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2
요약문=3,4,5
SUMMARY(영문요약문)=8,9,3
CONTENTS=11,12,3
목차=14,15,3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7,18,6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3,24,3
1. 동계전정지의 수삽이 배꽃의 개화와 화분활력에 미치는 영향=25,26,2
2. 화분의 기내발아 시 무기성분이 배 화분 발아와 화분관 신장에 미치는 영향=26,27,3
3. 수확 후 붕소와 칼슘의 엽면시비가 이듬해 화분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28,29,3
4.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조성이 화분활력에 미치는 영향=30,31,2
5. 온도조건이 화분발아,화분관신장 및 화분활성유지에 미치는 영향=31,32,2
6. 개화기 배꽃의 주두 점액물질 형성이 유효수분기간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32,33,3
7. 배 인공수분용 증량제가 과일착과에 미치는 영향=34,35,2
8. 참다래의 유효수분기간과 화분을 물에 희석하여 수분 시 수용액 조건이 화분활력에 미치는 영향=35,36,2
제3장 연구수행 방법=37,38,3
1. Hydroxyquinoline(HQ),benzyladenine(BA),gibberellic acid(GA) 및 energized powder(EP)를 이용한 동계전정지의 수삽=39,40,1
1.1. HQ 및 눈 크기와 가지 두께에 따른 동계 전정지의 수삽=39,40,1
1.2. 동계 전정지의 수삽시 GA와 BA 처리=39,40,2
1.3. EP와 EW의 조제=40,41,2
1.4. 동계 전정지의 수삽시 EP의 처리=41,42,1
1.5. 수삽된 동계전정지의 개화율 조사 및 아세톤을 이용한 화분 채취=42,43,1
1.6. 화분발아율과 화분관 신장율 조사=42,43,1
2. 화분의 기내발아 시 무기성분이 화분 발아와 화분관 신장에 미치는 영향=42,43,1
2.1. 무기성분의 첨가에 따른 화분의 기내발아=42,43,2
2.2. 화분특성이 서로 다른 과원의 선정 및 눈 채취=43,44,1
2.3. 식물체 무기성분 함량 조사=43,44,2
3. 수확 후 붕소와 칼슘의 엽면시비가 화분활력에 미치는 영향=44,45,1
4.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조성이 화분활력에 미치는 영향=44,45,2
4.1. 배지 내 Sucrose 함량에 따른 화분발아 조사=45,46,1
4.2. 눈과 화분에서의 질소와 비구조성 탄수화물함량조사=45,46,1
4.3. 화분에서의 단백질 추출=45,46,2
4.4. ConA-agarose column을 이용한 당단백질 추출 및 분획=46,47,2
5. 온도조건에 따른 배 화분의 발아율과 화분관신장 조사=47,48,1
6. 개화기 인공수분 보조제 살포가 배꽃의 유효수분기간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47,48,2
7. EP의 증량제로의 이용이 주두 생명력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48,49,1
8. 참다래 수꽃의 채취시기에 따른 화분채취량과 화분 활력 조사=49,50,1
9. 참다래 화분을 물에 희석하여 수분(물수분)시 화분 희석 비율 및 살포기구의 종류=49,50,1
10. 인공수분방법과 수분시간에 따른 과실의 착과와 생장량조사=49,50,2
제4장 결과 및 고찰=51,52,3
1. 인공수분용 화분의 조기확보를 위한 동계전정지의 수삽시 HQ,BA GA 및 EP의 수삽용액 첨가가 배꽃의 개화와 화분활력에 미치는 영향=53,54,7
2. 화분의 기내발아 시 무기성분이 배 화분 발아와 화분관 신장에 미치는 영향=59,60,5
3. 수확 후 붕소와 칼슘의 엽면시비가 이듬해 화분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64,65,6
4. 화분의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조성이 화분활력에 미치는 영향=70,71,7
5. 온도조건이 배 화분발아와 화분관신장 및 화분활성유지에 미치는 영향=76,77,5
6. 개화기 인공수분 보조제 살포가 배꽃의 유효수분기간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80,81,5
7. EP의 증량제로의 이용이 주두 생명력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84,85,3
8. 위도별 개화기 차이를 이용한 꽃가루 확보=87,88,3
9. 참다래 수꽃의 채취시기가 화분채취량과 화분 활력에 미치는 영향=89,90,3
10. 참다래 화분을 물에 희석하여 수분(물수분)시 화분 희석 비율 및 살포기구의 종류가 과실 착과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91,92,4
11. 참다래 인공수분시 수분시간이 과실 착과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95,96,2
12. 주산단지별 화분은행의 진단 및 실태조사=97,98,5
13. 배 및 참다래 꽃가루 은행 인터넷 사이트 운용 프로그램 개발=101,102,1
1) 화분 은행의 인터넷 사이트 운용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101,102,2
2) 인터넷 화분은행 운용의 장점=102,103,2
3) 화분 은행 전체 이용도=103,104,1
4) 화분 은행 사용자 가이드(일반 사용자용)=104,105,22
5) 화분 은행 사용자 가이드(지역별 화분은행 관리자용)=126,127,23
제5장 참고문헌=149,150,12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1
CONTENTS=11,12,6
Chapter 1. General introduction=17,18,6
Chapter 2. Review of Literature=23,24,3
1. Effects of soaking in water of pruned twigs at the winter season on flowering and pollen viability in pear=25,26,2
2. Effects of inorganic nutrient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of pear in vitro=26,27,3
3. Effects of foliar calcium and boron applications just after harvest on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28,29,3
