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요약문=i,3,12
SUMMARY=xiii,15,9
제목차례=xxii,24,12
표차례=xxxiv,36,8
그림차례=xlii,44,22
Contents=lxiv,66,13
List of Tables=lxxvii,79,9
List of Figures=lxxxvi,88,22
제1장 서론=1,110,1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110,1
1. 개요=1,110,2
제2절 국내외 관련기술 연구동향=3,112,1
1. FRP 보강공법 관련 연구동향=3,112,1
가. 국내 연구동향=3,112,5
나. 국외 기술동향=7,116,8
2.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관련 연구동향=15,124,1
가.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기술동향=15,124,2
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연구동향=16,125,5
제3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21,130,1
1. 최종 목표=21,130,1
가. 최종연구개발 목표=21,130,1
나. 최종목표의 성격 및 설정 근거=21,130,2
2. 1차년도 연구개발 내용=22,131,1
가. 보수ㆍ보강재료,공법 현황 및 설문 조사 분석=22,131,1
나. 보수재료 품질시험법 및 품질기준 조사 연구=22,131,1
다. 보수재료 기본 물성 및 강도 특성 시험ㆍ분석 연구=22,131,1
라. 보강공법 기초 연구=22,131,1
마. 보강공법 성능평가 연구=22,131,1
바. 보수재료 품질시험(안),품질기준(안) 및 보강공법 평가기준(안) 제안=22,131,1
3. 2차년도 연구개발 내용=22,131,1
가. 교량의 내하성능 평가방안=22,131,2
나. 보강공법 설계ㆍ시공 지침 분석=23,132,1
다. 섬유보강공법의 요소기술 개발=23,132,1
라. 탄소섬유쉬트로 보강된 RC보의 성능검증을 위한 모형실험 연구=23,132,1
마. 수치해석을 통한 보강성능 평가=23,132,1
4. 3차년도 연구개발 내용=23,132,1
가. 콘크리트 주형의 손상 및 손상원인 분석=23,132,1
나. 보수ㆍ보강공법의 적용 절차 개발=23,132,2
다. 주형 보강공법의 요소기술 정립=24,133,1
라. 보강공법 성능검증을 위한 모형실험=24,133,1
마. 수치해석을 통한 보강성능 평가=24,133,1
바. 보강공법의 현장 적용성 분석=24,133,1
5. 4차년도 연구개발 내용=24,133,1
가. PSC 교량에 대한 FRP 보강공법 적용 방안 분석=24,133,1
나. 주요 보강공법 설계기준 제안=24,133,2
다. 주요 보강공법 간이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25,134,1
라. PSC보에 대한 FRP 및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의 보강성능=25,134,1
마. 비파괴 시험에 의한 보수ㆍ보강성능 평가 방안=25,134,1
바. 지침(안) 및 시방서(안)의 완성=25,134,1
제2장 콘크리트 교량의 보수ㆍ보강 현황=26,135,1
제1절 개요=26,135,3
제2절 콘크리트 교량의 주요 손상유형 및 보수ㆍ보강 현황 분석=28,137,3
1. 주요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손상유형 및 보수ㆍ보강 공법=30,139,3
2. 상부구조형식에 따른 손상 및 보수ㆍ보강 현황=32,141,3
3. 설계하중에 따른 손상 및 보수ㆍ보강 현황=34,143,5
4. 고속국도 바닥판의 보수ㆍ보강 현황=38,147,1
제3절 보수ㆍ보강에 의한 상태등급 변화 분석=39,148,3
제4절 국내의 보수재료 현황 분석=41,150,2
1. 균열주입용 수지계 재료=42,151,12
2. 단면복구용 (폴리머)시멘트계 재료=54,163,6
3. 보수재료별 제조사 시험자료 분석=59,168,3
제5절 보수ㆍ보강 재료 및 공법에 대한 설문조사=62,171,1
1. 보수재료에 관한 설문조사=62,171,1
가. 국내 보수ㆍ보강 관련업체 대상 설문조사=62,171,3
나. 관리주체 대상 설문조사=64,173,3
2. 보강공법에 관한 설문조사=67,176,1
가. 주요 보강 공사 실적에 관한 문항=67,176,2
나. 적용 기준에 관한 문항=68,177,2
다. 공법별 문제점 및 효과확인에 대한 문항=69,178,2
제6절 소결=70,179,2
제3장 콘크리트 교량의 보수ㆍ보강 재료 품질시험 및 품질기준=72,181,1
제1절 보수공법 및 보수재료의 종류=72,181,3
1. 표면피복공법 및 보수재료=75,184,1
가. 표면피복공법=75,184,1
나. 표면피복 보수재료=75,184,2
2. 주입공법 및 보수재료=76,185,1
가. 주입공법=76,185,2
나. 주입재료=78,187,1
3. 충전공법 및 보수재료=78,187,1
가. 충전공법=78,187,3
나. 충전재료=80,189,2
4. 기타 보수공법 및 보수재료=82,191,1
가. 전기화학적 보수공법=82,191,1
나. 콘크리트 구체 처리재=82,191,2
다. 철근방청 처리재=83,192,1
제2절 보강공법 및 보강재료의 종류=83,192,3
1. FRP 보강공법 및 보강재료=85,194,1
가. 탄소섬유 보강공법=86,195,3
나. 아라미드섬유 보강공법=88,197,2
다. 유리섬유 보강공법=89,198,2
2.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90,199,2
가. 마찰지지방식=91,200,2
나. 지압지지방식=92,201,2
제3절 국내외 보수재료 관련 규정=93,202,1
1. 국내 보수재료 규정=93,202,1
가. 시험기준=93,202,3
나. 시험방법=96,205,2
2. 일본 보수재료 규정=97,206,5
3. 미국 보수재료의 시험규정=101,210,2
4. 각국 보수재료의 시험규정 비교분석=103,212,3
제4절 국내외 보강재료 관련 규정=105,214,2
1. FRP 복합재료의 인장시험방법=106,215,5
2. FRP 복합재료의 이음시험방법=111,220,5
3. FRP 복합재료와 콘크리트와의 부착시험방법=115,224,6
4. FRP 복합재료와 콘크리트와의 접착시험방법=120,229,4
5. 소결=123,232,2
제5절 보수재료 품질성능 평가시험=124,233,1
1. 시험목적=124,233,1
2. 시험재료=125,234,1
3. 시험항목=125,234,1
4. 재료특성 시험=126,235,1
가. 점도=127,236,4
나. 비중=131,240,2
다. 가사시간=132,241,6
라. 경화수축률=137,246,3
마. 흡수율=139,248,2
바. 선팽창계수 시험=140,249,5
사. 에폭시 경화체의 SEM 분석=144,253,4
아. 열분석(TGA)=147,256,5
자. 가열변화=151,260,3
5. 강도시험=153,262,1
가. 일반사항=153,262,2
나. 인장전단접착강도=154,263,4
다.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시험=157,266,3
라. 압축강도=160,269,4
마. 휨강도=163,272,3
바. 부착강도=166,275,3
6. 결과 분석 및 검토=168,277,3
제6절 보강재료의 품질성능 시험=170,279,1
1. 적층수에 따른 섬유보강재의 인장강도=170,279,1
가. 연구 목적=170,279,1
나. 시험 개요=170,279,4
다. 시험 결과 및 고찰=174,283,5
라. 소결=178,287,1
2. 이음길이에 따른 섬유보강재의 인장강도=179,288,1
가. 연구 목적=179,288,1
나. 시험 개요=179,288,2
다. 시험 결과 및 고찰=180,289,9
라. 소결=188,297,1
3. 부착길이에 따른 탄소섬유쉬트의 부착강도=188,297,1
가. 연구 목적=188,297,2
나. 실험 개요=190,299,5
다. 실험 결과 및 고찰=195,304,11
라. 소결=205,314,2
제4장 FRP 보강공법의 보강성능 평가=207,316,1
제1절 개요=207,316,2
제2절 보강된 철근콘크리트보의 성능검증 실험=208,317,1
1. 실험체의 제작=208,317,1
가. 콘크리트 실험체=208,317,3
나. 변형률 게이지 매설 작업=210,319,2
다. 탄소섬유쉬트 보강시공=211,320,3
2. 휨 실험 실시 계획=213,322,1
가. 실험체의 종류와 실험 변수=213,322,2
나. 가력 및 측정 계획=214,323,3
다. 측정항목=216,325,4
라. 사용재료의 물성=219,328,1
3. 실험결과의 분석=219,328,1
가. 최대하중 및 파괴양상=219,328,5
나. 하중-변위 그래프=223,332,5
다. 중앙 단면에서의 변형률 분포=227,336,3
라. CFRP의 변형률 분포=229,338,6
4. 소결=234,343,3
제3절 수치해석을 통한 FRP 보강공법 성능 평가=236,345,1
1. 계면응력 이론에 의한 부착성능 검토=236,345,1
가. 연구 목적=236,345,2
나. 부착거동에 대한 주요 이론=237,346,18
다. 해석 결과의 비교 및 고찰=254,363,6
2.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보강효과 평가=260,369,1
가. 완전부착모델에 의한 유한요소해석=260,369,11
나. 부착파괴를 고려한 유한요소해석=270,379,11
3. 소결=280,389,1
제4절 FRP 보강공법의 설계 기준 개발=281,390,1
1. 개요=281,390,1
2. 휨보강 설계 기준=281,390,1
가. 감소계수=281,390,18
나. 보강량 제한=299,408,3
다. 부착파괴 제한=301,410,9
3. 전단보강 설계 기준=309,418,3
가. 보강형태=311,420,2
나. 전단보강량 산정=312,421,1
다. 유효변형률 산정=312,421,2
라. 부착감소계수=313,422,2
마. 보강 제한=314,423,1
제5절 FRP 보강공법의 보강 설계프로그램=315,424,1
1. 개요=315,424,1
2. 해석 절차=315,424,1
가. 보강 전 잔류 변형률의 산정=315,424,2
나. 최대 보강량 및 균형 보강량의 산정=316,425,4
다. 공칭강도의 산정=319,428,4
라. 부착파괴의 검토=322,431,3
3. 설계 프로그램 개발=324,433,3
제6절 소결=326,435,3
제5장 PSC교량에 대한 보강 성능 평가=329,438,1
제1절 개요=329,438,1
제2절 FRP로 보강된 PSC보의 성능 검증 실험=329,438,1
1. 실험 목적=329,438,2
2. 실험체 개요=330,439,3
가. 실험체의 공칭강도=332,441,2
나. 설계 활하중의 결정=333,442,1
다. 프리스트레스 힘의 산정=334,443,1
라. 실험 변수 및 보강 설계=334,443,2
3. 보강실험체 제작=335,444,5
4. 가력 및 측정계획=339,448,2
제3절 보강성능 평가실험 결과 분석=341,450,1
1. 단면해석에 의한 보강실험체 성능 평가=341,450,1
가. 사용하중 상태에서의 응력 검토=341,450,8
나. 극한 상태에서의 강도 검토=348,457,9
2. 보강성능 평가 실험결과=356,465,1
가. 파괴모드=356,465,4
나. 하중-변위 곡선=359,468,2
다. 하중-변형 관계 검토=361,470,3
제4절 소결=364,473,1
제6장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성능평가=365,474,1
제1절 개요=365,474,1
1.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365,474,1
가. 보강공법의 장점=365,474,2
나. 보강공법의 단점=366,475,2
2.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의 형식=367,476,1
가. 마찰지지방식=367,476,3
나. 지압지지방식=369,478,2
다. 직선배치방식=371,480,2
제2절 외부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단순교의 연속화 방안 연구=372,481,1
1. 교량의 연속화=373,482,1
가. 신축이음장치 제거 단계=373,482,2
나. 합성교좌장치 설치단계=374,483,2
다. 경간 연속화 단계=375,484,1
라. 합성교좌장치 안착단계=375,484,1
마. 앵커 및 보강 철근 배근단계=376,485,1
바. 정리단계=376,485,1
2. 적용 교량의 연속화 거동 분석=376,485,4
제3절 외부 프리스트레싱장치 정착구 설계기법=379,488,1
1. 정착구 설계=379,488,1
가. 허용지압응력 검토=379,488,1
나. 긴장용 PS 강봉의 마찰력 검토=379,488,2
다. 용접단면 검토=380,489,2
