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조문준=2,3,1

Project Summary/Moon June Cho=3,4,1

목차=4,5,2

표차례=5,6,2

그림차례=6,7,1

제1장 서론=7,8,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7,8,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8,9,1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9,10,1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10,11,1

제1절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 현황=10,11,1

1. 국내=10,11,1

2. 국외=11,12,4

제2절 리스크 분석 현황=15,16,1

1. 국내=15,16,1

2. 국외=15,16,3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8,19,1

제1절 서론=18,19,2

제2절 사고의 정의=20,21,2

제3절 방사선 치료기 이용 및 위험요소=22,23,1

1. 방사선 치료=22,23,2

2. 방사선 치료기=24,25,13

3. 방사선 치료의 위험 요소=37,38,6

제4절 리스크 분석 I:사고사례기반=43,44,1

1. 사고사례 및 사고위험=43,44,1

2. 가중치 계산=44,45,4

3. 발생빈도=48,49,3

4. 계산결과=51,52,6

5. 결과해석=57,58,2

제5절 리스크 분석 II:정량적 접근=59,60,1

1. 항목도출과 중요도 분류=59,60,4

2. 계산체계 및 영향인자=62,63,5

3. 계산결과=66,67,4

4. 결과해석=70,71,7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77,78,1

제1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77,78,1

제2절 대외기여도=77,78,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78,79,1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내용없음)=79,80,1

제7장 참고문헌=80,81,7

부록=87,88,1

I. 용어=87,88,1

II. 방사선치료기 사고사례 요약=88,89,1

III. 도출된 사고위험=89,90,6

연구과제(세부과제) 요약서=95,96,3

표목차

Table 3-1 국내 치료용 가속기 설치현황=24,25,1

Table 3-2 방사선 치료계획시 고려되는 주요 정상조직과 TD50/5=40,41,1

Table 5-1 정량분석을 위하여 도출된 항목=60,61,1

Table 5-2 빈도계산을 위한 QA 항목=63,64,1

Table 5-3 선형가속기 방사선치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차=65,66,1

Table 5-4 리스크 계산에 사용된 기준값=66,67,1

Table 5-5 리스크 계산에 사용된 인자와 계산결과=67,68,1

Table 5-6 저준위 리스크에 대한 리스크의 크기에 따른 항목의 분류=67,68,1

Table 5-7 리스크의 크기별 항목들의 분류와 주요원인=71,72,2

Table 5-8 방사선치료 주요항목들에 대한 관리방안=73,74,1

그림목차

Fig. 3-1 고에너지 선형가속기의 계통도=25,26,1

Fig. 3-2 종양에 균일한 선량이 투여될 때 TCP 곡선의 형태=38,39,1

Fig. 3-3 골반부위 장기들이 NTCP 곡선=40,41,1

Fig. 3-4 골반부위에 대하여 조사되는 체적(%)의 함수로서 NTCP(기준선량은 TD50/5이다)=41,42,1

Fig. 4-1 도출된 사고위험을 이용한 항목간의 상호 연계성 분석 결과(측정기)=45,46,1

Fig. 4-2 항목간의 상호 연계성 분석 결과(모의치료,치료계획,선형가속기 설치)=46,47,1

Fig. 4-3 항목간의 상호 연계성 분석 결과(치료수행,자료전달체계)=47,48,1

Fig. 4-4 사고위험으로부터 추정빈도(측정기)=48,49,1

Fig. 4-5 사고위험으로부터 추정빈도(치료계획)=49,50,1

Fig. 4-6 사고위험으로부터 추정빈도(치료)=49,50,1

Fig. 4-7 사고위험으로부터 추정빈도(자료전달)=50,51,1

Fig. 4-8 가중치를 고려한 빈도(측정기 관련)=52,53,1

Fig. 4-9 상대 리스크 계산 결과(측정기 관련사고)=52,53,1

Fig. 4-10 가중치를 고려한 빈도(치료계획 관련)=53,54,1

Fig. 4-11 상대 리스크 계산결과(치료계획 관련사고)=54,55,1

Fig. 4-12 가중치를 고려한 빈도(치료 관련)=55,56,1

Fig. 4-13 상대 리스크 계산결과(치료관련 사고)=55,56,1

Fig. 4-14 가중치를 고려한 빈도(자료전달 관련사고)=56,57,1

Fig. 4-15 상대 리스크 계산결과(자료전달 관련사고)=56,57,1

Fig. 4-16 가중치를 고려한 빈도(방사선치료 분야별)=58,59,1

Fig. 4-17 상대 리스크 계산결과(방사선치료 분야별)=58,59,1

Fig. 5-1 기하학적 오류와 선량오류에 대한 항목의 중요성 분류=61,62,1

Fig. 5-2 영향을 받는 환자수와 기간의 관점에서 중요성 분류=62,63,1

Fig. 5-3 일반적 방사선치료 과정에 대한 리스크 계산결과=68,69,1

Fig. 5-4 업무별로 구한 상대적 리스크=69,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