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최종연구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62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64
제1절 국제 방사선방호 기준의 국내 규제도입 방안 수립 64
Ⅰ. 국제 방사선방호정책 변화의 배경 64
Ⅱ. 국제 방사선방호기준 이행 동향 85
Ⅲ. 방사선방호 신개념 제도화 요소 92
Ⅳ. 제도화 영향 기초 조사 101
참고문헌 137
부록 1. 방사선방호체계에 대한 주요검토보고서 138
부록 2. ICRP 차기권고(안) 요약 153
제2절 원자력시설의 방사선방호 프로그램 평가기술 개발 164
Ⅰ. 주요작업 평가기법 개발 164
Ⅱ. 작업관리 절차 및 요건개발 217
Ⅲ. 작업선택기준 258
Ⅳ. 모의훈련의 평가 260
참고문헌 264
부록 2-1. 계획예방정비기간중 방사선방호계획 작성지침에 관한 규제요건 및 과학기술부고시(안) 266
제3절 내부피폭 선량평가 검증기술 개발 272
제3절의 1. 직접측정에 의한 내부피폭선량 품질보증 기술기준 개발 272
제3장의 2. 간접측정에 의한 내부피폭선량 품질보증 기술기준 개발 358
부록 3-1. 최소검출방사능(MDA)의 산출 448
부록 3-2. 성능시험을 위한 상대편중 및 상대정밀도의 산출 452
제4절 외부피폭 선량평가 검증기술 개발 454
1. 말단선량계 및 보조선량계 평가지침 개발 454
2. 외부피폭선량평가 검증기술 개발 501
3. 결론 503
참고문헌 505
제5절 방사성물질/방사선기기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508
1. 서론 508
2. 의료분야 개봉선원 취급유형별 안전성 평가 509
3. 방사선기기의 취급 단계별 안전성 확보 요건 도출 520
4. 위해도 기반 분석 및 규제 기술 개발 545
5. 결론 577
제6절 방사성물질 운반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580
I. 개요 580
II. 방사성물질 운반 안전규제 요건 581
III. 방사선차폐 및 핵임계 안전해석검증기술 개발 587
IV. 낙하충격 및 타격충격 안전해석 검증기술 592
V. 운반용기 격납 안전성 검증기술 개발 601
VI. 열해석 및 열응력 안전해석 검증기술 개발 604
VII. 운반용기 침수압력 안전해석 검증기술 개발 606
VIII. 운반용기 관통충격 안전해석 검증기술 개발 608
IX. 운반용기 압축하중 안전해석 검증기술 개발 611
X. 안전성분석보고서 심사지침 613
XI. 결론 626
제7절 정량적 ALARA 평가기술 개발 628
Ⅰ. 서론 628
Ⅱ. 정량적 ALARA에 관한 연구 629
Ⅲ. 정성적 ALARA에 관한 분석 652
Ⅳ. 우리나라의 최적 경제성 평가모델 659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 66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664
제6장 연구개발과제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666
그림 1-4-1. 제안된 방호체계의 기본 틀과 적용의 개념 116
그림 1-4-2. 피폭원의 제외 또는 면제 체계 119
그림 1-4-3. ICRP 60과 ICRP 92의 중성자 방사선가중치의 차이 123
그림 1-4-4. 방사선량 관계량의 변화요인 및 예상되는 변화 125
그림 1-4-5. DS86과 DS02의 중선자선량 평가 결과의 차이 126
그림 1-4-6. DS86과 DS02의 감마선량 평가결과의 차이 127
그림 1-4-7. 수명연구(LSS13)에서 도출된 암 및 암 이외의 질환의 위험 128
그림 1-4-8. 인간의 방호와 생태계 방호의 기본틀 비교 132
그림 1-4-9. 대한방사선방어학회의 방호체계 수정안 135
그림 1-부록2-1. 에너지별 입사 중성자의 방사선가중계수, wR.[이미지참조] 159
그림 2-1-1. 원자로 보전작업의 표준화 추진체계 171
그림 2-1-2. 삼각분포와 베타(β)분포 184
그림 2-1-3. 작업시간지연 분석용 요인간 계층구조 188
그림 2-1-4. 작업시간지연 분석용 계층구조 예제 188
그림 2-1-5. 작업지연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195
그림 2-1-6. 작업지연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195
그림 2-1-7. 관리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196
그림 2-1-8. 인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196
그림 2-1-9. 직업환경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196
그림 2-1-10. 작업지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상대적 영향 198
그림 2-1-11. 작업지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상대적 영향 198
그림 2-1-12. 작업지연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199
그림 2-1-13. 작업지연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199
