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1,3,4
SUMMARY=5,7,6
CONTENTS=11,13,2
목차=13,15,2
표목차=15,17,5
그림목차=20,22,3
제1장 과업의 개요=23,25,1
1.1 과업의 배경 및 목적=23,25,5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28,30,3
1.3 과업의 추진계획=30,32,2
제2장 중ㆍ소유역 관리의 기본=32,34,1
2.1 유역관리단위=32,34,3
2.2 오염총량제에서의 유역관리 단위 구분=35,37,7
2.3 유역의 지도화=42,44,8
2.4 유역관리의 방향=49,51,3
2.5 유역관리도구=51,53,17
2.6 중ㆍ소유역 관리지침=67,69,4
2.7 국내ㆍ외 유역관리 현황=70,72,9
제3장 낙동강 유역 현황=79,81,1
3.1 낙동강 수계 현황=79,81,13
3.2 자연 환경=92,94,11
3.3 인문ㆍ사회환경=103,105,7
3.4 환경기초시설 현황=110,112,7
제4장 중ㆍ소 유역의 선정=117,119,1
4.1 대표소유역의 선정 원칙 및 절차=117,119,6
4.2 하빈천 유역의 특성=123,125,11
4.3 대창천 유역의 특성=134,136,14
제5장 대상 소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148,150,1
5.1 경지에서의 오염부하발생 및 배출특성=148,150,6
5.2 오염부하량 원단위 검토=154,156,11
5.3 하빈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165,167,12
5.4 대창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177,179,13
제6장 대상 소유역의 강우유출량 및 삭감부하량=190,192,1
6.1 대상 소하천의 유량 및 수질 분석=190,192,11
6.2 강우유출량=200,202,6
6.3 대상 소유역의 삭감오염부하량 추정=205,207,4
제7장 대상유역의 수질보전대책=209,211,1
7.1 불투수면의 관리방안=209,211,9
7.2 토지보존을 통한 유역관리=218,220,2
7.3 경작지의 관리=219,221,7
7.4 우수유출수 최적관리(BMPs)=225,227,22
7.5 비 우수유출수 관리(오수 및 폐수관리 방안)=247,249,21
7.6 중ㆍ소유역 하천직접 정화방안=267,269,9
7.7 유역관리 프로그램=275,277,25
7.8 대상유역 수질보전대책의 효과=299,301,3
7.9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302,304,2
[참고문헌]=304,306,4
부록=308,310,1
[부록 1] 낙동강 수계내 마을하수처리시설 운영현황=i,311,9
[부록 2] 대구ㆍ경북지역 마을하수처리시설 계획현황=x,320,19
[부록 3] 하빈ㆍ대창유역 인구현황=xxix,339,3
[부록 4] 하빈ㆍ대창유역 축산현황=xxxii,342,9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2
CONTENTS=11,13,12
Chapter 1. Introduction=23,25,1
1.1 Purposes and necessities of the research=23,25,5
1.2 Scope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28,30,3
1.3 Plan of the research=30,32,2
Chapter 2. Basis of sub-basin management policy=32,34,1
2.1 Management unit of the basin=32,34,3
2.2 Watershed classification in TMDL=35,37,7
2.3 Cartography of the watershed=42,44,8
2.4 Goal of the watershed management=49,51,3
2.5 Techniques of the watershed management=51,53,17
2.6 Management guidelines in sub-basin=67,69,4
2.7 Tendency of the domestic/foreign watershed management=70,72,9
Chapter 3. Present status in Nac-dong river watershed area=79,81,1
3.1 Classification of water system in Nac-dong river watershed=79,81,13
3.2 Natural environment=92,94,11
3.3 Human and social environment=103,105,7
