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7

Summary=9,10,6

Contents=15,16,3

목차=18,19,5

제1장 서론=23,24,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23,24,1

1. 연구의 목적=23,24,1

2.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23,24,1

가. 마가목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및 식품제조=23,24,1

나. 마가목의 영양성분 분석 및 동물실험=24,25,1

다. 마가목의 표준재배법 확립 및 우량묘 생산=24,25,1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25,26,1

1. 기술적 측면=25,26,1

2. 경제ㆍ산업적 측면=25,26,2

3. 사회ㆍ문화적 측면=26,27,1

제2장 국내ㆍ외 연구동향=27,28,1

1. 관련기술의 현황=27,28,1

2. 향후전망=27,28,1

제3장 마가목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28,29,1

제1절 서설=28,29,2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30,31,1

1. 추출물 및 분획물의 조제=30,31,1

가. 추출물의 조제=30,31,1

나. 분획물의 조제=30,31,1

2. 항 돌연변이원성 탐색=30,31,1

가. Bacillus subilis의 spore rec-assay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의 측정=30,31,2

나. Ames-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측정=31,32,2

3. 항암 활성 측정=32,33,1

가. 세포주 및 생육배지=32,33,1

나. SRB 방법=32,33,2

4. 세포 독성 측정=33,34,1

5. GST 활성 측정=33,34,1

6. ACE 활성 측정=33,34,1

7. α-glucosidase 활성측정=34,35,1

8. 마가목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관련 기술 개발=34,35,1

9. 마가목 추출물의 이용한 식품제조=34,35,1

가. 다류 제품 개발=34,35,1

나. 음료개발=35,36,1

다. 주류 제품 개발=35,36,2

라. 쿠키 개발=36,37,3

마. 시제품에 대한 관능검사=39,40,1

제3절 결과 및 고찰=40,41,1

1. 추출물의 수율=40,41,2

2. 마가목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탐색=42,43,1

가. Spore-rec Assay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42,43,1

나.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42,43,5

3. 마가목 추출물의 항암 활성 실험=47,48,5

4. 분획물의 수율 및 분획물의 항암,ACE,α-glucosidase,GST 활성 측정 결과=52,53,1

가. 분획물의 수율=52,53,1

나. 항암 활성 효과=52,53,2

다. 세포독성=53,54,7

라. ACE 억제 활성 탐색=60,61,1

마.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측정=60,61,1

바. α-glucosidase 억제 활성 탐색=60,61,4

5. 마가목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개발=64,65,1

가. 다류,음료,주류,쿠키(파이) 시제품 개발=64,65,2

나. 관능검사=66,67,2

제4장 마가목의 영양성분 분석=68,69,1

제1절 서설=68,69,2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69,70,1

1. 마가목,수피,열매의 일반성분 분석=69,70,1

2. 마가목 열매와 수피의 지방산 분석=69,70,1

3. 마가목 열매와 수피 추출물의 아미노산 분석=69,70,3

4. 마가목 열매의 비타민C 및 E 분석=72,73,1

5. 무기물 분석=72,73,1

6. 마가목 꽃의 향기성분 분석=72,73,2

7. 배당체 정성분석=74,75,2

8. In vitro에서의 항산화 효과 실험=75,76,1

9. 항산화 물질의 분리 및 구조 확인=75,76,1

가. 추출 및 유기용매에 의한 분획 분리=75,76,1

나. Sephadex LH-20을 이용한 항산화 물질의 분리=75,76,2

다. Prep-HPLC에 의한 flavonoid의 분리=76,77,1

라. Mass 및 NMR 분석=76,77,1

10. 마가목 추출물의 효능검증(동물실험)=77,78,1

가. 식이의 재료와 조제=77,78,1

나. 실험동물 사육=77,78,1

다. 시료의 채취=77,78,2

라. 미토콘드리아 및 cytosol의 분리=79,80,1

마. 혈청 및 간장중의 지질함량 분석=79,80,1

바. 분변 중의 담즙산 분석=79,80,1

사.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in vivo 항산화 효소계 활성 측정(간장)=79,80,2