라. 필요 최소볼트 수 산정=381,490,1
마. 볼트의 전단력,지압응력 검토=382,491,1
바. 볼트의 지지성능=382,491,2
사. 강봉의 전단력 검토=383,492,2
아. 강봉과 콘크리트 사이의 지압력 검토=384,493,2
자. 강봉과 강판사이의 지압응력 검토=385,494,1
차. 강봉홀 중앙에서 강판까지의 최소연단거리=385,494,2
카. 정착구 설계 예=386,495,4
2. 새들 설계=390,499,3
3. 정착구 구조해석=392,501,1
가. 교량제원=392,501,2
나. 응력검토를 위한 이론적 해석 및 허용응력=393,502,3
다. 정착방식별 구조해석=396,505,8
제4절 기존 교량의 설계보고서 분석=403,512,1
1. 정착구 검토에 대한 교량 현황=403,512,2
2. 강도설계법에 의한 보강 교량 검토=404,513,3
3. 정착구의 재설계=406,515,1
가. 마찰지지방식=406,515,2
나. 지압지지방식=407,516,2
다. 직선배치방식=408,517,2
4. 기설계된 정착구 용량에 대한 교량의 보강강도 검토=409,518,2
제5절 실험을 통한 보강성능 평가=410,519,1
1. 모형 실험체 설계 및 제작=410,519,1
가. 무보강 보 설계=410,519,6
나. 보강설계[원본불량;p.425]=415,524,12
2. 실험계획=426,535,1
가. 가력 및 측정 계획=426,535,1
나. 측정항목=426,535,2
3. 실험결과=427,536,2
가. 사전가력 및 외부 프리스트레싱 도입=428,537,3
나. 선형 탄성 구간=430,539,5
다. 파괴 하중=434,543,7
4. 실험결과에 대한 고찰=440,549,2
제6절 해석을 통한 보강성능 평가=442,551,2
1. 보강된 보의 단면해석=443,552,1
가. 부착된 긴장재의 인장강도 산정=443,552,8
나. 비부착 효과를 고려한 긴장재의 인장강도 산정=450,559,2
다. 비부착 효과 및 2차 효과를 고려한 긴장재의 인장강도 산정=451,560,3
라. 실험결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453,562,4
2. 보강된 보의 유한요소해석=456,565,1
가. 재료의 비선형 구성 모델=456,565,2
나. 유한요소 모델링=457,566,4
다. 해석 결과=461,570,7
제7절 PSC 휨 보강 설계 프로그램 개발=468,577,20
제8절 소결=488,597,1
제7장 보수ㆍ보강공법의 성능 평가 방안=489,598,1
제1절 콘크리트 교량의 손상탐지 기법=490,599,1
1. 개요=490,599,2
2. 콘크리트 강도 시험=491,600,2
가. 코어에 의한 강도시험=492,601,2
나. 비파괴 시험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493,602,10
3. 콘크리트 열화 추정을 위한 시험=503,612,1
가. 콘크리트 균열 측정=503,612,6
나. 중성화 깊이 시험=508,617,3
다. 염화물 함유량 시험=510,619,2
4. 철근의 열화 추정=511,620,1
가. 철근 배근 및 피복두께=511,620,4
나. 철근의 부식 탐사=514,623,4
제2절 콘크리트 교량의 내하력 평가 방안=518,627,2
1. 국내ㆍ외 내하력 평가방법 분석=519,628,2
가. 미국의 내하력 평가방법=520,629,6
나. 일본의 내하력 평가방법=525,634,10
다. 국내의 내하력 평가방법=534,643,7
라. 각국 내하력 평가방법 분석결과=540,649,5
2. 내하력 평가의 표준화 방안=545,654,1
가. 재하시험의 표준화 방안=545,654,10
나. 내하력 평가의 표준화 방안=555,664,5
3. 의사정적재하시험=560,669,1
가. 의사정적재하시험=560,669,2
나. 정적재하시험과 의사정적재하시험의 계측데이터 비교 및 문제점 고찰=562,671,3
다. 의사정적재하시험의 적용성 분석=564,673,1
4. 소결=565,674,1
제3절 보수ㆍ보강후 성능 평가=566,675,1
1. 개요=566,675,1
2. 균열보수 후 성능 평가=566,675,1
가. 코어 채취에 의한 성능 평가=567,676,1
나. 초음파 속도법에 의한 시공품질 평가=568,677,3
3. FRP 보강 후 시공성 평가=570,679,1
가. 재료 시편에 대한 평가=570,679,2
나. 접착강도 시험=571,680,5
4. PSC 교량의 잔존 프리스트레싱 힘 측정=576,685,1
가. 진동법에 의한 추정방법=576,685,6
나. Azizinamini의 방법=581,690,6
다. 노출실험에 의한 측정방법=587,696,4
라. 잔존 프리스트레싱 힘 추정방법의 적용성=590,699,2
제4절 성능평가를 위한 진동법의 적용성 실험연구=592,701,1
1. 개요=592,701,1
2. 고유진동수의 영향 인자 분석=592,701,1
가. EI의 변화=592,701,2
나. 축력의 변화=593,702,2
3. 진동 실험=595,704,1
가. 실험변수=595,704,1
나. 진동수 계측=595,704,2
4. 측정 결과=596,705,10
5. 실험 결과의 분석=606,715,1
가. 긴장력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 비교=606,715,2
나. 임의 손상 후 고유진동수 실측 비교=607,716,3
6. 소결=609,718,1
제8장 결론=610,719,1
제1절 최종 연구 결과=610,719,11
제2절 향후 연구 제언 및 활용계획=620,729,1
제9장 참고문헌=621,730,27
콘크리트 교량의 보수ㆍ보강 설계 지침(안) 및 공사시방서(안)=0,757,1
FRP 복합재료 보강공법 설계지침(안)=0,758,53
FRP 복합재료 보강공법 공사시방서(안)=0,811,39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설계지침(안)=0,850,76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공사시방서(안)=0,926,53
콘크리트 교량의 보수ㆍ보강재료 품질시험법 및 품질기준(안)=0,979,54
콘크리트 교량의 보수ㆍ보강공법 평가기준(안)=0,1033,1
균열보수용 주입공법의 시공품질 평가지침(안)=0,1034,16
FRP 보강공법의 보강성능 평가기준(안)=0,1050,28
FRP 보강공법 평가절차서(안)=0,1078,6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평가기준(안)=0,1084,21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평가절차서(안)=0,1105,12
판권지=12,1117,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65
Contents=lxiv,66,44
Chapter 1. Introduction=1,110,1
Section 1. Requirement of Research=1,110,1
1. Overview=1,110,2
Section 2. Research Trend on Internal and External Related with Technique=3,112,1
1. Research Trend on FRP Strengthening Method=3,112,1
a. Internal Research Trend=3,112,5
b. External Research Trend=7,116,8
2. Research Trend of External Prestressing=15,124,1
a. Technical Trend of External Prestressing=15,124,2
b. Research Trend of External Prestressing=16,125,5
Section 3. Objective and Contents=21,130,1
1. Final Objective=21,130,1
a. Final Objective of Research=21,130,1
b. Characteristic and Basis of Final Objective=21,130,2
2. Review of Primary Year Research=22,131,1
a. Present Condition Survey of RepairㆍStrengthening Material,Method & Question Inquiry=22,131,1
b. Survey of Quality Test and Standard of Repairing Material=22,131,1
c. Test and Analysis for Basic Properties & Strength of Repairing Materials=22,131,1
d. Basic Study on Strengthening Method=22,131,1
e. Study on Capacity Evaluation of Strengthening Method=22,131,1
f. Proposal of Repairing Material Quality Test,Quality Standard and Evaluation Standard of Strengthening Method=22,131,1
3. Review of Secondary Year Research=22,131,1
a. Loads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Device of Bridge=22,131,2
b. Survey of Strengthening Method DesignㆍConstruction Guide=23,132,1
c. Development of Sheet Fiber Method Technique=23,132,1
d. Proof Test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Carbon F.R.P. Sheets=23,132,1
e. Strengthening Capacity Evaluation via Numerical Analysis=23,132,1
4. Contents of Third Year Research=23,132,1
a. Survey of Damage and Its Causes of Concrete Girders=23,132,1
b. Development of Application Procedure for RepairㆍStrengthening Method=23,132,2
c. Technique Establishment of Strengthening Method for Girders=24,133,1
d. Proof Test for Efficiency of Proof Test=24,133,1
e. Strengthening Efficiency Evaluation via Numerical Analysis=24,133,1
f. Study on Field Availability of Strengthening Method=24,133,1
5. Contents of Forth Year Research=24,133,1
a. Applicable Plan Analysis for PSC Bridges with FRP Strengthening Method=24,133,1
b. Proposing of Design Standard for Principal Strengthening Method=24,133,2
c. Development of Easy Design Program for Principal Strengthening Method=25,134,1
d. Strengthening Capacity of FRP & External Prestressing for PSC Beams=25,134,1
e. Evaluation Plans of RepairㆍStrengthening Capacity Using Nondestructive Test=25,134,1
f. Completion of Guide(Proposal) & Specification(Proposal)=25,134,1
Chapter 2. Present status of RepairㆍStrengthening of Concrete bridges=26,135,1
Section 1. Overview=26,135,3
Section 2. Analysis of Damage Types of Concrete Bridge and Present status of RepairㆍStrengthening=28,137,3
1. Damage Types and RepairㆍStrengthening Method of Primary Structural Members=30,139,3
2. Present status of Damage and RepairㆍStrengthening for Superstructure Types=32,141,3
3. Present status of Damage and RepairㆍStrengthening for Design Loads=34,143,5
4. Present status of RepairㆍStrengthening for High Speed National Road=38,147,1
Section 3. Analysis of State Level Variation via RepairㆍStrengthening=39,148,3
