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0,3,4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김용현=1,7,1

Project Summary(Summery)/Yong Hyun Kim=2,8,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김용현=3,9,1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4,10,4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8,14,8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16,22,1

제1장 영상 Sequence 및 Imaging Protocol 분야=16,22,1

제1절 Clinical Imaging Protocol=16,22,1

1. Head=16,22,1

2. Cervical Spine=17,23,1

3. Thoracic Soine=18,24,1

4. Lumbar Spine=19,25,1

5. Abdomen=20,26,2

6. Extremity=22,28,2

7. TMJ,Breast=24,30,2

8. Orbit Imaging Protocol=26,32,1

9. Cardiac Protocol=27,33,3

제2절 Package=30,36,1

1. Abdomen=30,36,4

2. Angiography:Gated TOF=34,40,4

3. PC Angiography=38,44,2

4. CE Angiography=40,46,2

5. MRCP 영상(with JetFSE or HASTE)=42,48,2

6. Dynamic Study=44,50,3

7. Lung Imaging Package 개발=47,53,1

제3절 Pulse Sequence=48,54,1

1. Water/Fat Suppression(3-Point Dixon + FSE)=48,54,3

2. 3D Gradient Echo(CISS,DESS)=51,57,4

3. Black Blood Angiography=55,61,1

4. ZIP Angiography(Enhanced Angiography)=56,62,3

5. 2D/3D True FISP(Cardiac Application)=59,65,3

6. Mylography=62,68,1

7. Fourier Transform Arteriography=63,69,3

8. Hybrid EPI 개발=66,72,2

9. High Speed Spectroscopy=68,74,3

10. Cardiac 영상법 개발=71,77,14

11. Spatial-Spectral Selective RF Pulse 개선=85,91,2

12. Coronary Artery 영상기법개발=87,93,2

제2장 Operating Software 분야=89,95,1

제1절 User Interface=89,95,1

1. 3D Scout=89,95,1

2. Rectangular FOV=90,96,2

3. Parameter Extraction=92,98,1

4. DB Extension=93,99,1

5. User Defined Protocol=94,100,1

6. DB Archiving=95,101,2

7. Multi Language=97,103,1

8. Second Console=98,104,2

9. Auto Gain=100,106,3

10. Auto RF Adjust=103,109,3

11. Magnus 2.5[원본불량;p.107]=106,112,4

제2절 Network & Package=110,116,1

1. DICOM(PACS Interface) System=110,116,3

2. Remote Access System(RAS)=113,119,2

3. Web-Based User Support=115,121,3

4. Dynamic Scan=118,124,2

5. Kinematic Scan=120,126,1

6. MagPACS=121,127,3

7. Intelligent Slice Position=124,130,3

8. Quantitative Analysis=127,133,3

9. Diffusion Tensor User Interface=130,136,3

10. CSI Evaluation GUI 상품화=133,139,5

11. Cardiac Evaluation package 개발=138,144,14

제3절 Data Processing=152,158,1

1. NT-Based Raw Data Processing=152,158,7

2. ECC Algorithm 개선=159,165,3

3. Fast Shim Algorithm=162,168,4

4. CSI를 위한 Local Shim=166,172,3

제4절 Image Processing=169,175,1

1. MPR(Multiple Planar Recon.)-Oblique[원본불량;p.170]=169,175,2

2. EPI Image Artifact 개선=171,177,4

3. Image Filter 개선=175,181,2

4. Diffusion Tensor 영상 측정방법의 개발과 최적화=177,183,4

5. FA(Fractional Anisotropy) 영상의 습득 알고리즘의 구현=181,187,3

제5절 System Tuning Tool=184,190,1

1. Quality Assurance=184,190,2

2. SAR=186,192,4

제6절 Hardware Interface=190,196,1

1. CIP Control=190,196,1

2. Patient Table Remote Control=191,197,5

3. ECG Monitoring=196,202,3

제3장 System Hardware 분야=199,205,1

제1절 RF Coil=199,205,1

1. Phased Array Coil=199,205,2

2. Phase Array Flexible Coil(5 inch,7 inch)=201,207,1

3. Phase Array Torso Coil=202,208,1

4. RF Coil 자동 전환 장치 개발[원본불량;p.203]=203,209,2

5. Rf Coil내 삽입형 Low Noise Preamp 개발=205,211,1

6. RF Coil내 삽입형 Coupler 개발=206,212,4

7. RF Chain 개선(RF Shield,CIP Cab,Filter Box 등)=210,216,2

8. Neurovascular Coil 개발=212,218,1

9. 2 channel Phased Array 개발(L-Spine,C-Spine)=213,219,3

10. 4 Channel Phased Array Head Coil=216,222,2

11. 4 Channel C/T/L-Spine Coil=218,224,1

12. Tx/Rx Switching 개발=219,225,3

13. Embedded Preamp 개발=222,228,1

14. CSI 용 Local RF Coil 개발=223,229,4

15. Spread Head RF Coil 개발=227,233,4

16. TMJ RF 코일 개발=231,237,2

17. Breast RF 코일 개발=233,239,2

제2절 Hardware=235,241,1

1. Spectrometer 시작품 개발=235,241,2

2. New Spectrometer Prototype 개발=237,243,9

3. 현 Prototype으로 SE 및 FSE pulse sequence 구현 후 완성된 spectrometer 상품화=246,252,16

제3절 System=262,268,1

1. Acoustic Noise Reduction(Passive Noise Suppression)=262,268,1

2. VCR Interface=263,269,1

3. High Performance Intercom 상품화=264,270,2

4. Patient Table 개발=266,272,4

제4장 임상유용성 검토=270,276,1

1. Hemorrhage Sequence와 FLAIR Sequence 에 대한 영상습득방법의 수립 및 최적의 측정 Protocol의 확립=270,276,1

2. Hemorrhage Sequence와 FLAIR Sequence 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 평가=271,277,1

3. TOF Angiography 의 촬영조건 최적화와 임상적 유용성 평가=271,277,1

4. Image Postprocessing기법(MIP,MPR,Image Enhancement) 의 유용성 평가=272,278,1

5. Fat suppression 기법의 임상 적 유용성 평가=272,278,1

6. 조영증강에 의한 3D 혈관 촬영 조영술에 대한 protocol 확립 및 임상적 유용성 평가=273,279,1

7. 심장질환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측정방법 검토와 임상 평가 프로그램의 검토와 평가=274,280,1

8. 1.0T와 1.5T하에서의 확산강조영상의 비교=275,281,1

9. 뇌종양의 악성도 감별에 대한 확산강조영상과 ADC 값의 임상적 유용성의 평가=276,282,1

10. 심근 경색 환자에서 다양한 자기공명영상기법의 비교평가 및 임상적 의의 확립=277,283,1

11. 심근경색에 있어 동물 모델 실험을 통한 괴사 조직 특이 부착능을 가진 조영제(Gadophrin-2)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 의 평가=278,284,1

12. 심장 질환의 영상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혈관조영기법의 이론적 실험적 검토와 임상 예비 실험=279,285,1

13. 심근 경색 및 심근 허혈을 유도한 고양이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MRI영상 방법을 평가하여 임상적용을 위한 최적의 MRI 영상기법을 완성=280,286,2

4. 제1제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282,288,1

5.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283,289,12

6.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295,301,1

7. 참고문헌=296,302,7

8. 첨부서류=303,3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