그림 2-1-14. 관리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200
그림 2-1-15. 인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200
그림 2-1-16. 작업환경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 200
그림 2-1-17. 작업지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상대적 영향 202
그림 2-1-18. 작업지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상대적 영향 202
그림 2-1-19. 설치작업의 각 작업요소별 낙관적, 비관적, 최빈시간 추정치 208
그림 2-1-20. 제거작업의 각 작업요소별 낙관적, 비관적, 최빈시간 추정치 209
그림 2-1-21. 요소작업별 평균 소요시간의 비교 210
그림 2-1-22. 요소작업별 평균 소요시간의 비교 212
그림 2-2-1. 총 피폭량과 작업시간과의 관계 238
그림 2-2-2. 총 피폭량과 작업인원과의 관계 238
그림 2-2-3. 총 피폭량과 최대 방사선량률과의 관계 240
그림 2-2-4. 총 피폭량과 공간선량률과의 관계 241
그림 2-2-5. 총 피폭량과 차폐후 공간선량과의 관계 241
그림 2-2-6. 계획예방정비 시행차수에 따른 총 피폭량의 변화 242
그림 2-2-7. 계획예방정비 시행차수에 따른 작업시간의 변화 247
그림 2-2-8. 계획예방정비 시행차수에 따른 작업인원의 변화 247
그림 2-2-9. 계획예방정비 시행차수에 따른 최대방사선량률의 변화 248
그림 2-2-10. 계획예방정비 시행차수에 따른 공간선량률의 변화 248
그림 2-2-11. 계획예방정비 시행차수에 따른 차폐후 공간선량률의 변화 249
그림 3-3-1. 각 유도참고준위에 따라 취해져야 할 제반조치나 결정사항을 나타내는 흐름도 295
그림 3-3-2. 삼중수소(tritiated water)의 경우 뇨증 최소검출농도에 따른 감시주기별 최대 연간최소검출선 306
그림 3-3-3. ¹³⁷Cs의 경우 전신 최소검출방사능 및 일일 뇨배설 최소검출방사능에 따른 감시주기별 최대 연간최소검출선량 306
그림 3-3-4. 결정준위(Lc) 및 최소검출방사능(LD)[이미지참조] 321
그림 3-3-5. 콤프턴 산란에 기인된 백그라운드가 선형인 경우의 피크 모양 322
그림 3-3-6. 콤프턴 산란에 기인된 백그라운드가 계단형인 경우의 피크 모양 322
그림 3-4-1. 섭취, 전이 및 배설경로 338
그림 3-5-1. 피크 중심채널에 대한 sample driven N-sigma test의 예 350
그림 3-5-2. 피크 중심채널에 대한 user driven N-sigma test의 예 351
그림 3-5-3. 피크 중심채널에 대한 bias N-sigma test의 예 351
그림 3-5-4. 피크 중심채널에 대한 boundary test의 예 352
그림 3-9-1. 단일 섭취(t=0)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내부피폭 선량률의 감소와... 360
그림 3-9-2. 체내 방사능을 직접 측정하는 배열 방식 362
그림 3-9-3. 방사능 섭취량 측정 방법의 체계 364
그림 3-9-4. 간접 생물검정에 의한 선량계측의 일반적 절차 흐름도 365
그림 3-9-5. 유럽 국가들의 내부피폭 조사준위 설정치의 분포 377
그림 3-9-6. EC 국가에서 조사된 기록준위 운용현황 378
그림 3-9-7. 내부피폭 감시측정 결과의 처리 흐름도 380
그림 3-9-8. 일상 개인감시 필요성을 판단하는 절차 384
그림 3-9-9. 감시주기에 따라 만성섭취를 주기 중점에서 급성섭취로 가정하여 평... 388
그림 4-3-1. Ring badge using Panasonic UD-807 extremity dosimeter 455
그림 4-3-2. Vinyl badge using Panasonic UD-807 extremity dosimeter 456
그림 4-3-3. Panasonic UD-807 extremity dosimeter 456
그림 4-3-4. Energy Response of Electronic Using Geiger-Mueller Detector 469
그림 4-3-5. Theoretical Sensitivity of Thermoluminescent Phosphors as a Function of... 470
그림 4-3-6. Required Process for Making Electronic Personal Dosimeters Primary Dosimeters 473
그림 4-3-7. 공기커마 측정을 위하여 제작한 전리함의 구성도 및 사진 475
그림 4-3-5. Exradin A-3 전리함의 측정결과와 비교 479
그림 5-1. 면제농도 및 면제수량 평가 방법론에 대한 블록 선도 548
그림 6-3-1. MCNP-4B로 계산한 수송용기 표현에서 선량률 분포 590
그림 6-3-2. MCNP-4B로 계산한 표면에서 2m 떨어진 지점에서... 590
그림 6-4-1. KSC-4 운반용기 개략도 594
그림 7-4-1. 우리나라 방사선 피폭의 경제성 평가모델 66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077711 | 621.4835 ㄱ373ㅂ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중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