Section 4. Present status Analysis of Internal Repair Material=41,150,2
1. Resin Materials for Crack Injection=42,151,12
2. Cement Materials for Section Repair=54,163,6
3. Test Data Analysis=59,168,3
Section 5. Question Survey about RepairㆍStrengthening Materials & Method=62,171,1
1. Question Survey about Repair Materials=62,171,1
a. Internal RepairㆍStrengthening Companies=62,171,3
b. The subject of Management=64,173,3
2. Question Survey about Strengthening Method=67,176,1
a. Actual Results of Principal Strengthening Construction=67,176,2
b. Applicable Standard=68,177,2
c. Problem & Effect of Strengthening Methods=69,178,2
Section 6. Conclusion=70,179,2
Chapter 3. Quality Test & Standard of RepairㆍStrengthening for Concrete Bridge=72,181,1
Section 1. Kinds of Repair Methods & Materials=72,181,3
1. Wearing Coat Method & Repair Materials=75,184,1
a. Wearing Coat Method=75,184,1
b. Wearing Coat Repair Materials=75,184,2
2. Injection Method & Repair Materials=76,185,1
a. Injection Method=76,185,2
b. Injection Materials=78,187,1
3. Packed Method & Repair Materials=78,187,1
a. Packed Method=78,187,3
b. Packed Materials=80,189,2
4. The Others Repair Method & Materials=82,191,1
a. Electrical & Chemical Repair Method=82,191,1
b. Treatment Material for Concrete=82,191,2
c. Treatment Material for Steel Rust-Proof=83,192,1
Section 2. Kinds of Strengthening Methods & Materials=83,192,3
1. Strengthening Method & Materials with FRP=85,194,1
a. CFRP Sheets=86,195,3
b. AFRP Sheets=88,197,2
c. GFRP Sheets=89,198,2
2. External Prestressing Method=90,199,2
a. Friction Support System=91,200,2
b. Bearing Support System=92,201,2
Section 3. Provisions about Internal & External Repair Materials=93,202,1
1. Internal Repair Materials=93,202,1
a. Test Standard=93,202,3
b. Test Method=96,205,2
2. Provisions of Repair Materials in Japan=97,206,5
3. Test Provisions of Repair Materials in USA=101,210,2
4. Comparison Analysis Results=103,212,3
Section 4. Provisions about Internal & External Strengthening Materials=105,214,2
1. Tensile Strength Test with FRP Composite=106,215,5
2. Splice Strength Test with FRP Composite=111,220,5
3. Bond Strength Test with FRP Composite=115,224,6
4. Pull-off Strength Test with FRP Composite=120,229,4
5. Conclusion=123,232,2
Section 5. Quality Evaluation Test for Repair Materials=124,233,1
1. Objects=124,233,1
2. Materials=125,234,1
3. Provisions=125,234,1
4. Test of Material Character=126,235,1
a. Viscosity=127,236,4
b. Specific Gravity=131,240,2
c. Working Life=132,241,6
d. Hardening Reduction Ratio=137,246,3
e. Absorption Ratio=139,248,2
f. Linear-Expansion Factor Test=140,249,5
g. SEM Analysis=144,253,4
h. TGA=147,256,5
i. Hot Variation=151,260,3
5. Strength Test=153,262,1
a. General=153,262,2
b. Tensile-Shear Bond Strength=154,263,4
c. Tensile-Shear Bond Strength Test of Initial Hardening=157,266,3
d. Compressive Strength=160,269,4
e. Flexural Strength=163,272,3
f. Bond Strength=166,275,3
6. Analysis of Test Result=168,277,3
Section 6. Quality Capacity Test of Strengthening Materials=170,279,1
1. Tensile Strength of FRP Materials by Layers=170,279,1
a. Objects=170,279,1
b. Test Scheme=170,279,4
c. Test Results & Consideration=174,283,5
d. Conclusion=178,287,1
2. Tensile Strength of FRP Materials by Splice Length=179,288,1
a. Objects=179,288,1
b. Test Scheme=179,288,2
c. Test Results & Consideration=180,289,9
d. Conclusion=188,297,1
3. Bond Strength of FRP Materials by Bond Length=188,297,1
a. Objects=188,297,2
b. Test Scheme=190,299,5
c. Test Results & Consideration=195,304,11
d. Conclusion=205,314,2
Chapter 4. Strengthening Capacity Evaluation with Using FRP=207,316,1
Section 1. Overview=207,316,2
Section 2. Proof Test of Strengthening RC Beam=208,317,1
1. Specimens Manufacture=208,317,1
a. Concrete Specimens=208,317,3
b. Embedding Works of Strain Gauges=210,319,2
c. Strengthening Works of CFRP Sheets=211,320,3
2. Experimental Schemes=213,322,1
a. Specimen Types and Testing Variable=213,322,2
b. Load and Measuring Configuration=214,323,3
c. Measuring Contents=216,325,4
d. Materials=219,328,1
3. Analysis of Testing Results=219,328,1
a. Maximum Load and Failure Type=219,328,5
b. Load-Deflection Curve=223,332,5
c. Strain Curve of Center Section=227,336,3
d. Strain Curve of CFRP=229,338,6
4. Conclusion=234,343,3
Section 3. Evaluation of FRP Strengthening Capacity Using Numerical Analysis=236,345,1
1. Bond Capacity Investigation Using Interface Stress Theory=236,345,1
a. Research Object=236,345,2
b. Principal Theory of Bond Behavior=237,346,18
c.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of Analysis Results=254,363,6
2. Strengthening Effect Evalustion Using FEM=260,369,1
a. FE Analysis of Perfect Bond Model=260,369,11
b. FE Analysis of Considering Bond Failure=270,379,11
3. Conclusion=280,389,1
Section 4. Design Standard Development for FRP Strengthening Method=281,390,1
1. Overview=281,390,1
2. Design Standard for Flexural Strengthening=281,390,1
a. Reduction Factor=281,390,18
b. Strengthening Area Limit=299,408,3
c. Bond Failure Limit=301,410,9
3. Design Standard for Shear Strengthening=309,418,3
a. Strengthening Types=311,420,2
b. Estimation of Shear Strengthening Quantity=312,421,1
c. Estimation of Effective Strain=312,421,2
d. Bond Reduction Factor=313,422,2
e. Strengthening Limit=314,423,1
Section 5. Design Program for Strengthening with FRP=315,424,1
1. Overview=315,424,1
2. Analysis Process=315,424,1
a. Estimation of Residual Strain before Strengthening=315,424,2
b. Estimation of Maximum and Balance Strengthening Area=316,425,4
c. Estimation of Nominal Strength=319,428,4
d. Investigation of Bond Failure=322,431,3
3. Development of Design Program=324,433,3
Section 6. Conclusion=326,435,3
Chapter 5. Strengthening Capacity Evaluation for PSC Bridge=329,438,1
Section 1. Overview=329,438,1
Section 2. Proof Test of Strengthening PSC Beam with FRP=329,438,1
1. Test Object=329,438,2
2. Specimens Schemes=330,439,3
a. Nominal Strength of Specimens=332,441,2
b. Design Live Load=333,442,1
c. Estimation of Prestressing Force=334,443,1
d. Testing Variables and Strengthening Design=334,443,2
3. Strengthening Specimens Manufacture=335,444,5
4. Load and Measuring Configuration=339,448,2
Section 3. Result Analysis about Strengthening Capacity Test=341,450,1
1. Strengthening Specimen Capacity Evaluation Using Section Analysis=341,450,1
a. Stress Investigation of Service Load Level=341,450,8
b. Strength Investigation of Ultimate State=348,457,9
2. Test Result=356,465,1
a. Failure Modes=356,465,4
b. Load-Deflection Curve=359,468,2
