,222,1

가. 시약 및 기구=204,222,1

1) 시약=204,222,1

2) 기구 및 장치=204,222,1

나. 분석과정=204,222,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204,222,1

① 분석방법 흐름도=204,222,2

② 시료 전처리 과정=205,223,1

③ 시료분석조건=206,224,1

2) 검출한계(MDL) 산출=206,224,1

3) 검량선=206,224,2

4) GC-MSD 크로마토그램=207,225,2

5) 회수율=208,226,1

다. 결과 및 고찰=208,226,3

2.6. Benzophenone,4-Nitrotoluene=211,229,1

가. 시약 및 기구=211,229,1

1) 시약=211,229,1

2) 기구 및 장치=211,229,1

나. 분석과정=211,229,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211,229,1

① 분석방법 흐름도=211,229,2

② 시료 전처리 과정=212,230,1

③ 시료분석조건=213,231,1

2) 검출한계(MDL) 산출=213,231,1

3) 검량선=214,232,1

4) GC-MSD 크로마토그램=214,232,2

5) 회수율=216,234,1

다. 결과 및 고찰=216,234,4

2.7. 1,2-Dibromo-3-chloropropane,n-Butylbenzene=220,238,1

가. 시약 및 기구=220,238,1

1) 시약=220,238,1

2) 기구 및 장치=220,238,1

나. 분석과정=220,238,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220,238,1

① 분석방법 흐름도=220,238,1

② 시료 전처리 과정=221,239,1

③ 시료분석조건=221,239,1

2) 검출한계(MDL) 산출=222,240,1

3) 검량선=222,240,1

4) GC-MSD 크로마토그램=223,241,2

5) 회수율=225,243,1

다. 결과 및 고찰=225,243,3

2.8. 2,4,5-Trichlorophenoxy acetate(2,4,5-T)=228,246,1

가. 시약 및 기구=228,246,1

1) 시약=228,246,1

2) 기구 및 장치=228,246,1

나. 분석과정=229,247,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229,247,1

① 분석방법 흐름도=229,247,1

② 시료 전처리 과정=230,248,1

③ 시료분석조건=230,248,2

2) 검출한계(MDL) 산출=231,249,1

3) 검량선=231,249,1

4) GC-MSD 크로마토그램=231,249,3

5) 회수율=233,251,1

다. 결과 및 고찰=234,252,2

2.9. Alkylphenols(8종)=236,254,1

가. 시약 및 기구=236,254,1

1) 시약=236,254,1

2) 기구 및 장치=236,254,1

나. 분석과정=236,254,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236,254,1

① 분석방법 흐름도=236,254,2

② 시료 전처리 과정=238,256,1

③ 시료분석조건=238,256,1

2) 검출한계(MDL)=238,256,2

3) 검량선=239,257,2

4) GC-MSD 크로마토그램=241,259,5

5) 회수율=245,263,1

다. 결과 및 고찰=246,264,4

2.10. Bisphenol A=250,268,1

가. 시약 및 기구=250,268,1

1) 시약=250,268,1

2) 기구 및 장치=250,268,1

나. 분석과정=250,268,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250,268,1

① 분석방법 흐름도=250,268,2

② 시료 전처리 과정=251,269,2

③ 시료분석 조건=252,270,1

2) 검출한계(MDL) 산출=253,271,1

3) 검량선=253,271,1

4) GC-MSD 크로마토그램=254,272,1

5) 회수율=254,272,1

다. 결과 및 고찰=255,273,2

2.11. Organotins(6)=257,275,1

가. 시약 및 기구=257,275,1

1) 시약=257,275,1

2) 기구 및 장치=257,275,1

나. 분석과정=258,276,1

1)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258,276,1

① 분석방법 흐름도=258,276,1

② 시료 전처리 과정=259,277,1

③ 시료분석조건=259,277,2

2) 검출한계(MDL) 산출=260,278,1

3) 검량선=261,279,1

4) GC-MSD 크로마토그램=262,280,1

5) 회수율=263,281,1

다. 결과 및 고찰=263,281,5

V. 위탁과제명:다이옥신 및 Co-planar PCBs 농도 조사=268,286,1

1. 연구목표=268,286,1

2. 연구내용 및 방법=268,286,1

2.1. 분석대상 물질=268,286,1

2.2. 시료채취=268,286,1

