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2

연구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신효선=3,4,1

Project Summary/Hyo-Sun,Shin=4,5,3

목차=7,8,2

제1장 서론=9,10,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9,10,3

2. 연구목표=11,12,1

3. 연구범위 및 주요 연구내용=11,12,2

제2장 기능성 물질의 종류와 특성=13,14,1

1. 기능성 식품과 기능성분=13,14,2

2. 기능성 물질의 분류=14,15,6

3. 기능성 물질의 특성=20,21,1

(1) 소화기계에 관여하는 기능성 소재=20,21,9

(2) 항산화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29,30,8

(3) 순환기계에 관여하는 기능성 소재=36,37,15

(4) 무기질의 흡수에 관여하는 기능성 소재=50,51,7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57,58,1

제1절 기능성 물질 관리의 국내외 동향=57,58,1

1. 미국=57,58,1

(1) 식품성분의 허가절차=57,58,16

(2) 식이보충제와 식이 보충제 성분=73,74,13

(3) 기능성물질의 일반식품사용에 대한 관리현황=85,86,5

(4) 건강강조표시 관리=90,91,1

2. 유럽연합=91,92,1

(1) 신소재식품법에 의한 안전성평가지침=92,93,2

(2) 영양소급원 또는 기타성분의 안전성 평가지침=93,94,9

(3) 식품첨가물 허가 규정=101,102,5

3. 일본=105,106,1

(1) 보건기능식품제도=105,106,3

1) 영양기능식품=107,108,2

2) 특정보건용식품=109,110,40

(2) 건강식품 관리제도=148,149,2

4. 우리나라=149,150,1

(1) 건강기능식품법 및 하위법령의 주요골자=149,150,4

(2) 건강기능식품 원료 또는 성분의 인정기준=152,153,9

(3)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인정기준=161,162,1

(4) 기능성 표시기준=162,163,3

제2절 기능성 물질 관리의 문제점과 관리방안=165,166,1

1. 현황 및 문제점=165,166,5

2. 관리방안 및 추진내용=169,170,1

(1) 기본정책방향=169,170,2

(2) 주요추진 및 개선내용=170,171,4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174,175,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176,177,1

제6장 기타 주요변경사항=176,177,1

제7장 참고문헌=177,178,12

연구과제 요약=189,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