c. Load-Strain Investigation=361,470,3
Section 4. Conclusion=364,473,1
Chapter 6. Evaluation of External Prestressing Method=365,474,1
Section 1. Overview=365,474,1
1. External Prestressing Method=365,474,1
a. Advantages=365,474,2
b. Disadvantages=366,475,2
2. Supporting Systems of External Prestressing Method=367,476,1
a. Friction Support System=367,476,3
b. Bearing Support System=369,478,2
c. Straight Lining System=371,480,2
Section 2. Study on Continuation of Simple Bridge by External Prestressing Method=372,481,1
1. Bridge Continuation=373,482,1
a. Expansion Joint Removal Step=373,482,2
b. Combined Support Set up Step=374,483,2
c. Span Continuation Step=375,484,1
d. Combined Support Settlement Step=375,484,1
e. Anchoring and Arranging of Reinforcing Steel Step=376,485,1
f. Finishing Step=376,485,1
2. Behavior Analysis of Bridge Continued by External Prestressing=376,485,4
Section 3. Study on Anchorage Design Technique for External Prestressing=379,488,1
1. Anchorage Design for Support Systems=379,488,1
a. AllowableBearing Stress Investigation=379,488,1
b. Friction Investigation of PS Bar for Prestressing Friction=379,488,2
c. Welding Section Investigation=380,489,2
d. Estimation of Need Bolts=381,490,1
e. Shear and Bear Stress Investigation of Bolts=382,491,1
f. Bear Capacity of Bolts=382,491,2
g. Shear Force Investigation of PS Bar=383,492,2
h. Bear Stress Investigation between PS Bar and Concrete=384,493,2
i. Bear Stress Investigation between PS Bar and Steel Plate=385,494,1
j. The Minimum Length from PS Bar Center to Steel Plate=385,494,2
k. Example of Anchorage Design=386,495,4
2. Saddle Design for Support Systems=390,499,3
3. Structural Analysis of Anchorage for Support Systems=392,501,1
a. Specification=392,501,2
b. Theoretical Analysis and Allowable Stress=393,502,3
c. Structural Analysis for Anchoring System=396,505,8
Section 4. Design Report Survey of Existing Bridges=403,512,1
1. Present Status of Anchorage Investigation=403,512,2
2. Strengthening Investigation by Strength Design Method=404,513,3
3. Anchorage Re-Design=406,515,1
a. Friction Support System=406,515,2
b. Bearing Support System=407,516,2
c. Straight Lining System=408,517,2
4. Strength Investigation Considering Previous Anchorage Capacity of Strengthened Bridges=409,518,2
Section 5. Strengthening Capacity Evaluation using Test=410,519,1
1. Design and Manufacturing Specimens=410,519,1
a. Design of Non-Strengthening Beam=410,519,6
b. Design of Strengthening Beam[원본불량;p.425]=415,524,12
2. Experimental Schemes=426,535,1
a. Load and Measuring Configuration=426,535,1
b. Measuring Contents=426,535,2
3. Experimental Results=427,536,2
a. Previous Loading and External Prestressing=428,537,3
b. Range of Linear-elastic=430,539,5
c. Failure Load=434,543,7
4. Consideration of Experimental Results=440,549,2
Section 6. Analysis of Strengthening Capacity=442,551,2
1. Section Analysis of Test Beam=443,552,1
a. Tensile Strength of Bonded Tendon=443,552,8
b. Tensile Strength of Unbonded Tendon=450,559,2
c. Tensile Strength of Unbonded Tendon with Second Order Effect=451,560,3
d.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Experimental Results=453,562,4
2. Finite Element Analysis=456,565,1
a. Modelling of Material Nonlinearity=456,565,2
b. Finite Element Modelling=457,566,4
c. Analysis Results=461,570,7
Section 7. Development of Flexural Strengthening Design Program for PSC Members=468,577,20
Section 8. Conclusions=488,597,1
Chapter 7. Application Procedure of RepairㆍStrengthening Method=489,598,1
Section 1. Damage Detection Technique of Concrete bridge=490,599,1
1. Overview=490,599,2
2. Concrete Strength Test=491,600,2
a. Strength Test with Core=492,601,2
b. Compressive Strength Estimation via Nod-destructive Test=493,602,10
3. Test for Estimating Concrete Deterioration=503,612,1
a. Concrete Crack Measuring=503,612,6
b. Carbonation Depth Test=508,617,3
c. Chloride Content Test=510,619,2
4. Estimation of Steel Deterioration=511,620,1
a. Reinforcement Arranging and Cover Depth=511,620,4
b. Inspection of Steel Corrosion=514,623,4
Section 2. Loads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Device of Bridge=518,627,2
1. Loads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Device of Oversea=519,628,2
a. Loads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Device of USA=520,629,6
b. Loads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Device of Japan=525,634,10
c. Loads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Device of Korea=534,643,7
d. Conclusion=540,649,5
2. Standard Evaluation Method of Loads Carrying Capacity=545,654,1
a. Standard Evaluation Method of Load Test=545,654,10
b. Standard Evaluation Method of Loads Carrying Capacity=555,664,5
3. Pseudo Static Load Test=560,669,1
a. Pseudo Static Load Test=560,669,2
b. Measured Data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of Static Load Test and Pseudo Static Load Test=562,671,3
c. Availability Analysis of Pseudo Static Load Test=564,673,1
4. Conclusion=565,674,1
Section 3. Evaluation of RepairㆍStrengthening Capacity=566,675,1
1. Overview=566,675,1
2. Evaluation of Crack Repair=566,675,1
a. Capacity Evaluation by Coring=567,676,1
b. Construction Evaluation via Ultra-Sonic Method=568,677,3
3. Construction Evaluation after Strengthening FRP=570,679,1
a. Evaluation of Material Specimen=570,679,2
b. Bond Strength Test=571,680,5
4. Assessment of Residual Stresses in P.S.C. Bridge=576,685,1
a. Method using Vibration Frequency=576,685,6
b. Method of Azizinamini=581,690,6
c. Method via Exposure Test=587,696,4
d. Availability of Estimating Methods for Residual Stresses=590,699,2
Section 4. Availability Study on Vibration Test for Capacity Evaluation=592,701,1
1. Overview=592,701,1
2. Factor Analysis Effecting Natural Frequency=592,701,1
a. Variation of EI=592,701,2
b. Variation of Axial Force=593,702,2
3. Vibration Testing=595,704,1
a. Variation for Testing=595,704,1
b. Measuring Frequency=595,704,2
4. Testing Result=596,705,10
5. Analysis of Testing Result=606,715,1
a. Natural Frequency Comparison via Prestressing=606,715,2
b. Natural Frequency Comparison after Random Damage=607,716,3
6. Conclusion=609,718,1
Chapter 8. Conclusion=610,719,1
Section 1. Final Research Results=610,719,11
Section 2. Further Research & Application=620,729,1
Chapter 9. References=621,730,387
copyright=12,1117,1
[그림 2.1] 점검부위별 보수ㆍ보강 비율=28,137,1
[그림 2.2] 교량 구조부재의 부재별 조치빈도=29,138,1
[그림 2.3] 주요 보강공법의 적용 추이=32,141,1
[그림 2.4] RC 슬래브교의 부위별 보수ㆍ보강 비율=33,142,1
[그림 2.5] PSC I형교의 부위별 보수ㆍ보강 비율=33,142,1
[그림 2.6] 라멘교의 부위별 보수ㆍ보강 비율=33,142,1
[그림 2.7] 설계하중별 보수ㆍ보강 비율(DB24)=35,144,1