3.4 Present conditions of the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110,112,7
Chapter 4. Selection of sub-basins=117,119,1
4.1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representative basin selection=117,119,6
4.2 Characteristics of Ha-bin basin=123,125,11
4.3 Characteristics of Dae-chang basin=134,136,14
Chapter 5. Determination of pollutant loadings in selected basins=148,150,1
5.1 Pollutant loadings from the farm land=148,150,6
5.2 Basis unit of the pollutant loadings=154,156,11
5.3 Determination of the pollutant loadings in Ha-bin basin=165,167,12
5.4 Determination of the pollutant loadings in Dae-chang basin=177,179,13
Chapter 6. Determination of stormwater runoff and pollutant reduction amounts in the selected sub-basins=190,192,1
6.1 Monitoring and analysis of water quantity and quality=190,192,11
6.2 Stormwater runoff=200,202,6
6.3 Determination of the pollutant load reduction in the selected watershed=205,207,4
Chapter 7. Water quality protection technique in the sub-basins=209,211,1
7.1 Management techniques of the impervious surface=209,211,9
7.2 Land preservation techniques=218,220,2
7.3 Management of farm land=219,221,7
7.4 BMPs on stormwater runoff=225,227,22
7.5 Wastewater and sewage management techniques=247,249,21
7.6 Stream restoration=267,269,9
7.7 Watershed management program=275,277,25
7.8 Effects of the Water quality protection technique in the selected sub-basins=299,301,3
7.9 Expectation effects and research application=302,304,2
REFERENCE=304,306,4
APPENDIX=308,310,1
[APPENDIX I] Present condition of the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Nac-dong river watershed area=i,311,9
[APPENDIX II] Future construction plan of the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Dae-gu and Kyung-pook areas=x,320,19
[APPENDIX III] Present status of the population Ha-bin and Dea-chang basin=xxix,339,3
[APPENDIX IV] Present status of the stock Ha-bin and Dea-chang basin=xxxii,342,9
[그림 1-1] 낙동강 수계도=27,29,1
[그림 1-2] 과업 수행 흐름도=31,33,1
[그림 2-1] 유역의 개념도=32,34,1
[그림 2-2] 유역구분의 개념도=34,36,1
[그림 2-3] 1차 소배수구역 구분 공정도=37,39,1
[그림 2-4] 벡터 중첩법=38,40,1
[그림 2-5] Threshold value=39,41,1
[그림 2-6] DEM으로부터 생성된 하천 소배수구역 경계=39,41,1
[그림 2-7] 행정경계와 소배수구역 경계=40,42,1
[그림 2-8] 최종 소배수구역 구분 공정도=41,43,1
[그림 2-9] 단위유역기본도=43,45,1
[그림 2-10] 수로 기본=43,45,1
[그림 2-11] 단위유역 관리지도=44,46,1
[그림 2-12] 수로 관리지도=44,46,1
[그림 2-13] 유역관리 계획수립의 접근방향 변화=49,51,1
[그림 3-1] 낙동강수계 위치도=80,82,1
