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3

SUMMARY=iv,6,4

CONTENTS=viii,10,1

목차=ix,11,2

표목차=xi,13,1

그림목차=xii,14,2

제1장 연수과정의 개요=1,16,2

제2장 국내 원자로 실험/실습 현황=3,18,2

제3장 연수과정 추진 내용=5,20,1

제1절 연수대상자 선정=6,21,2

제2절 사전교육 내용=8,23,1

제4장 연수과정 중 강의내용,실험결과 및 시설견학 보고=9,24,2

제1절 KUR과 KUCA 개요[원문불량;p.10,12]=10,25,4

제2절 강의 내용=14,29,2

제3절 실험방법 및 실험결과[원문불량;p.18]=16,31,12

제4절 일본 원자력시설 견학=28,43,8

제5절 환영회,환송회,수료증 수여식[원문불량;p.39]=36,51,4

제5장 연수 과정에 대한 참가학생의 설문조사=40,55,5

제6장 연수 프로그램 결과 및 건의사항=45,60,1

제1절 연수 프로그램 결과=45,60,1

제2절 건의사항=46,61,1

[부록]=0,62,1

부록 1. 사전교육자료=0,62,48

부록 2. 강의자료 #1(Lectures on Safety Regulations for Experiment in Controlled Area and Nuclear Reactors at KURRI)=0,110,26

부록 3. 강의자료 #2(About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0,136,5

부록 4. 강의자료 #3(Overview of JCO Criticality Accident)=0,141,12

부록 5. 강의자료 #4(Approach to Criticality/Critical Mass measurement)=0,153,9

부록 6. 강의자료 #5(Control Rod Calibration Experiment)=0,162,13

부록 7. 강의자료 #6(Subject #3 Thermal Neutron Flux Distribution and Absolute Neutron Flux)[원문불량;p.2]=0,175,7

부록 8. 강의자료 #7(1. Critical Approach & Critical Mass Measurement:Experimental Procedures 2. Control Rod Calibration Experiment:Experimental Procedures 3. Measurement of Reaction Rate Distribution:Experimental Procedures)=0,182,25

부록 9. 강의자료 #8(Educational Reactor Operation Training)=0,207,2

부록 10. 강의자료 #9(SCRAM Experiment)=0,209,6

부록 11. 실험결과 발표자료 (각 조별 발표자료)=0,215,41

부록 12. 교토대학 원자로 실험/실습 연수과정 수료증:내용없음=0,256,1

부록 13. Report of KUCA Experiment(최종 실험 보고서)=0,257,38

부록 14. KUGSiKUCA Program Textbook=0,295,110

부록 15. 교토대학 원자로 실험/실습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감상문[원문불량;p.9]=0,405,23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5

Summary=iv,6,4

CONTENTS=viii,10,1

Lists of Table=ix,11,2

Lists of Figure=xi,13,3

Chapter 1. Outline of Training Program=1,16,2

Chapter 2. Status of Domestic Nuclear Reactor Experiment=3,18,2

Chapter 3. Driving Contents of Training Program=5,20,4

Chapter 4. Contents of Lecture,Reports of Experiment and Field Trips during Training Program[원문불량;p.10]=9,24,31