[그림 2.8] 설계 하중별 보수ㆍ보강 비율(DB18)=35,144,1
[그림 2.9] 설계 하중별 보수ㆍ보강 비율(DB13.5)=36,145,1
[그림 2.10] 설계하중별 교량 보조부재와 구조부재의 조치빈도=36,145,1
[그림 2.11] 바닥판에 대한 유지관리조치 전ㆍ후의 상태등급 분포=39,148,1
[그림 2.12] 콘크리트주형에 대한 유지관리조치 전ㆍ후의 상태등급 분포=40,149,1
[그림 2.13] 하부구조에 대한 유지관리조치 전ㆍ후의 상태등급 분포=40,149,1
[그림 3.1] 내구성능저하 요인이 RC 구조물의 내구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72,181,1
[그림 3.2]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체계=73,182,1
[그림 3.3] 철근이 부식하지 않은 경우의 충전공법=79,188,1
[그림 3.4] 철근이 부식된 경우의 충전공법=80,189,1
[그림 3.5] 콘크리트 교량 보강공법의 경향=84,193,1
[그림 3.6] 탄소섬유 보강공법의 보강 개념=87,196,1
[그림 3.7] 마찰지지방식=92,201,1
[그림 3.8] 지압정착방식=92,201,1
[그림 3.9] ㄷ 자형 정착자켓=93,202,1
[그림 3.10] 인장시험 시편(A형 및 B형)=106,215,1
[그림 3.11] A형 시편의 제작을 위한 판=107,216,1
[그림 3.12] B형 시편의 제작을 위한 판=108,217,1
[그림 3.13] 이음시편의 형태(A 및 B형)=111,220,1
[그림 3.14] A형 시편 제작을 위한 판=112,221,1
[그림 3.15] B형 시편 제작을 위한 판=113,222,1
[그림 3.16] A형 시편의 형태=116,225,1
[그림 3.17] B형 시편의 형태=116,225,1
[그림 3.18] 시편과 강제치구의 설치=122,231,1
[그림 3.19] 시료의 기포제거(주제,경화제,혼합물)=126,235,1
[그림 3.20] 에어펌프를 이용한 기포제거 모습=126,235,1
[그림 3.21] 점도측정 개략도=128,237,1
[그림 3.22] 점도측정(브룩필드 점도계)=128,237,1
[그림 3.23] 비중컵의 모양 및 치수=131,240,1
[그림 3.24] 비중 측정 모습=131,240,1
[그림 3.25] 발열온도 상승시간 측정법에의한 가사시간 측정방법=133,242,1
[그림 3.26] 발열온도측정 개요도=133,242,1
[그림 3.27] 발열온도 측정 모습=133,242,1
[그림 3.28] A사 a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4,243,1
[그림 3.29] A사 b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4,243,1
[그림 3.30] B사 a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5,244,1
[그림 3.31] B사 b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5,244,1
[그림 3.32] C사 a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5,244,1
[그림 3.33] C사 b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5,244,1
[그림 3.34] D사 a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5,244,1
[그림 3.35] D사 b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5,244,1
[그림 3.36] D사 c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6,245,1
[그림 3.37] E사 a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6,245,1
[그림 3.38] F사 a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6,245,1
[그림 3.39] F사 b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6,245,1
[그림 3.40] F사 c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6,245,1
[그림 3.41] F사 d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6,245,1
[그림 3.42] G사 a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7,246,1
[그림 3.43] G사 b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7,246,1
[그림 3.44] G사 c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7,246,1
[그림 3.45] G사 d제품의 발열온도 상승시간=137,246,1
[그림 3.46] 수중 치환법 시험장치=138,247,1
[그림 3.47] A사 a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1,250,1
[그림 3.48] A사 b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1,250,1
[그림 3.49] B사 b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2,251,1
[그림 3.50] C사 a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2,251,1
[그림 3.51] C사 b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2,251,1
[그림 3.52] D사 a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2,251,1
[그림 3.53] D사 b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2,251,1
[그림 3.54] D사 c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2,251,1
[그림 3.55] E사 a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3,252,1
[그림 3.56] F사 a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3,252,1
[그림 3.57] F사 b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3,252,1
[그림 3.58] F사 c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3,252,1
[그림 3.59] F사 d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3,252,1
[그림 3.60] G사 a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3,252,1
[그림 3.61] G사 b제품의 선팽창계수(TMA) 시험 결과=144,253,1
[그림 3.62] A사 a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5,254,1
[그림 3.63] A사 b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5,254,1
[그림 3.64] B사 b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5,254,1
[그림 3.65] C사 a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5,254,1
[그림 3.66] C사 b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5,254,1
[그림 3.67] D사 a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5,254,1
[그림 3.68] D사 b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6,255,1
[그림 3.69] D사 c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6,255,1
[그림 3.70] E사 a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6,255,1
[그림 3.71] F사 a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6,255,1
[그림 3.72] F사 b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6,255,1
[그림 3.73] F사 c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6,255,1
[그림 3.74] F사 d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7,256,1
[그림 3.75] G사 a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7,256,1
[그림 3.76] G사 b제품의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147,256,1
[그림 3.77] A사 a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49,258,1
[그림 3.78] A사 b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49,258,1
[그림 3.79] B사 b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49,258,1
[그림 3.80] C사 a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49,258,1
[그림 3.81] C사 b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49,258,1
[그림 3.82] D사 a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49,258,1
[그림 3.83] D사 b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0,259,1
[그림 3.84] D사 c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0,259,1
[그림 3.85] E사 a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0,259,1
[그림 3.86] F사 a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0,259,1
[그림 3.87] F사 b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0,259,1
[그림 3.88] F사 c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0,259,1
[그림 3.89] F사 d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1,260,1
[그림 3.90] G사 a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1,260,1
[그림 3.91] G사 b제품의 열분석 시험결과=151,260,1
[그림 3.92] 유리판 몰드 혼합물 주입=153,262,1
[그림 3.93] 에폭시수지 시편 양생(20℃)=153,262,1
[그림 3.94] 인장전단접착강도 시편=155,264,1
[그림 3.95] 인장전단접착강도 시험=155,264,1
[그림 3.96] A사 제품의 인장전단접착강도=156,265,1
[그림 3.97] B사 제품의 인장전단접착강도=156,265,1
[그림 3.98] C사 제품의 인장전단접착강도=156,265,1
[그림 3.99] D사 제품의 인장전단접착강도=156,265,1
[그림 3.100] E사 제품의 인장전단접착강도=157,266,1
[그림 3.101] F사 제품의 인장전단접착강도=157,266,1
[그림 3.102] G사 제품의 인장전단접착강도=157,266,1
[그림 3.103] A사 제품의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158,267,1
[그림 3.104] B사 제품의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158,267,1
[그림 3.105] C사 제품의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159,268,1