[그림 3-2] 낙동강 유역의 하천 모식도=82,84,1
[그림 3-3] 낙동강 유역 수자원의 부존량 및 이용현황=87,89,1
[그림 3-4] 낙동강 유역의 지질도=94,96,1
[그림 3-5] 낙동강 유역내의 행정구역=103,105,1
[그림 4-1] 대표 소유역 선정 절차=119,121,1
[그림 4-2] 선정된 대표 소유역의 토지이용현황 비교(2002)=121,123,1
[그림 4-3] 하빈천 전경=123,125,1
[그림 4-4] 하빈천 유역의 경계도=124,126,1
[그림 4-5] 하빈천 유역의 지질도=125,127,1
[그림 4-6] GIS를 활용한 하빈천 유역의 토지이용현황도=128,130,1
[그림 4-7] 하빈천 유역내 1984년부터 2003년까지의 연간강수량=130,132,1
[그림 4-8] 대창천 전경=134,136,1
[그림 4-9] 대창천 소유역 경계도=135,137,1
[그림 4-10] 대창천 유역의 지질도=136,138,1
[그림 4-11] GIS를 활용한 대창천 유역의 토지이용현황도=140,142,1
[그림 4-12] 대창천 유역내 1984년부터 2003년까지의 연간강수량=142,144,1
[그림 5-1] 대곡천 유역형상 및 실험 논,밭 위치=149,151,1
[그림 5-2] 시비특성과 질소농도 변화의 관계=153,155,1
[그림 5-3] 대곡천 유역내 배출부하와 유달부하의 관계=153,155,1
[그림 5-4] 하빈천 유역내 밭의 분포도=169,171,1
[그림 5-5] 하빈천 유역내 논의 분포도=170,172,1
[그림 5-6] 하빈천 유역내 목장용지의 분포도=171,173,1
[그림 5-7] 하빈천 유역내 임야의 분포도=172,174,1
[그림 5-8] 하빈천 유역내 기타지역 분포도=173,175,1
[그림 5-9] 하빈천 유역의 오염원별 BOD 기여도=176,178,1
[그림 5-10] 하빈천 유역의 오염원별 T-N 기여도=176,178,1
[그림 5-11] 하빈천 유역의 오염원별 T-P 기여도=176,178,1
[그림 5-12] 대창천 유역내 밭의 분포도=181,183,1
[그림 5-13] 대창천 유역내 논의 분포도=182,184,1
[그림 5-14] 대창천 유역내 목장용지의 분포도=183,185,1
[그림 5-15] 대창천 유역내 임야의 분포도=184,186,1
[그림 5-16] 대창천 유역내 기타지역 분포도=185,187,1
[그림 5-17] 대창천 유역의 오염원별 BOD 기여도=189,191,1
[그림 5-18] 대창천 유역의 오염원별 T-N 기여도=189,191,1
[그림 5-19] 대창천 유역의 오염원별 T-P 기여도=189,191,1
[그림 6-1] 하빈천의 유량,수질 측정지점=191,193,1
[그림 6-2] 대창천의 유량,수질 측정지점=192,194,1
[그림 6-3] 유량 측정방법-유속면적법=193,195,1
[그림 6-4] 하빈천 지점의 수심 및 하상변화=194,196,1
[그림 6-5] 하빈천의 강우 전ㆍ후 유량측정 모습=194,196,1
[그림 6-6] 강우후 하빈천 지점의 수심 및 하상변화=195,197,1
[그림 6-7] 대창천 지점의 수심 및 하상변화=198,200,1
[그림 6-8] 대창천의 유량 및 수질 측정모습=198,200,1
[그림 6-9] 낙동강수계 광역시ㆍ도 경계지점 목표수질=206,208,1
[그림 7-1] 하빈천 유역내 도로의 분포와 면적=213,215,1
[그림 7-2] 대창천 유역내 도로의 분포와 면적=214,216,1
[그림 7-3] 하빈천 유역의 토지이용기술을 적용한 지구설정 예시=217,219,1
[그림 7-4] 하빈천 유역에서 토지보존지역 설정 예=219,221,1
[그림 7-5] 하빈천과 대창천 유역의 밭의 분포=221,223,1
[그림 7-6] 하빈천과 대창천 유역의 논의 분포=224,226,1
[그림 7-7] Infiltration Basin=236,238,1
[그림 7-8] Extended Detention Basin=236,238,1
[그림 7-9] Pond/Wetland System=236,238,1
[그림 7-10] Surface Sand Filter=237,239,1
[그림 7-11] Perimeter Sand Filter=237,239,1
[그림 7-12] Bioretention=237,239,1
[그림 7-13] Vegetated Dry Swale의 설계 예와 적용 예=238,240,1
[그림 7-14] Stormcepter의 모형=238,240,1
[그림 7-15] 상용화된 stormfilter의 종류=239,241,1
[그림 7-16] Micropool ED Pond의 설계 및 적용 예=240,242,1
[그림 7-17] Wet Pond의 설계와 적용 예=240,242,1
[그림 7-18] Multiple Pond System의 설계와 적용 예=240,242,1
[그림 7-19] Shallow Marsh의 설계와 적용 예=241,243,1