2.3. 분석방법=269,287,1

가. 시약 및 기기=269,287,1

1) 시약=269,287,1

2) 기구=269,287,1

① 추출용 기구=269,287,2

② 정제용 기구=270,288,1

③ 농축 기구=270,288,1

④ 기타=270,288,1

나. 분석과정=270,288,1

1) 시료전처리 및 분석조건=270,288,1

① 시료의 파쇄=270,288,1

② 지질의 측정=270,288,2

③ 알칼리 분해=271,289,1

④ 황산 처리=271,289,1

⑤ 다층 실리카겔 정제=272,290,1

⑥ 알루미나 정제=272,290,1

⑦ 활성탄 정제=272,290,1

2) 분석기기의 조건=272,290,1

①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272,290,2

② 질량분석계=273,291,2

③ 검량선 작성=275,293,1

④ 질량검정(mass calibration)=275,293,1

⑤ 정성=275,293,1

⑥ 정량=275,293,2

⑦ 농도계산 및 수치의 취급=276,294,1

3) 목표정량한계(MDL)=277,295,1

4) 회수율=277,295,1

3. 분석 결과=277,295,1

3.1. 다이옥신류 및 Co-PCBs 분석결과 요약=277,295,2

3.2. 지점별 다이옥신류 및 Co-PCBs 분석결과=278,296,4

4. 고찰=282,300,1

4.1 다이옥신=282,300,1

4.1.1. 붕어=282,300,4

4.1.2. 황소개구리=286,304,3

4.1.3. 붕어,황소개구리의 이성체 분포=289,307,1

4.1.4. 붕어,황소개구리와 각 매질별 이성체 분포 비교=290,308,2

4.2 Co-PCBs=292,310,1

4.2.1. 붕어=292,310,2

4.2.2. 황소개구리=294,312,2

4.2.3. 붕어,황소개구리의 이성체 분포=296,314,1

4.3 외국자료 비교=297,315,1

제3장 종합검토=298,316,1

1. 4차년도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의한 생태영향 조사 결과=298,316,1

1.1. 검출빈도=298,316,1

1.2. 체내 함유량=299,317,2

1.3. 생태영향 조사와 비텔로제닌 농도와의 관계=300,318,1

2. 내분비계 장애물질 생체 내 함유량 4년간 변화 추이=301,319,17

부록=317-1,336,1

표 1. 붕어 및 황소개구리 채집지점=318,337,1

표 2. 어류의 생식소 중량 지수 및 조직 검사 결과=319,338,20

표 3. 2003년 1차 붕어 지역별,개체별 vitellogenin 농도측정 결과=339,358,10

표 4. 2003년 2차 붕어 지역별,개체별 vitellogenin 농도측정 결과=349,368,10

표 5. 황소개구리 생식소 중량지수 및 조직검사 결과=359,378,20

표 6. 2003년 1차 황소개구리 지역별,개체별 Vitellogenin 농도측정 결과=379,398,10

표 7. 2003년 2차 황소개구리 지역별,개체별 Vitellogenin 농도측정 결과=389,408,10

표 8. 2002년 1차 황소개구리 지역별,개체별 vitellogenin 농도측정 결과=399,418,10

표 9. 2002년 2차 황소개구리 지역별,개체별 vitellogenin 농도측정 결과=409,428,10

표 10. 1∼4차년도 내분비계 장애물질 분석결과 비교=419,438,4

표 11.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Dioxin 분석결과=423,442,2

표 12.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co-planar PCBs 분석결과=425,444,2

표 13.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polychlorinated biphenyls 분석결과=427,446,2

표 14.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유기염소계 농약류,chlordane,DDT 분석결과=429,448,4

표 15.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다성분 농약류 분석결과=433,452,2

표 16.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phthalates 분석결과=435,454,2

표 17.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n-butylbenzene,DBCP,4-nitrotoluene,benzophenone,DEHA,2,4,5-T 분석결과=437,456,2

표 18.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alkylphenols 분석결과=439,458,2

표 19. 붕어 및 황소개구리 중 organotins 분석결과=441,460,2

317-1,3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