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0,3,3

요약문/남명진=1,6,2

Progect Summary/Myeong Jin Nam=3,8,2

I. 연구개발 목표=5,10,2

II. 연구 대상 및 방법=7,12,2

III. 연구과제의 주요 결과=9,14,4

IV. 연구과제 결과=13,18,1

제1장 유전자와 유전정보=13,18,1

1. 유전자를 바라보는 관점=13,18,1

2. 유전정보의 의미와 그 특징=14,19,2

3. 유전정보 활용의 문제점=16,21,1

4. 생명과학기술의 특징과 국가의 역할=17,22,1

제2장 유정정보의 보호=18,23,1

1. 유정정보의 보호=18,23,2

2. 유전정보와 관련한 법률 및 가이드라인=20,25,1

(1) 유전정보보호 관계 국제기구과 법률=20,25,20

(2) 세계의사협회선언문=40,45,4

(3) 미국의사협회 윤리지침(유전자검사 부분)=44,49,4

(4) 일본 유전체연구 윤리지침 개요=48,53,4

(5) 인간 유전자데이터에 관한 국제선언=52,57,9

(6) 유전적 차별에 관한 미국의 주별 입법상황=61,66,8

(7) 미국 보스턴 대학의 법의학과가 제시한 유전자 프라이버시 법=69,74,1

(8) 유전자분석과 관련한 독일의 입법안=70,75,4

3. 유전자연구 관련 대상자 보호=74,79,1

(1)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대상자 보호=74,79,14

4. 인간유전체 정보 연구 활용에 관한 사항=88,93,1

제3장 유전자검사 및 유전자은행=89,94,1

1. 유전자검사의 의미=89,94,2

2. 유전자검사의 문제점=91,96,3

(1) 유전자검사의 유용성 그리고 한계=94,99,6

(2) 유전자검사의 윤리적ㆍ법적ㆍ사회적 함의에 대한 25개 권고=100,105,13

3. 유전자검사의 범위=113,118,3

(1) 배아에 대한 유전자검사=116,121,3

4. 유전자검사에서의 동의 문제=119,124,2

(1) 사전동의(Informed Consent)=121,126,2

5. 유전자은행=123,128,1

(1) 온라인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의 윤리적 접근=123,128,2

(2) 유전자검사의 연구개발 자원과 도구로서의 유전자은행=125,130,4

(3) 생의학적 연구를 위한 데이터 저장과 DNA은행에 관한 기술ㆍ사회ㆍ윤리문제=129,134,3

(4) 유전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의 문제=132,137,3

제4장 유전정보 활용의 취약성과 그 대책=135,140,1

1. 유전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135,140,9

2. 유전자와 관련한 교육의 필요성=144,149,1

3. 외국의 ELSI 교육사례=145,150,2

4. 유전정보와 생명윤리교육=147,152,2

(1) 생명윤리교육의 의미=149,154,2

(2) 생명윤리 교육의 대상 및 내용=151,156,2

5. 유전 상담=153,158,2

(1) 미국 유전상담의 실태=155,160,1

(2) 유전상담의 일반적 과정=156,161,2

(3) 한국 유전상담의 실태=158,163,1

(4) 유전상담의 전망=159,164,8

6. 기관생명윤리위원회=167,172,1

(1) 뉘론베르크 강령=168,173,3

(2) 헬싱키 선언-의사들이 전문적 지침=171,176,2

(3) 벨몬트 보고서=173,178,1

(4) 국제 의과학기구 협의회(CIOMS)의 지침서=174,179,1

(5) ICH/GCP 가이드라인=175,180,4

(6) WHO 윤리위원회 운영지침서=179,184,1

(7) 각국의 IRB제도=180,185,1

가) 미국의 IRB제도의 발전과 규정=180,185,4

나) 유럽의 윤리위원회 발전과 이에 대한 규정=184,189,3

다) 동양권의 IRB 제도=187,192,1

라) ICH회의 이후 최근의 윤리위원회 제도 및 정책에 대한 주요 국제적 동향=188,193,4

7. 유전자와 관련한 논쟁에 대한 사회적 합의 모색=192,197,2

제5장 유전자검사기관 및 유전자은행의 실태조사=194,199,1

1. 유전자검사기관 실태기관 설문지=194,199,9

2. 실태조사 결과(종합)=203,208,9

3. 실태조사결과(업체별)=212,217,5

4. 설문조사결과=217,222,17

5. 자문회의 및 간담회=234,239,1

(1) 소인 및 신체외관 유전자검사 바이오벤쳐 간담회 회의록=234,239,2

(2) 개인식별 관련 자문회의 회의록=236,241,5

(3) 소인 및 성격 관련 유전자 검사 간담회 희외록=241,246,5

(4) 배아 또는 태아 유전자검사 간담회 회의록=246,251,3

(5) 제대혈은행 관련 자문회의 회의록=249,254,4

(6)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 시민단체 간담회=253,258,2

제6장 시행령 시행규칙 제안=255,260,1

1. 연구목적 및 배경=255,260,1

2. 유전자 검사기관=256,261,3

3. 개인정보 보호조치=259,264,4

4. 유전자 은행=263,268,2

5. 유전자검사ㆍ유전자은행에 관한 법,시행령,시행규칙=265,270,14

V.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279,284,3

VI.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282,287,1

1. 연구성과=282,287,1

2. 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282,287,1

VII. 활용계획=283,288,1

1. 연구종료 2년 후 예상 연구성과=283,288,1

2. 연구성과의 활용계획=283,288,1

VIII. 참고문헌=284,289,8

IX.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 영문번역=292,29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