[그림 7-20] Pond/Wetland의 설계와 적용 예=241,243,1
[그림 7-21] Submerged Gravel Wetland의 설계와 적용 예=241,243,1
[그림 7-22] Infiltration Trench의 설계와 적용 예=242,244,1
[그림 7-23] Infiltration Basin의 설계와 적용 예=242,244,1
[그림 7-24] Organic Filter의 설계와 적용 예=242,244,1
[그림 7-25] Dry Swale의 설계와 적용 예=243,245,1
[그림 7-26] Wet Swale의 설계와 적용 예=243,245,1
[그림 7-27] 하빈천 유역의 BMPs 적용 예시=246,248,1
[그림 7-28] 수생태계와 점오염원의 상호관계=247,249,1
[그림 7-29] 마을하수도 공법 및 관리=252,254,1
[그림 7-30] 하빈천 유역내 주거지역 분포에 따른 마을하수도 계획=255,257,1
[그림 7-31] 대창천 유역내 주거지역 분포에 따른 마을하수도 계획=257,259,1
[그림 7-32] 축산폐수 관리 방안=261,263,1
[그림 7-33] 가축분뇨를 포함한 폐기물 종합처리 및 자원화시스템=264,266,1
[그림 7-34] 하빈천유역의 소와 돼지의 사육 분포=265,267,1
[그림 7-35] 대창천유역의 소와 돼지의 사육 분포=266,268,1
[그림 7-36] 하천정화시설의 전경=271,273,1
[그림 7-37] 수초 재배섬 시설의 전경=272,274,1
[그림 7-38] 자갈접촉산화법의 정화원리=273,275,1
[그림 7-39] 하빈천과 대창천의 하류지역(비강우시)=275,277,1
[그림 7-40] 혼합 관리조직 모델=283,285,1
[그림 7-41] 하빈천 관리조직 예시=287,289,1
jpg
[그림 4-3] 하빈천 전경=123,125,1
[그림 4-4] 하빈천 유역의 경계도=124,126,1
[그림 4-6] GIS를 활용한 하빈천 유역의 토지이용현황도=128,130,1
[그림 4-8] 대창천 전경=134,136,1
[그림 4-9] 대창천 소유역 경계도=135,137,1
[그림 4-11] GIS를 활용한 대창천 유역의 토지이용현황도=140,142,1
[그림 5-4] 하빈천 유역내 밭의 분포도=169,171,1
[그림 5-5] 하빈천 유역내 논의 분포도=170,172,1
[그림 5-6] 하빈천 유역내 목장용지의 분포도=171,173,1
[그림 5-7] 하빈천 유역내 임야의 분포도=172,174,1
[그림 5-8] 하빈천 유역내 기타지역 분포도=173,175,1
[그림 5-9] 하빈천 유역의 오염원별 BOD 기여도=176,178,1
[그림 5-10] 하빈천 유역의 오염원별 T-N 기여도=176,178,1
[그림 5-11] 하빈천 유역의 오염원별 T-P 기여도=176,178,1
[그림 5-12] 대창천 유역내 밭의 분포도=181,183,1
[그림 5-13] 대창천 유역내 논의 분포도=182,184,1
[그림 5-14] 대창천 유역내 목장용지의 분포도=183,185,1
[그림 5-15] 대창천 유역내 임야의 분포도=184,186,1
[그림 5-16] 대창천 유역내 기타지역 분포도=185,187,1
[그림 5-17] 대창천 유역의 오염원별 BOD 기여도=189,191,1
[그림 5-18] 대창천 유역의 오염원별 T-N 기여도=189,191,1
[그림 5-19] 대창천 유역의 오염원별 T-P 기여도=189,191,1
[그림 6-9] 낙동강수계 광역시ㆍ도 경계지점 목표수질=206,208,1
[그림 7-1] 하빈천 유역내 도로의 분포와 면적=213,215,1
[그림 7-2] 대창천 유역내 도로의 분포와 면적=214,216,1
[그림 7-3] 하빈천 유역의 토지이용기술을 적용한 지구설정 예시=217,219,1
[그림 7-4] 하빈천 유역에서 토지보존지역 설정 예=219,221,1
[그림 7-5] 하빈천과 대창천 유역의 밭의 분포=221,223,1
[그림 7-6] 하빈천과 대창천 유역의 논의 분포=224,226,1
[그림 7-27] 하빈천 유역의 BMPs 적용 예시=246,248,1
[그림 7-30] 하빈천 유역내 주거지역 분포에 따른 마을하수도 계획=255,257,1
[그림 7-31] 대창천 유역내 주거지역 분포에 따른 마을하수도 계획=257,259,1
[그림 7-33] 가축분뇨를 포함한 폐기물 종합처리 및 자원화시스템=264,266,1
[그림 7-34] 하빈천유역의 소와 돼지의 사육 분포=265,267,1
[그림 7-35] 대창천유역의 소와 돼지의 사육 분포=266,268,1
[그림 7-36] 하천정화시설의 전경=271,273,1
[그림 7-37] 수초 재배섬 시설의 전경=272,274,1
[그림 7-39] 하빈천과 대창천의 하류지역(비강우시)=275,277,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