[그림 3.106] D사 제품의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159,268,1
[그림 3.107] E사 제품의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159,268,1
[그림 3.108] F사 제품의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159,268,1
[그림 3.109] G사 제품의 초기경화성 인장전단접착강도=159,268,1
[그림 3.110] 압축강도 시편=160,269,1
[그림 3.111] 절단기를 이용한 시편제작=160,269,1
[그림 3.112] 압축강도시험 전경=160,269,1
[그림 3.113] A사 제품의 하중-변위 곡선=162,271,1
[그림 3.114] B사 제품의 하중-변위 곡선=162,271,1
[그림 3.115] C사 제품의 하중-변위 곡선=162,271,1
[그림 3.116] D사 제품의 하중-변위 곡선=162,271,1
[그림 3.117] E사 제품의 하중-변위 곡선=162,271,1
[그림 3.118] F사 제품의 하중-변위 곡선=162,271,1
[그림 3.119] G사 제품의 하중-변위 곡선=163,272,1
[그림 3.120] 휨강도시험의 개략도 및 치수=163,272,1
[그림 3.121] 휨강도시험 모습=163,272,1
[그림 3.122] A사 제품의 휨강도=165,274,1
[그림 3.123] B사 제품의 휨강도=165,274,1
[그림 3.124] C사 제품의 휨강도=165,274,1
[그림 3.125] D사 제품의 휨강도=165,274,1
[그림 3.126] F사 제품의 휨강도=165,274,1
[그림 3.127] G사 제품의 휨강도=165,274,1
[그림 3.128] 부착강도시험의 개략도 및 치수=166,275,1
[그림 3.129] A사 제품의 부착강도=167,276,1
[그림 3.130] B사 제품의 부착강도=167,276,1
[그림 3.131] C사 제품의 부착강도=167,276,1
[그림 3.132] D사 제품의 부착강도=167,276,1
[그림 3.133] E사 제품의 부착강도=168,277,1
[그림 3.134] G사 제품의 부착강도=168,277,1
[그림 3.135] 시험 제작판=172,281,1
[그림 3.136] 하도 도포=172,281,1
[그림 3.137] 섬유쉬트 부착=172,281,1
[그림 3.138] 함침 작업=172,281,1
[그림 3.139] 상도 도포=173,282,1
[그림 3.140] 다층 시공=173,282,1
[그림 3.141] 기포 제거=173,282,1
[그림 3.142] 절단 전 완성된 시험체=173,282,1
[그림 3.143] 인장시험용 시험체의 형상=173,282,1
[그림 3.144] 탄소섬유쉬트(200gf/㎠)의 적층수에 따른 최대하중과 인장강도=177,286,1
[그림 3.145] 탄소섬유쉬트(300gf/㎠)의 적층수에 따른 최대하중과 인장강도=177,286,1
[그림 3.146] 유리섬유쉬트의 적층수에 따른 최대하중과 인장강도=177,286,1
[그림 3.147] 아라미드섬유쉬트의 적층수에 따른 최대하중과 인장강도=177,286,1
[그림 3.148] 이음길이 시험용 시험체의 형상=180,289,1
[그림 3.149] 탄소섬유쉬트(섬유중량 200gf/㎠)의 이음길이에 따른 인장강도=185,294,1
[그림 3.150] 탄소섬유쉬트(섬유중량 300gf/㎠)의 이음길이에 따른 인장강도=185,294,1
[그림 3.151] 유리섬유쉬트의 이음길이에 따른 인장강도=186,295,1
[그림 3.152] 아라미드섬유쉬트의 이음길이에 따른 인장강도=186,295,1
[그림 3.153] 유리섬유쉬트의 직조형태=187,296,1
[그림 3.154] 접착강도 시험 개요=189,298,1
[그림 3.155] 부착강도 실험체의 형상=191,300,1
[그림 3.156] 부착강도 실험용 거푸집=192,301,1
[그림 3.157] 부착강도 시편=192,301,1
[그림 3.158] 프라이머 도포=192,301,1
[그림 3.159] 섬유쉬트 부착 위치 표시=192,301,1
[그림 3.160] 탄소섬유쉬트 부착 상태=193,302,1
[그림 3.161] 완성된 부착강도 실험체=193,302,1
[그림 3.162] 부착강도 실험을 위한 가력장치=193,302,1
[그림 3.163] 부착강도 실험체의 변형률 측정 위치=194,303,1
[그림 3.164] C-5 파괴 형태=195,304,1
[그림 3.165] C-15 파괴 형태=195,304,1
[그림 3.166] C-20 파괴 형태=195,304,1
[그림 3.167] C-25 파괴 형태=195,304,1
[그림 3.168] C-30 파괴 형태=196,305,1
[그림 3.169] C-35 파괴 형태=196,305,1
[그림 3.170] 탄소섬유쉬트의 부착길이별 최대하중(N)=197,306,1
[그림 3.171] 탄소섬유쉬트의 부착길이별 최대하중(G)=197,306,1
[그림 3.172] 평균부착응력(N)=197,306,1
[그림 3.173] 평균부착응력(G)=197,306,1
[그림 3.174] 하중에 따른 변형률(C-5-N-3)=198,307,1
[그림 3.175] 하중에 따른 변형률(C-15-N-1)=198,307,1
[그림 3.176] 하중에 따른 변형률(C-15-N-2)=198,307,1
[그림 3.177] 하중에 따른 변형률(C-15-G-1)=198,307,1
[그림 3.178] 하중에 따른 변형률(C-15-G-2)=199,308,1
[그림 3.179] 하중에 따른 변형률(C-20-N-1)=199,308,1
[그림 3.180] 하중에 따른 변형률(C-20-N-2)=199,308,1
[그림 3.181] 하중에 따른 변형률(C-20-G-1)=199,308,1
[그림 3.182] 하중에 따른 변형률(C-20-G-2)=199,308,1
[그림 3.183] 하중에 따른 변형률(C-25-N-1)=199,308,1
[그림 3.184] 하중에 따른 변형률(C-25-N-2)=200,309,1
[그림 3.185] 하중에 따른 변형률(C-25-G-1)=200,309,1
[그림 3.186] 하중에 따른 변형률(C-25-G-2)=200,309,1
[그림 3.187] 하중에 따른 변형률(C-30-N-1)=200,309,1
[그림 3.188] 하중에 따른 변형률(C-30-N-2)=200,309,1
[그림 3.189] 하중에 따른 변형률(C-30-G-1)=200,309,1
[그림 3.190] 하중에 따른 변형률(C-30-G-2)=201,310,1
[그림 3.191] 하중에 따른 변형률(C-35-N-1)=201,310,1
[그림 3.192] 하중에 따른 변형률(C-35-N-2)=201,310,1
[그림 3.193] 하중에 따른 변형률(C-35-G-1)=201,310,1
[그림 3.194] 하중에 따른 변형률(C-35-G-2)=201,310,1
[그림 3.195] 변형률(C-5-N-3)=202,311,1
[그림 3.196] 변형률(C-15-N-1)=202,311,1
[그림 3.197] 변형률(C-15-G-2)=202,311,1
[그림 3.198] 변형률(C-20-N-2)=202,311,1
[그림 3.199] 변형률(C-20-G-1)=202,311,1
[그림 3.200] 변형률(C-20-G-2)=202,311,1
[그림 3.201] 변형률(C-25-G-2)=203,312,1
[그림 3.202] 변형률(C-30-N-2)=203,312,1
[그림 3.203] 변형률(C-35-G-2)=203,312,1
[그림 3.204] 부착응력 분포(C-5-N-3)=204,313,1
[그림 3.205] 부착응력 분포(C-15-N-1)=204,313,1
[그림 3.206] 부착응력 분포(C-15-G-2)=204,313,1
[그림 3.207] 부착응력 분포(C-20-N-2)=204,313,1
[그림 3.208] 부착응력 분포(C-20-G-1)=204,313,1
[그림 3.209] 부착응력 분포(C-20-G-2)=204,313,1
[그림 3.210] 부착응력 분포(C-25-G-2)=204,313,1
[그림 3.211] 부착응력 분포(C-30-N-2)=204,313,1
[그림 3.212] 부착응력 분포(C-35-G-2)=205,314,1
[그림 4.1] FRP 복합재로 외부 부착 보강된 RC 보의 파괴모드=207,316,1
[그림 4.2] 보 실험체의 단면 제원=209,318,1
[그림 4.3] 보의 철근 상세도=209,318,1
[그림 4.4] 보 실험체용 거푸집=209,318,1
[그림 4.5] 철근조립 광경=209,318,1
[그림 4.6] 철근 조립 완료=209,318,1
[그림 4.7] 거푸집 제작 완료=209,318,1
[그림 4.8] 제작 완료(타설 후)=210,319,1
[그림 4.9] 매설 변형률 게이지의 보호 방법=210,319,1
[그림 4.10] 게이지 위치 그라인딩=211,320,1
[그림 4.11] 철근 변형률 게이지 부착=211,320,1
[그림 4.12] 방수용 코팅제 도포=211,320,1
[그림 4.13] 방수 테이프 부착=211,320,1
[그림 4.14] 하부 그라인딩 광경=212,321,1
[그림 4.15] 에폭시 퍼티 도포=212,321,1
[그림 4.16] 프라이머 도포=212,321,1
[그림 4.17] 에폭시 주제 측정=212,321,1
[그림 4.18] 경화제 수량 측정 장면=212,321,1
[그림 4.19]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212,321,1
[그림 4.20] 에폭시 도포 장면=213,322,1
[그림 4.21] 탄소섬유쉬트의 접착 장면=213,322,1
[그림 4.22] 탄소섬유쉬트 기포 제거=213,322,1
[그림 4.23] 탄소섬유쉬트 측면 접착=213,322,1
[그림 4.24] 측면 접착 완료 상태=213,322,1
[그림 4.25] 보 실험체의 보강 개요도=214,323,1
[그림 4.26] 가력장치 전경=215,324,1
[그림 4.27] Actuator 운용 작업=215,324,1
[그림 4.28] 정적 계측용 데이터 로거=216,325,1
[그림 4.29] 변형률 변화 모니터링=216,325,1
[그림 4.30] 변형률 게이지 및 LVDT 설치 위치=216,325,1
[그림 4.31] 전단변형률 측정 게이지=217,326,1
[그림 4.32] CONTROL 보 바닥면의 게이지 설치 위치=217,326,1
[그림 4.33] 탄소섬유쉬트 하면 게이지 위치 (부착길이 0.4L)=217,326,1
[그림 4.34] 탄소섬유쉬트 하면 게이지 위치 (부착길이 0.6L)=218,327,1
[그림 4.35] 탄소섬유쉬트 하면 게이지 위치 (부착길이 0.8L)=218,327,1
[그림 4.36] 게이지 설치 위치(중립축)=218,327,1
[그림 4.37] 중립축 측정용 게이지=218,327,1
[그림 4.38] CONTROL의 파괴양상=222,331,1
[그림 4.39] CB-40-2의 파괴양상=222,331,1
[그림 4.40] CB-40-J의 파괴양상=222,331,1
[그림 4.41] CB-60-1의 파괴양상=222,331,1
[그림 4.42] CB-60-2의 파피양상=222,331,1
[그림 4.43] CB-60-3의 파괴양상=223,332,1
[그림 4.44] CB-80-2의 파괴양상=223,332,1
[그림 4.45] 각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224,333,1
[그림 4.46] 부착길이별 하중-변위 그래프=224,333,1
[그림 4.47] 부착길이별 항복하중과 최대하중=224,333,1
[그림 4.48] 부착길이별 항복하중과 최대하중시의 변위=225,334,1
[그림 4.49] 층수별 하중-변위 그래프=226,335,1
[그림 4.50] 층수별 항복,최대하중=226,335,1
[그림 4.51] 층수별 항복하중과 최대하중시의 변위=226,335,1
[그림 4.52] 자켓 유무별 하중-변위 그래프=227,336,1
[그림 4.53] 자켓 유무별 항복하중과 최대하중=227,336,1
[그림 4.54] 자켓 유무별 항복하중과 최대하중시의 변위=227,336,1
[그림 4.55] CONTROL의 중립축=228,337,1
[그림 4.56] CB-40-2의 중립축=228,337,1
[그림 4.57] CB-40-J의 중립축=228,337,1
[그림 4.58] CB-60-1의 중립축=228,337,1
[그림 4.59] CB-60-2의 중립축=229,338,1
[그림 4.60] CB-60-3의 중립축=229,338,1
[그림 4.61] CB-80-2의 중립축=229,338,1
[그림 4.62] 하중단계에 따른 중립축의 변화=229,338,1
[그림 4.63] 부착길이에 따른 변형률 변화(CB-40-2)=230,339,1
[그림 4.64] 하중단계에 따른 쉬트의 변형률(CB-40-2)=230,339,1
[그림 4.65] 부착길이에 따른 변형률 변화(CB-40-J)=230,339,1
[그림 4.66] 하중단계에 따른 쉬트의 변형률(CB-40-J)=230,339,1
[그림 4.67] 부착길이에 따른 변형률 변화(CB-60-1)=230,339,1
[그림 4.68] 하중단계에 따른 쉬트의 변형률(CB-60-1)=230,339,1
