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2,2,1

요약문=3,3,10

SUMMARY=13,13,8

CONTENTS=21,21,3

목차=24,24,3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7,27,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27,27,1

제2절 연구의 필요성=27,27,3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29,29,2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31,31,6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7,37,1

제1절 능이의 임지재배 기술 개발=37,37,1

1. 서론=37,37,1

2. 재료 및 방법=38,38,1

가. 능이자원 파악=38,38,1

나. 능이생태 조사=38,38,2

다. 능이균사 배양=39,39,2

라. 능이 접종묘 생산=40,40,3

마. 능이산지 관리모델=42,42,1

3. 결과 및 고찰=43,43,1

가. 능이자원 파악=43,43,19

나. 능이생태 조사=61,61,9

다. 능이 균사배양=69,69,6

라. 능이 접종묘 생산=75,75,14

마. 능이산지 관리모델=88,88,18

4. 결론=105,105,2

제2절 능이 생리활성 성분 연구=107,107,1

1. 서론=107,107,3

2. 재료 및 방법=109,109,6

3. 결과 및 고찰=115,115,1

1) 조성분 분석=115,115,3

2) Glycoprotein 성상=117,117,4

3) 능이버섯 protease 활성=120,120,10

4) protease 활용=129,129,4

5) pretense의 최적 배양 조건=132,132,5

4. 결론=136,136,4

제3절 능이의 향기 성분과 건조 중의 변화=140,140,1

1. 서론=140,140,2

2. 재료 및 방법=141,141,5

3. 결과 및 고찰=145,145,1

1) 추출방법에 따른 향기성분 분석=145,145,2

2) GC sniffing에 의한 추출물의 향기특성 강도=146,146,8

3) 건조 온도의 영향=153,153,2

4) 건조 풍속의 영향=155,155,1

5) 건조시간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155,155,10

6) 건조과정 중 수분함량 변화=164,164,2

7) 건조과정 중 구조 변화=165,165,4

8) 건조과정 중 색도 변화=168,168,2

9) 건조과정 중 물성 변화=169,169,2

10) 재수화 특성=170,170,2

11) 재수화 후 물성 변화=171,171,2

4. 결론=172,172,2

제4절 능이를 위한 포장재 개발=174,174,1

1. 서론=174,174,2

2. 재료 및 방법=175,175,4

3. 결과 및 고찰=178,178,1

가. 키토산 종이=178,178,11

나. 항균지=188,188,6

다. 숯,강도 향상제 종이=193,193,8

4. 결론=200,200,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203,203,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05,205,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207,207,12

제7장 참고문헌=219,219,12

부록=231,231,8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20

CONTENTS=21,21,6

CHAPTER 1. INTRODUCTION=27,27,1

Section 1. Objectives=27,27,1

Section 2. Justification=27,27,3

Section 3. Scope=29,29,2

CHAPTER 2. STATE OF THE ART=31,31,6

CHAPTER 3. RESEARCH METHODOLOGY AND RESULTS=37,37,1

Project I. Field Cultivation Technology of Sarcodon aspratus=37,37,1

1. Introduction=37,37,1

2. Materials and Methods=38,38,1

1) Resources of S. aspratus=38,38,1

2) Ecology of S. aspratus=38,38,2

3) Culture of mycelia=39,39,2

4) Production of mycorrhizal seedlings=40,40,3

5) Production site management model=42,42,1

3. Results and Discussion=43,43,1

1) Resources of S. aspratus=43,43,19

2) Ecology of S. aspratus=61,61,9

3) Culture of mycelia=69,69,6

4) Production of mycorrhizal seedlings=75,75,14

5) Production site management model=88,88,18

4. Conclusion=105,105,2

Project II.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 in Sarcodon aspratus=107,107,1

1. Introduction=107,107,3

2. Materials and Methods=109,109,6

3. Results and Discussion=115,115,1

1) Analysis of raw compounds=115,115,3

2) Characteristics of glycoprotein=117,117,4

3) Activity of protease of S. aspratus=120,120,10

4) Utilization of protease=129,129,4

5) Optimum culture condition of protease=132,132,5

4. Conclusion=136,136,4

Project III. Aroma Compounds of Sarcodon aspratus and Their Changes during Drying=140,140,1

1. Introduction=140,140,2

2. Materials and Methods=141,141,5

3. Results and Discussion=145,145,1

1) Aroma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145,145,2

2) Aroma characteristics by GC sniffing=146,146,8

3) Effect of drying temperature=153,153,2

4) Effect of drying air velocity=155,155,1

5) Change in aroma during drying=155,155,10

6) Change in water contents during drying=164,164,2

7) Change in structure during drying=165,165,4

8) Change in color during drying=168,168,2

9) Change in texture during drying=169,169,2

10) Rehydration characteristics=170,170,2

11) Changes in texture after rehydration=171,171,2

4. Conclusion=172,172,2

Project IV. Package Materials for Sarcodon aspratus=174,174,1

1. Introduction=174,174,2

2. Materials and Methods=175,175,4

3. Results and Discussion=178,178,1

1) Chitosan paper=178,178,11

2) Anti-microorganism paper=188,188,6

3) Charcoal added strength improved paper=193,193,8

4. Conclusion=200,200,3

CHAPTER 4. ACHIEVEMENT OF THE PROJECT AND ITS CONTRIBUTION=203,203,2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PROJECT RESULTS=205,205,2

CHAPTER 6. TECHNOLOGICAL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ROJECT PERIOD=207,207,12