아. 단백질 정량=80,81,1

자. 통계처리=80,81,2

제3절 결과 및 고찰=82,83,1

1. 마가목,잎,줄기,열매로부터 추출물의 수율=82,83,1

2. 마가목 열매 및 수피의 일반성분 분석=82,83,1

3. 마가목 열매와 수피의 지방산 분석=82,83,5

4. 마가목 추출물의 amino acid 분석=86,87,5

5. 마가목 열매의 비타민C 및 E 분석=91,92,1

6. 마가목 열매의 무기물 함량=91,92,3

7. 마가목 꽃의 향기성분 분석=94,95,1

8. 배당체의 정성분석=94,95,4

9.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98,99,1

10. 항산화 물질 분리 및 구조 확인=98,99,6

11. 동물실험=104,105,1

가. 성장률=104,105,1

나. 혈청중의 지질함량 측정=104,105,2

다. 간장중의 지질함량 측정=105,106,9

라. 분변량 및 분변 중의 담즙산 배설=114,115,1

마. 항산화 효소계 활성 측정(간장)=114,115,6

바. 간장조직의 지질과산화 분석=120,121,3

제5장 마가목의 우량묘 대량생산법=123,124,1

제1절 서설=123,124,1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124,125,1

1. 우량묘의 대량 배양기술 개발=124,125,1

가. 마가목 종자의 발아조건=124,125,1

나. 마가목의 실생 육묘기술=125,126,1

다. 시비량 설정시험=125,126,1

라. 피복효과 시험=125,126,2

마. 전정효과 시험=126,127,1

바. 병해충 조사=126,127,1

사. 우량묘 선발=126,127,1

제3절/제2절 결과 및 고찰=127,128,1

1. 마가목과 종자의 발아율 제고=127,128,1

가. 층적온도 및 발아온도에 따른 발아특성=127,128,4

나. 저장방법에 의한 발아율의 변화=130,131,1

다. 화학약품 처리가 마가목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130,131,3

라. 생장조절제 처리가 마가목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133,134,2

2. 마가목의 실생 육묘기술=135,136,1

가. 육묘방법별 출현기 및 출현율=135,136,1

나. 육묘방법별 생육량 변화=135,136,7

3. 마가목의 표준재배법=142,143,1

가. 시비량 설정연구=142,143,5

나. 피복효과 시험=147,148,3

다. 전정 효과시험=150,151,1

라. 병해충 조사=150,151,1

마. 우량묘 선발=150,151,6

제6장 목표 달성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156,157,1

제7장 연구 개발결과의 활용계획=157,158,1

제8장 참고 문헌=158,159,4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5

Contents=15,16,8

Chapter 1. Introduction=23,24,1

Section 1. Objective and Scope of Research=23,24,2

Section 2. Needs of Research=25,26,2

Chapter 2./Section3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y=27,28,1

Chapter 3./2 Development of Functional Product and Screening For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Sorbus commixta Hedl=28,29,1

Section 1. Introduction=28,29,2

Section 2. Methods and Materials=30,31,1

1./1) Sample Preparation of extracts and fractions=30,31,1

2./2)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test using Ames test=30,31,3

3./3) Anticancer test=32,33,2

4./4) Cytotoxicity test=33,34,1

5./5) Screening of GST activities=33,34,1

6./6) Screening of ACE activities=33,34,1

7./7) Screening of α-glucosidase activities=34,35,1

8./2 Development of function product using the extracts of Sorbus commixta Hedl=34,35,1

가./1) Tea products=34,35,1

나./2) Soft drinks=35,36,2

다./3) Cookies=36,37,3

라./4) Sensory evaluation test for developed product=39,40,1

Section 3. Results and Discussion=40,41,1

1. Screening on the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Sorbus commixta Hedl=40,41,12

가./1) Yields of the fractions=52,53,1

나./2) Anticancer effects of the fractions=52,53,2

다./3) Cytotoxicity of the fractions=53,54,7

라./4) AC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and fractions=60,61,1

마./5) GST activities of extracts and fractions=60,61,1

바./6) α-glucosidase activities of the extracts and fractions=60,61,8

Chapter 4./3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Sorbus commixta Hedl.=68,69,1

Section 1. Introduction=68,69,2

Section 2. Methods and Materials=69,70,1

1. Analysis of General components=69,70,1

2./2) Analysis of fatty acid=69,70,1

3./3) Analysis of amino acid=69,70,3

4./4) Analysis of vitamin C and E=72,73,1

5./5) Analysis of minerals=72,73,1

6./6)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72,73,2

7./7) Analysis of glycosides=74,75,2

8./8)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ies=75,76,7

Section 3. Results and Discussion=82,83,22

11./2 Animal study=104,105,1

가./1) Growth parameters=104,105,1

나./2) Lipid levels in serum=104,105,2

다./3) Lipid levels in liver=105,106,9

라./4) Fecal weight and fecal bile acid excretion=114,115,1

마./5) Measurement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iver=114,115,6

바./6) MDA production in liver=120,121,3

Chapter 5./4 Development of mass production of Sorbus commixta Hedl.=123,124,1

Section 1. Introduction=123,124,1

Section 2. Materials and Methods=124,125,1

가./1) Germination rate=124,125,1

나./2) Growing seedling method=125,126,1

다./3) Soaking method=125,126,1

라./4) Fertilizer requirement=125,126,2

마./5) Mulching effect test=126,127,1

바./6) Pruning effect test=126,127,1

사./7) Pest and disease occurrence=126,127,1

Section 3./2 Results and Discussion=127,128,4

나./1) Germination rate=130,131,1

다./2) Growing seedling method=130,131,3

라./3) Soaking method=133,134,9

가./4) Fertilizer requirement=142,143,5

나./5) Mulching effect test=147,148,3

다./6) Pruning effect test=150,151,1

라./7) Pest and disease occurrence=150,151,8

Chapter 8./5 References=158,1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