[그림 4.69] 부착길이에 따른 변형률 변화(CB-60-2)=231,340,1
[그림 4.70] 하중단계에 따른 쉬트의 변형률(CB-60-2)=231,340,1
[그림 4.71] 부착길이에 따른 변형률 변화(CB-60-3)=231,340,1
[그림 4.72] 하중단계에 따른 쉬트의 변형률(CB-60-3)=231,340,1
[그림 4.73] 부착길이에 따른 변형률 변화(CB-80-2)=231,340,1
[그림 4.74] 하중단계에 따른 쉬트의 변형률(CB-80-2)=231,340,1
[그림 4.75] 하중별 평균전단응력의 변화=233,342,1
[그림 4.76] 쉬트부착길이별 평균전단응력의 변화(쉬트:2겹)=233,342,1
[그림 4.77] 층수별 하중에 대한 평균전단응력의 변화=233,342,1
[그림 4.78] 자켓 유무별 하중에 대한 평균전단응력의 변화=233,342,1
[그림 4.79] 보의 두 단면에서의 힘의 작용=237,346,1
[그림 4.80] 보강된 보의 지점과 단부=238,347,1
[그림 4.81] Roberts의 박리 하중 이론(단계 1)=240,349,1
[그림 4.82] Roberts의 박리 하중 이론(단계 2)=241,350,1
[그림 4.83] Roberts의 박리 하중 이론(단계 3)=244,353,1
[그림 4.84] FRP판의 응력 작용=246,355,1
[그림 4.85] 이상화된 콘크리트보와 보강판보의 법선응력=250,359,1
[그림 4.86] 이상화된 보의 전단류=253,362,1
[그림 4.87] 해석에 사용된 철근콘크리트보의 제원=255,364,1
[그림 4.88] 계면응력 이론값과 실험값 비교(CB-40-2)=258,367,1
[그림 4.89] 계면응력 이론값과 실험값 비교(CB-60-2)=258,367,1
[그림 4.90] 계면응력 이론값과 실험값 비교(CB-80-2)=258,367,1
[그림 4.91] 계면응력 이론값과 실험값 비교(CB-60-1)=258,367,1
[그림 4.92] 계면응력 이론값과 실험값 비교(CB-60-3)=259,368,1
[그림 4.93] 콘크리트의 압축거동=260,369,1
[그림 4.94] 콘크리트의 인장거동=260,369,1
[그림 4.95] 각 재료별 인장거동=262,371,1
[그림 4.96] 계면요소의 거동=263,372,1
[그림 4.97] Plane Stress Element=264,373,1
[그림 4.98] Beam Element (2D)=264,373,1
[그림 4.99] Interface Element=264,373,1
[그림 4.100] 철근콘크리트 보의 유한요소 모델링=264,373,1
[그림 4.101] CFRP로 보강된 보의 유한요소 모델링=264,373,1
[그림 4.102] 실험값과 해석값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CONTROL)=265,374,1
[그림 4.103] 실험값과 해석값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CB-40-2)=265,374,1
[그림 4.104] 실험값과 해석값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CB-60-1)=265,374,1
[그림 4.105] 실험값과 해석값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CB-60-2)=265,374,1
[그림 4.106] 실험값과 해석값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CB-60-3)=266,375,1
[그림 4.107] 실험값과 해석값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CB-80-2)=266,375,1
[그림 4.108] 보강길이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의 비교=266,375,1
[그림 4.109] 보강매수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의 비교=266,375,1
[그림 4.110] CB-40-2 균열도(균열발생)=267,376,1
[그림 4.111] CB-40-2 균열도(10톤)=267,376,1
[그림 4.112] CB-40-2 균열도(항복)=267,376,1
[그림 4.113] CB-60-1 균열도(균열발생)=267,376,1
[그림 4.114] CB-60-1 균열도(10톤)=267,376,1
[그림 4.115] CB-60-1 균열도(항복)=267,376,1
[그림 4.116] CB-60-2 균열도(균열발생)=268,377,1
[그림 4.117] CB-60-2 균열도(10톤)=268,377,1
[그림 4.118] CB-60-2 균열도(항복)=268,377,1
[그림 4.119] CB-60-3 균열도(균열발생)=268,377,1
[그림 4.120] CB-60-3 균열도(10톤)=268,377,1
[그림 4.121] CB-60-3 균열도(항복)=268,377,1
[그림 4.122] CB-80-2 균열도(균열발생)=268,377,1
[그림 4.123] CB-80-2 균열도(10톤)=269,378,1
[그림 4.124] CB-80-2 균열도(항복)=269,378,1
[그림 4.125] 철근의 소성변형률 발생 위치(CB-40-2)=270,379,1
[그림 4.126] 철근의 소성변형률 발생 위치(CB-60-2)=270,379,1
[그림 4.127] 철근의 소성변형률 발생 위치(CB-80-2)=270,379,1
[그림 4.128] 2차원 주응력 공간에서의 Tension cut-off=272,381,1
[그림 4.129] 콘크리트의 인장하중-변위 곡선 예=273,382,1
[그림 4.130] Fictitious Tied Model(Hillerborg,1985)=273,382,1
[그림 4.131] 콘크리트의 일축인장에 대한 응력-변형률,응력-늘음량 관계(CEB-FIP Model Code 1990)=274,383,1
[그림 4.132] Tension Softening Models=275,384,1
[그림 4.133] 부착강도 실험=276,385,1
[그림 4.134] 부착강도실험 모델링=276,385,1
[그림 4.135] 실험을 모사한 계면요소거동의 해석 그래프=278,387,1
[그림 4.136] 휨에 대한 해석과 실험결과 비교(CB-40-2)=279,388,1
[그림 4.137] 휨에 대한 해석과 실험결과 비교(CB-60-1)=279,388,1
[그림 4.138] 휨에 대한 해석과 실험결과 비교(CB-60-2)=279,388,1
[그림 4.139] 휨에 대한 해석과 실험결과 비교(CB-60-3)=279,388,1
[그림 4.140] 휨에 대한 해석과 실험결과 비교(CB-80-2)=280,389,1
[그림 4.141] 모멘트 곡률 비교=289,398,1
[그림 4.142] 항복시 각 실험체의 모멘트비교=290,399,1
[그림 4.143] 극한시 각 실험체의 모멘트 비교=290,399,1
[그림 4.144] 변형률 변화=290,399,1
[그림 4.145] 부착감소 원인 추정=291,400,1
[그림 4.146] 하중단계별 단면의 변형률 분포 가정=291,400,1
[그림 4.147] 중립축의 변화(CB-60-1)=292,401,1
[그림 4.148] 중립축의 변화(CB-60-2)=292,401,1
[그림 4.149] 중립축의 변화(CB-80-2)=292,401,1
[그림 4.150] 중립축의 변화(CON27SH)=292,401,1
[그림 4.151] 중립축의 변화(SHLP227)=293,402,1
[그림 4.152] 중립축의 변화(SHCWU27)=293,402,1
[그림 4.153] 실험값과 계산값 비교(일반적인 공칭 휨강도식)=297,406,1
[그림 4.154] 실험값과 계산값(ACI 440-2R 휨강도식)=297,406,1
[그림 4.155] 실험값과 계산값(이원호 제안식)=297,406,1
[그림 4.156] 실험값과 계산값 비교(유효변형률 고려)=297,406,1
[그림 4.157] 실험값과 계산값=298,407,1
[그림 4.158] 평형 상태의 변형률 분포=300,409,1
[그림 4.159] 보 단면의 변형률 및 응력분포=301,410,1
[그림 4.160] 부착파괴하중 대 정착길이=302,411,1
[그림 4.161] 정착범위=305,414,1
[그림 4.162] 상대변위와 부착응력 τ의 관계=306,415,1
[그림 4.163] 해석모델=306,415,1
[그림 4.164] FRP 전단보강공법=311,420,1
[그림 4.165] 보강 단면내에서의 변형률 분포=315,424,1
[그림 4.166] 보강량에 따른 변형률 분포=317,426,1
[그림 4.167] 부착력의 분포(Alessandra 등,2001)=322,431,1
[그림 4.168] 중간부 부착파괴의 이상화=324,433,1
[그림 4.169] FRP 보강 설계 프로그램 순서도=325,434,1
[그림 4.170] FRP 보강 설계 프로그램 순서도(Mn(이미지참조) 계산)=326,435,1
[그림 5.1] PSC 표준도(DB18,지간 30m,폭 8.5m)=330,439,1
[그림 5.2] 모형 실험체의 측면도와 단면도=331,440,1
[그림 5.3] 모형 실험체의 평면도와 슬래브 배근도=331,440,1
[그림 5.4] 모형 실험체의 배근도 및 철근 상세 1=331,440,1
[그림 5.5] 모형 실험체의 철근상세 2=331,440,1
[그림 5.6] 합성보의 변형률 불연속=332,441,1
[그림 5.7] 외부 긴장재용 새들의 설치위치=334,443,1
[그림 5.8] 철근 조립 및 긴장재 배치=335,444,1
[그림 5.9] 내부긴장재 게이지 설치=335,444,1
[그림 5.10] 거푸집 조립=336,445,1
[그림 5.11] 철근 거치=336,445,1
[그림 5.12] 콘크리트 타설=336,445,1
[그림 5.13] 콘크리트 다짐=336,445,1
[그림 5.14] 슬럼프 측정=336,445,1
[그림 5.15] 슬럼프 측정 2=336,445,1
[그림 5.16] 탈형 및 양생=337,446,1
[그림 5.17] 긴장용 유압잭=337,446,1
[그림 5.18] 긴장용 유압펌프=337,446,1
[그림 5.19] 바닥판 철근,거푸집 조립=337,446,1
[그림 5.20] 바닥판 타설 및 마감=337,446,1
[그림 5.21] 압축강도 공시체=337,446,1
[그림 5.22] 실험체 운반 및 거치=338,447,1
[그림 5.23] 프라이머 도포 완료=338,447,1
[그림 5.24] CFRP 쉬트 부착 및 탈포=338,447,1
[그림 5.25] 상도 에폭시 도포=338,447,1
[그림 5.26] 정착구 설치용 앵커홀 천공=338,447,1
[그림 5.27] 외부 정착구 설치=338,447,1
[그림 5.28] 외부 긴장재 배치=339,448,1
[그림 5.29] 긴장용 유압잭 설치=339,448,1
[그림 5.30] 외부긴장재 프리스트레싱=339,448,1
[그림 5.31] 실험체 완성 및 실험 셋팅=339,448,1
[그림 5.32] 실험체 가력 장치=340,449,1
[그림 5.33] 측정 장치 및 설치 위치=340,449,1
[그림 5.34] 단면 내에서의 변형률 분포 및 힘의 평형=349,458,1
[그림 5.35] 긴장재의 응력-변형률 곡선=352,461,1
[그림 5.36] FRP 부착파괴 모습=356,465,1
[그림 5.37] 실험체별 하중-변위 곡선(긴장력 100%)=359,468,1
[그림 5.38] 실험체별 하중-변위 곡선(긴장력 70%)=359,468,1
[그림 5.39] 사용상태에서의 하중-변위=360,469,1
[그림 5.40] 인장철근의 변형률(CONTROL)=361,470,1
[그림 5.41] 인장철근의 변형률(T30NR)=361,470,1
[그림 5.42] 인장철근의 변형률(CFRPT100)=361,470,1
[그림 5.43] 인장철근의 변형률(CFRPT70)=361,470,1
[그림 5.44] 인장철근의 변형률(EXPT100)=362,471,1
[그림 5.45] 인장철근의 변형률(EXPT70)=362,471,1
[그림 5.46] CFRP의 하중-변형률 곡선(CFRPT100)=362,471,1
[그림 5.47] CFRP의 하중-변형률 곡선(CFRPT70)=362,471,1
[그림 5.48] 외부긴장재의 하중-변형률 곡선(EXPT100)=363,472,1
[그림 5.49] 외부긴장재의 하중-변형률 곡선(EXPT70)=363,472,1
[그림 6.1] 마찰지지방식=368,477,1
[그림 6.2] 마찰지지방식 정착구 예=368,477,1
[그림 6.3] 새들 예(측면도)=369,478,1
[그림 6.4] 새들이 설치된 주형단면=369,478,1
[그림 6.5] 지압지지방식=369,478,1
[그림 6.6] 지압지지방식 정착구 예=370,479,1
[그림 6.7] 신지압지지방식=370,479,1
[그림 6.8] 복합지압지지 방식(EPR 공법(신특수))=370,479,1
[그림 6.9] 새들 평면도=370,479,1
[그림 6.10] 새들단면도=370,479,1
[그림 6.11] 직선배치방식=371,480,1
[그림 6.12] 정착구 형태(직선배치방식)=371,480,1