4. Effects of carbohydrate and protein on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30,31,2
5. Effects of temperature conditions on pollen germination,pollen tube growth and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31,32,2
6. Effects of EW application on maintenance of secreted materials in stigma during flowering duration=32,33,3
7. Effects of using of EP as a diluent of pollen for hand pollination on fruit set in asian pear=34,35,2
8. Effects of effective pollination period and pollination using mixed pollen with water on pollen viability in kiwi fruit=35,36,2
Chapter 3. Materials and methods=37,38,3
1. Effects of soaking in water of pruned twigs at the winter season on flowering and pollen viability in pear=39,40,4
2. Effects of inorganic nutrient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of pear in vitro=42,43,3
3. Effects of foliar calcium and boron applications just after harvest on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44,45,1
4. Effects of carbohydrate and protein on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44,45,4
5. Effects of temperature conditions on pollen germination,pollen tube growth and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47,48,1
6. Effects of EW application on maintenance of secreted materials in stigma during flowering duration=47,48,2
7. Effect of using of EP as a diluent of pollen for hand pollination on fruit set in asian pear=48,49,1
8. Changes of weight and viability of pollen with picking times for pollen collecting in kiwi fruit=49,50,1
9. Effects of added pollen weight and spray equipment in pollination using mixed pollen with water on fruit set and fruit growth in kiwi fruit=49,50,1
10. Effects of time and method of hand pollination on fruit set and fruit growth in kiwi fruit=49,50,2
Chapter 4. Results and discussion=51,52,3
1. Effects of soaking in water of pruned twigs at the winter season on flowering and pollen viability in pear=53,54,7
2. Effects of inorganic nutrient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of pear in vitro=59,60,5
3. Effects of foliar calcium and boron applications just after harvest on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64,65,6
4. Effects of carbohydrate and protein on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70,71,7
5. Effects of temperature conditions on pollen germination,pollen tube growth and pollen viability in asian pear=76,77,5
6. Effects of EW application on maintenance of secreted materials in stigma during flowering duration=80,81,5
7. Effect of using of EP as a diluent of pollen for hand pollination on fruit set in asian pear=84,85,3
8. Pollen collecting program using difference of flowering time with latitude in pear=87,88,3
9. Changes of weight and viability of pollen with picking times for pollen collecting in kiwi fruit=89,90,3
10. Effects of added pollen weight and spray equipment in pollination using mixed pollen with water on fruit set and fruit growth in kiwi fruit=91,92,4
11. Effects of time and method of hand pollination on fruit set and fruit growth in kiwi fruit=95,96,2
12. The present and actual position of Pollen Bank,collecting pollen,in main production areas=97,98,5
13. Development of management program based internet for Pollen Bank,collecting pollen,in pear and kiwi fruit=101,102,48
Chapter 5. Literature Cited=149,150,1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