Chapter 5. Survey Results for Training Program=40,55,5

Chapter 6. Results for Training Program and Suggestions=45,60,2

Appendix[원문불량;p.2,9]=0,62,366

표목차

표 1. 일본 원자력시설 견학 및 원자로 실험 연수 일정=2,17,1

표 2. KUCA에서의 원자로 실험/실습 내용=3,18,1

표 3. HANARO와 AGN-201을 사용한 원자로 실험/실습 내용 비교=4,19,1

표 4. 일본 원자력시설 견학 및 원자로 실험 연수 참가자 명단=7,22,1

표 5. 연수기간 중 강의내용과 일정=14,29,1

표 6. KUCA 원자로 실험 일정=16,31,1

표 7. 실험 조원 배정표=16,31,1

그림목차

그림 1. 일본 원자력시설 견학 및 원자로 실험 연수 추진체계=5,20,1

그림 2. 경희대학교에서 실시한 참가 연수생 사전교육(1월26일)=8,23,1

그림 3. 일본으로 출발 전 인천공항로비=9,24,1

그림 4. 환영 다과회=9,24,1

그림 5. 기념품 전달식=9,24,1

그림 6. Kyoto University Research Reactor[원문불량;p.10]=10,25,1

그림 7. KUR에 사용되는 핵연료와 제어봉=11,26,1

그림 8. KUR 탱크내부의 로심의 모습=11,26,1

그림 9. KUR에 연결된 여러 실험 설비의 배치도[원문불량;p.12]=12,27,1

그림 10. KUCA의 평면도[원문불량;p.12]=12,27,1

그림 11. KUCA의 경수감속로심(좌)과 고체감속로심(우)의 모습=13,28,1

그림 12. 실험에 대한 강의모습=15,30,1

그림 13. 계측기를 이용한 count rate 측정=17,32,1

그림 14. KUCA에 사용되는 핵연료 plate의 모습과 교체에 필요한 설명을 듣고있는 모습=17,32,1

그림 15. 학생들이 직접 핵연료를 집합체에 장전하고 있는 모습과 핵연료 집합체를 로심에 교체하고 있는 모습=18,33,1

그림 16. 계측결과를 사용하여 임계질량을 구하고 결과를 plot한 모습=18,33,1

그림 17. UIC #5로 측정된 반사체의 두께 변화에 따른 출력의 변화=18,33,1

그림 18. UIC #5의 계측값을 stop watch를 이용하여 doubling time을 측정하고 있는 모습=19,34,1

그림 19. 계측된 결과와 제어봉가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듣는 모습=20,35,1

그림 20. 조사시료를 준비하기 위해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20,35,1

그림 21. Aluminum plate에 조사시킬 wire를 장착하고 있는 모습=21,36,1

그림 22. 조사에 사용될 Aluminum Plate과 foil의 모습=21,36,1

그림 23. Wire가 장착된 Aluminum plates가 로심에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장전된 모습=21,36,1

그림 24. 시료를 조사하기 위해 출력을 증가시킨 모습과 원자로가 임계가 되어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된 모습=22,37,1

그림 25. 조사후 wire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캡슐에 담고 있는 모습=22,37,1

그림 26. 측정에 사용된 detector들과 컴퓨터화면을 통해 계측결과를 기록하고 있는 모습=22,37,2

그림 27. 원자로 운전에 앞서 원자로운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24,39,1

그림 28. 학생들이 직접 원자로를 운전하고 있는 모습=24,39,1

그림 29. 운전 전ㆍ후의 원자로의 상해를 기록지에 기록하고 있는 모습=25,40,1

그림 30. SCRAM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safety rod의 위치와 원자로의 상태를 설명하고 있는 모습=25,40,1

그림 31. SCRAM 발생 후 경보 알람이 울리고,원자로가 shutdown되어 원자로의 출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모습=26,41,1

그림 32. 알루미늄,납,우라늄의 밀도차이를 직접 체험하고 있는 모습=26,41,1

그림 33. 실험 참가 학생들이 실험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모습=27,42,1

그림 34. 연수참가 학생들이 KUR시설이 방사선 통제구역으로 들어가는 모습=28,43,2

그림 35. KUR 내부시설 견학 내용=29,44,2

그림 36. KUCA이 노심,중성자 선원,제어봉구동장치와 Detector=30,45,2

그림 37. KUCA의 Control Room의 모습=31,46,1

그림 38. 핵연료 제조공장(Nuclear Fuel Industries(NFI) Ltd.) 견학=32,47,1

그림 39. 가압경수형 원자로 발전소(MIHAMA Site of KEPCO) 견학=33,48,1

그림 40. Institute of Nuclear Safety System,Inc. 견학=34,49,1

그림 41. 고속로형 원자로 발전소(MONJU of JNC) 견학=35,50,1

그림 42. 일본 원자력시설 견학 및 원자로 실험 연수 환영회(2월16일)=36,51,1

그림 43. 일본 원자력시설 견학 및 원자로 실험 연수 환송회(2월25일)=37,52,1

그림 44. 일본 원자력시설 견학 및 원자로 실험연수과정 수료증 수여식(2월25일)=38,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