[그림 6.13] 직선배치방식 정착구=372,481,1
[그림 6.14] 정착 방식=372,481,1
[그림 6.15] 외부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교량 연속화(I)=373,482,1
[그림 6.16] 외부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교량 연속화(ll)=373,482,1
[그림 6.17] 신축이음 제거단계=374,483,1
[그림 6.18] 유압잭 설치 측면도=374,483,1
[그림 6.19] 합성교좌장치 설치 측면도=375,484,1
[그림 6.20] 보강철근 및 콘크리트 설치 순서=376,485,1
[그림 6.21] 정착구에서의 힘의 흐름(마찰지지방식)=380,489,1
[그림 6.22] 앵커볼트의 간격=383,492,1
[그림 6.23] 강판의 최소 연단거리=385,494,1
[그림 6.24] 지압면적=386,495,1
[그림 6.25] 중심방향 지압응력=391,500,1
[그림 6.26] 추가 휨응력 발생 개요=391,500,1
[그림 6.27] 새들 설계 예(㎜)=392,501,1
[그림 6.28] 주형 단면도(㎝)=393,502,1
[그림 6.29] 주형 측면도(㎝)=393,502,1
[그림 6.30] 중앙단면(㎝)=393,502,1
[그림 6.31] 구조해석모델(마찰지지방식)=396,505,1
[그림 6.32] 외부 프리스트레싱 전후의 단부 응력변화(마찰지지방식)=397,506,1
[그림 6.33] 최대 및 최소 주응력(LC3,마찰지지방식)=398,507,1
[그림 6.34] 최대 및 최소 주응력(LC4,마찰지지방식)=399,508,1
[그림 6.35] 최대 및 최소 주응력(LC6,마찰지지방식)=399,508,1
[그림 6.36] 구조해석모델(지압지지방식)=400,509,1
[그림 6.37] 최대 및 최소 주응력(LC5,지압지지방식)=401,510,1
[그림 6.38] 구조해석모델(직선배치방식)=402,511,1
[그림 6.39] 압축응력의 변화(직선배치방식)=402,511,1
[그림 6.40] 정착구 응력 분포(LC5,직선배치방식)=403,512,1
[그림 6.41] 정착구 재설계 형상(마찰지지)=407,516,1
[그림 6.42] 정착구 재설계 형상(신지압지지)=408,517,1
[그림 6.43] 정착구 재설계 형상(직선배치)=409,518,1
[그림 6.44] 모형보 제원=413,522,1
[그림 6.45] 지압면적=419,528,1
[그림 6.46] 마찰지지방식 정착구=423,532,1
[그림 6.47] 마찰지지방식 새들=423,532,1
[그림 6.48] 지압지지방식 정착구=423,532,1
[그림 6.49] 지압지지방식 새들=423,532,1
[그림 6.50] 직선배치방식 정착구=424,533,1
[그림 6.51] 프리스트레스 도입=425,534,1
[그림 6.52] 프리스트레스 도입 완료[원본불량;p.425]=425,534,1
[그림 6.53] 마찰지지방식 정착구 1=425,534,1
[그림 6.54] 마찰지지방식 정착구 2=425,534,1
[그림 6.55] 지압지지방식 정착구 1=425,534,1
[그림 6.56] 지압지지방식 정착구 2=425,534,1
[그림 6.57] 직선배치용 정착구 1=426,535,1
[그림 6.58] 직선배치용 정착구 2=426,535,1
[그림 6.59] 보강 실험(지압지지방식)=426,535,1
[그림 6.60] 보강 실험(직선배치방식)=426,535,1
[그림 6.61] 각종 게이지 설치 위치=427,536,1
[그림 6.62] 하중-변위 곡선(사전가력)=428,537,1
[그림 6.63] 하중-변형률 곡선(사전가력)=428,537,1
[그림 6.64] 사전가력 후의 균열형상(CBSN)=429,538,1
[그림 6.65] 사전가력 후의 균열형상(EBSR)=429,538,1
[그림 6.66] 사전가력 후의 균열형상(FBSR)=429,538,1
[그림 6.67] 사전가력 후의 균열형상(MBSR)=429,538,1
[그림 6.68] 하중-변위(사전가력)=430,539,1
[그림 6.69] 하중-변형률(인장철근)=430,539,1
[그림 6.70] 보강효과(응력검토)=431,540,1
[그림 6.71] 보강효과(변위검토)=431,540,1
[그림 6.72] 보와 외부 긴장재의 상대변위(사전가력)=432,541,1
[그림 6.73] 중립축(CBSN)=433,542,1
[그림 6.74] 중립축(EBSR)=433,542,1
[그림 6.75] 중립축(FBSR)=433,542,1
[그림 6.76] 중립축(MBSR)=433,542,1
[그림 6.77] 추가 발생 응력=433,542,1
[그림 6.78] 단부 변형률 변화(EBSR)=433,542,1
[그림 6.79] 최대 전단응력 비교=434,543,1
[그림 6.80] 파괴시 균열 형상(CBSN)=435,544,1
[그림 6.81] 파괴시 균열 형상(EBSR)=435,544,1
[그림 6.82] 파괴시 균열 형상(FBSR)=435,544,1
[그림 6.83] 파괴시 균열 형상(MBSR)=435,544,1
[그림 6.84] 변위(항복,최대)=436,545,1
[그림 6.85] 하중(항복,최대)=436,545,1
[그림 6.86] 하중-변위 곡선=436,545,1
[그림 6.87] 보와 긴장재의 상대변위=436,545,1
[그림 6.88] 중립축의 변화(CBSN)=438,547,1
[그림 6.89] 중립축의 변화(EBSR)=438,547,1
[그림 6.90] 중립축의 변화(FBSR)=438,547,1
[그림 6.91] 중립축의 변화(MBSR)=438,547,1
[그림 6.92] 응력 증가량(EBSR)=439,548,1
[그림 6.93] 응력증가량 비교=439,548,1
[그림 6.94] 단부 변형률 변화(EBSR)=439,548,1
[그림 6.95] 전단응력 변화=439,548,1
[그림 6.96] 직선배치방식의 정착구 모델링=441,550,1
[그림 6.97] 직선배치 정착구의 보강판 보강=441,550,1
[그림 6.98] 하중단계에 따른 변형률의 변화=443,552,1
[그림 6.99] 단면에서 힘의 평형=445,554,1
[그림 6.100] 긴장재의 fps(이미지참조) 산정법=448,557,1
[그림 6.101] PS 강재의 응력-변형률 그래프=449,558,1
[그림 6.102] Second Order Effect=452,561,1
[그림 6.103] 실험값과 이론값의 휨강도 비교=454,563,1
[그림 6.104] 콘크리트의 압축=457,566,1
[그림 6.105] 긴장재 재료거동=457,566,1
[그림 6.106] 유한요소모델링(무보강 보)=458,567,1
[그림 6.107] 유한요소모델링(마찰지지)=458,567,1
[그림 6.108] 유한요소모델링(지압지지)=458,567,1
[그림 6.109] 유한요소모델링(직선배치)=458,567,1
[그림 6.110] 사전 가력 비교=461,570,1
[그림 6.111] 하중-변위(무보강 보)=462,571,1
[그림 6.112] 하중-변위(마찰지지)=462,571,1
[그림 6.113] 하중-변위(지압지지)=462,571,1
[그림 6.114] 하중-변위(직선배치)=462,571,1
[그림 6.115] 하중-변위(지압:기하비선형)=464,573,1
[그림 6.116] 하중-변위(직선:기하비선형)=464,573,1
[그림 6.117] 균열도(항복,마찰)=465,574,1
[그림 6.118] 균열도(최종,마찰)=465,574,1
[그림 6.119] 균열도(항복,지압)=465,574,1
[그림 6.120] 균열도(최종,지압)=465,574,1
[그림 6.121] 균열도(항복,직선)=465,574,1
[그림 6.122] 균열도(최종,직선)=465,574,1
[그림 6.123] 단면적에 따른 최대하중=467,576,1
[그림 6.124] 새들 위치에 따른 비교=467,576,1
[그림 6.125] 최대하중=467,576,1
[그림 6.126] 항복하중 차이=467,576,1
[그림 6.127] 단면 내에서의 변형률 분포 및 힘의 평형=475,584,1
[그림 6.128] PSC보 휨보강 설계프로그램 흐름도=483,592,1
[그림 6.129] PSC보 휨보강 설계프로그램 흐름도(계속)=484,593,1
[그림 6.130] PSC보 휨보강 설계프로그램 흐름도(계속)=485,594,1
[그림 6.131] Subroutine C 흐름도=486,595,1
[그림 6.132] Subroutine D 흐름도=487,596,1
[그림 7.1] 반발경도시험기의 경사각=498,607,1
[그림 7.2] 음속,반발도에 따른 강도=500,609,1
[그림 7.3] 숙성도와 콘크리트 강도=501,610,1
[그림 7.4] 윈저법 시험장비=502,611,1
[그림 7.5] 균열자를 이용한 균열폭 측정=503,612,1
[그림 7.6] 확대경을 이용한 균열폭 측정=503,612,1
[그림 7.7] 최대균열폭의 기록=504,613,1
[그림 7.8] 철근이 초음파 전달경로에 미치는 영향=505,614,1
[그림 7.9] 탐촉자에 접촉매질 바르는 방법=506,615,1
[그림 7.10] Tc-To법에 의한 균열깊이 측정방법=507,616,1
[그림 7.11] BS법에 의한 균열깊이 측정방법=508,617,1
[그림 7.12] 콘크리트 제거=509,618,1
[그림 7.13] 간이중성화 시험=510,619,1
[그림 7.14] 철근배근 조사의 측정선=513,622,1
[그림 7.15] 레이더 탐사법에 의한 철근 탐사=513,622,1
[그림 7.16] 리드선 연결 방법=516,625,1
[그림 7.17] 교량 내하력 평가의 일반적인 흐름=520,629,1
[그림 7.18] 교폭에 따른 차량분포계수=530,639,1
[그림 7.19] 파괴 안전율 β산정=533,642,1
[그림 7.20] 재하차량의 일반적인 제원(15톤 덤프트럭)=547,656,1
[그림 7.21] 응답의 분산계수=551,660,1
[그림 7.22] 최대응답을 얻기 위한 하중경우의 수(㎜)=552,661,1
[그림 7.23] 종방향 재하위치=553,662,1
[그림 7.24] 횡방향 재하위치=553,662,1
[그림 7.25] RC슬래브 교량의 게이지 부착위치=554,663,1
[그림 7.26] 거더형 교량의 게이지 부착위치=554,663,1
[그림 7.27] LC2에 대한 응답비=557,666,1
[그림 7.28] LC5에 대한 응답비=557,666,1
[그림 7.29] 응력 및 변위의 보정계수 비교=558,667,1
[그림 7.30] 의사정적 재하시험=561,670,1
[그림 7.31] Filtering에 의한 정적효과=561,670,1
[그림 7.32] 일반정적 및 의사정적재하시험의 처짐값 비교(강박스교)=562,671,1
[그림 7.33] 육안 검사용 코어=567,676,1
[그림 7.34] 초음파 시험에 의한 주입상태 확인=568,677,1
[그림 7.35] 초음파 속도 측정 방법=569,678,1
[그림 7.36]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예=570,679,1
[그림 7.37] 접착강도 시험 개요=573,682,1
[그림 7.38] 접착강도 시험에서의 일반적인 파괴 형태=574,683,1
[그림 7.39] 프리스트레싱 힘에 따른 중앙경간의 처짐변화=579,688,1
[그림 7.40] PSC 거더의 단면 형상=582,691,1
[그림 7.41] 구멍 2에 대한 거더 시편의 변형률과 시간 대비 측압력=584,693,1
[그림 7.42] Proseq 측정장비=588,697,1
[그림 7.43] Kuhlman bar의 작동원리=590,699,1
[그림 7.44] 진동 측정=596,705,1
[그림 7.45] 가속도의 시간이력(expt100)=597,706,1
[그림 7.46] 가속도 스펙트럼(expt100)=597,706,1
[그림 7.47] 가속도의 시간이력(cfrpt100)=598,707,1
[그림 7.48] 가속도 스펙트럼(cfrpt100)=598,707,1
[그림 7.49] 가속도의 시간이력(expt70)=599,708,1
[그림 7.50] 가속도 스펙트럼(expt70)=599,708,1
[그림 7.51] 가속도의 시간이력(t30nr)=600,709,1
[그림 7.52] 가속도 스펙트럼(t30nr)=600,709,1
[그림 7.53] 가속도의 시간이력(cfrpt70)=601,710,1
[그림 7.54] 가속도 스펙트럼(cfrpt70)=601,710,1
[그림 7.55] 가속도의 시간이력(expt100(손상 후))=602,711,1
[그림 7.56] 가속도 스펙트럼(expt100(손상 후))=602,711,1
[그림 7.57] 가속도의 시간이력(control(손상 후))=603,712,1
[그림 7.58] 가속도 스펙트럼(control(손상 후))=603,712,1
[그림 7.59] 가속도의 시간이력(expt70(손상 후))=604,713,1
[그림 7.60] 가속도 스펙트럼(expt70(손상 후))=604,713,1
[그림 7.61] 가속도의 시간이력(t30nr(손상 후))=605,714,1
[그림 7.62] 가속도 스펙트럼(t30nr(손상 후))=605,714,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