CHAPTER 7. LITERATURE CITED=219,219,12

APPENDIX=231,231,8

칼라목차

jpg

사진 1.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의 자실체. 참나무림의 땅에서 2-7개의 다발로 난다. 갓 아래는 바늘상의 자실층이 있고 이곳에 담자 포자를 맺는다. 버섯조직은 맛이 있으며,시선한 것은 아주 순하면서 향긋하다.=231,231,1

사진 2. 무늬노루털버섯(Sarcodon scabrosus). 이 버섯은 능이와는 유사종으로 소나무림에서 나며,자루가 길고,맛이 매우 쓰다.=231,231,1

사진 3. 능이버섯 자실체의 뿌리가 땅속 깊이 뻗어있다.=232,232,1

사진 4. 땅 속에 있는 능이버섯의 흰색 균사와 참나무 균근,토양의 복합채.=232,232,1

사진 5. 능이 균사에 있는 연결 꺽쇄. 능이균사는 무색투명하며,균사 굵기는 4-5㎛,균사벽 두께는 약 1㎛이다.=232,232,1

사진 6. 능이균 사체는 땅 속으로 22㎝ 깊이까지 뻗으며 참나무의 뿌리와 토양을 단단하게 묶고 있다.=232,232,1

사진 7. 능이 균한조사 및 균환 내 토양수분 변화 조사지. 월악산 충북대 연습림. 골미. 상수리와 굴참나무림 내에 12m x 12m 조사구에서 1m x 1m 격자로 표시하고 능이발생 위치,균환의 모양과 위치를 조사하였다.=233,233,1

사진 8. 능이버섯의 발생지점을 표시하고 균환의 위치를 확인한 후 노란 막대로 표시하였다. 버섯 발생기간 전후 약 2달 동안,토양 속 능이균환 내부의 수분 변동상황을 TDR (Time Domain Reflectrometry) probe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233,233,1

사진 9. TDR probe와 전선.=233,233,1

사진 10. TDR probe에 감지된 토양수분량은 CR10X data logger에 저장하였다.=233,233,1

사진 11. 능이균 접종묘를 기르기 위하여 능이균환의 토양을 채집하였다. 능이균사는 썩고있는 뿌리 속에는 들어가지 않았다.=234,234,1

사진 12. 능이 균환덩이 4-5개를 화분에 넣고 그 위에 상수리나무,굴참나무,졸참나무 종자를 파종하였다.=234,234,1

사진 13. 능이균환내 균근은 균사가 치밀하게 엉켜져 싸여 있다.=234,234,1

사진 14. 능이 균환 덩어리를 접종한 화분을 온실과 growth chamber에서 배양하였다.=234,234,1

사진 15. 능이 균환 덩어리를 접종하였으나 참나무 묘목의 뿌리에는 균근이 형성되지 않았고,뿌리털이 발달한 비균근 상태였다. 접종원으로 사용된 능이 균환덩어리는 검게 썩었다.=234,234,1

사진 16. 정단부가 뽀족한 상수리나무 묘목의 비균근 뿌리.=235,235,1

사진 17. 비균근 뿌리에 발달한 뿌리털.=235,235,1

사진 18. 온실 내부에서 오염된 것으로 보이는 흰색 균근.=235,235,1

사진 19. 온실외부에서 키운 묘목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흰색과 검정색 균근.=235,235,1

사진 20. 월악산 충북대 연습림 골미지역의 능이 발생지점 균환 위에 파종된 굴참나무 종자.=236,236,1

사진 21. 파종된 종자에서 나온 굴참나무 유묘.=236,236,1

사진 22. 균환부위에서 굴취된 굴참나무 묘목. 좌측 묘목은 능이균환 위에 삼겨졌던 것으로 균환의 흙덩이가 단단히 붙어있다. 반면에 우측의 묘목은 능이균환이 없는 곳에 파종되었던 것으로 뿌리에서 토양이 대부분 쉽게 떨어져나갔다.=236,236,1

사진 23. 능이 균환 위에 식재되었던 묘목의 뿌리에서 형성되었던 능이 균근으로 버섯발생 후 표피와 피층세포가 사멸하면서 검정색으로 되었으나 그 내부의 통도조직은 밝은 갈색으로 살아있다.=236,236,1

사진 24. 균분리 배양 중인 능이 조직에서 흰색 실처럼 자라나오고 있는 균사. 그 가운데에는 무색 투명한 박테리아 콜로니가 또한 자라고 있다.=237,237,1

사진 25. 능이 버섯의 바늘상 자실층 조직에서 능이균을 분리배양하는 중에 흰색의 박테리아가 매우 빠르게 생장하였다. 이 박테리아는 저장 중에 버섯을 무르게 하고 품질을 떨어뜨린다.=237,237,1

사진 26. IBA 생장조절물질을 처리하여 발근된 상수리나무 조직배양묘에 능이균으로 생각되는 균사를 접종하였다.=237,237,1

사진 27. 능이균으로 생각되는 배양된 균사는 상수리나무기내 배양묘에서 균근을 전혀 형성하지 않았다.=237,237,1

사진 28. 능이를 4℃에 저장하는 동안 자라나오는 Trichoderma 속균의 균사.=238,238,1

사진 29. 능이 자실체의 바늘상 자실층에 생장하는 Botrytis 속균의 균사. 이 들 균은 능이의 품질과 저장성을 떨어뜨린다.=238,238,1

사진 30. 능이 발생지점에서 능이 자실체가 썩어서 검게 변한 모양.=238,2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