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15
SUMMARY=17,18,6
CONTENTS=23,24,2
목차=25,26,4
제1장 서론=29,30,1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29,30,1
1. 연구개발의 목적=29,30,1
2. 연구개발의 필요성=30,31,2
제2절 연구개발의 범위 및 연구수행체계=31,32,1
1. 연구개발의 범위=31,32,2
2. 연구수행체계=33,34,1
제2장 밤나무혹벌의 생태 및 피해해석=34,35,1
제1절 서설=34,35,3
제2절 재료 및 방법=37,38,1
1. 밤나무혹벌에 의한 피해실태=37,38,1
2. 내충성밤나무림의 연차별 피해율=37,38,1
3. 발육단계별 형태의 기재 및 유전적변이=37,38,1
가. 발육단계별 형태의 기재=37,38,2
나. 유전적 변이=38,39,4
4. 밤나무혹벌의 생태특성,피해해석=41,42,1
가. 시험지 개황=41,42,3
나. 밤나무혹벌의 생태특성=43,44,3
다. 밤나무혹벌 피해가 밤나무 신초생장 및 결실량에 미치는 영향=45,46,2
제3절 결과 및 고찰=47,48,1
1. 밤나무혹벌의 피해실태=47,48,3
2. 연차별 밤나무혹벌의 밀도변동=49,50,3
3. 발육단계별 형태의 기재 및 유전적변이=51,52,1
가. 발육단계별 형태의 기재=51,52,3
나. 지역별 밤나무혹벌의 유전적변이=54,55,6
4. 밤나무혹벌의 생태특성,피해해석=60,61,1
가. 생태학적 특성=60,61,14
나. 밤나무혹벌 피해가 밤나무 신초생장 및 결실량에 미치는 영향=73,74,7
제3장 밤나무혹벌 주요천적의 생태적특성=80,81,1
제1절 서설=80,81,2
제2절 재료 및 방법=82,83,1
1. 지역별,품종별 천적 곤충의 탐색=82,83,1
가. 월동 후에 출현하는 천적곤충의 종 구성=82,83,2
나. 6월~8월에 출현하는 천적곤충의 종구성=83,84,2
2. 주요 천적종(3종)의 형태 및 생활사=84,85,1
가. 주요천적의 미성숙 stage 및 성충의 형태=84,85,1
나. 주요천적의 생활사 특성=85,86,6
제3절 결과 및 고찰=90,91,1
1. 밤나무혹벌의 천적=90,91,3
가. 월동 후에 출현하는 기생성 천적곤충의 종구성=93,94,3
나. 5월~8월에 출현한 기생성 천적곤충의 종구성=95,96,3
2. 주요 기생벌의 형태 및 생활사=98,99,1
가. 중국긴꼬리좀벌의 형태 및 생활사=98,99,13
나. 남색긴꼬리좀벌의 형태 및 생활사=110,111,7
다. 큰다리남색좀벌의 형태 및 생활사=116,117,6
3. 기생성 천적(3종)의 지역별 우화소장=121,122,1
가. 중국긴꼬리 좀벌의 우화소장=121,122,5
나. 남색긴꼬리좀벌 및 큰다리남색좀벌의 우화소장=126,127,3
제4장 밤나무혹벌의 생물적방제=129,130,1
제1절 서설=129,130,3
제2절 재료 및 방법=131,132,1
1. 밤나무혹벌과 중국긴꼬리좀벌과의 상호관계=131,132,1
가. 시험지의 개황=131,132,1
나. 밤나무혹벌과 중국긴꼬리좀벌의 동조성 검토=132,133,1
다. 천적종류별 기생율 변화=133,134,1
라. 천적의 기생율과 밤나무혹벌 피해율=133,134,1
마. 중국긴꼬리 좀벌의 생존율=134,135,1
바. 중국긴꼬리좀벌의 생존율에 영향하는 2차기생벌 역효과=134,135,2
사. 천적 종간의 기생양식=135,136,1
2. 중국긴꼬리좀벌의 생태형=136,137,1
가. 지역별 형태비교=136,137,1
나. 지역별 우화소장=136,137,1
다. 중국긴꼬리좀벌의 유전자 변이분석=136,137,2
3. 중국긴꼬리좀벌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검토=137,138,1
가. 천적의 채집시기=137,138,2
나. 중국긴꼬리좀벌의 기생능력과 방사방법별 효과=138,139,1
1) 중부지역에서 중국긴꼬리좀벌의 방사효과 실험=138,139,3
2) 남부지역에서 중국긴꼬리좀벌의 방사효과 시험=140,141,4
제3절 결과 및 고찰=143,144,1
1. 밤나무혹벌과 최우점천적인 중국긴꼬리좀벌과의 상호관계=143,144,1
가. 밤나무혹벌과 중국긴꼬리좀벌과의 동조성(synchronization)검토=143,144,12
나. 중국긴꼬리 좀벌의 생존율=154,155,3
다. 천적종류별 기생율 변화(4~6월)=157,158,3
라. 중국긴꼬리좀벌의 생존율에 영향하는 임의적이차기생벌 역효과(10~3월)=160,161,3
마. 밤나무혹벌 피해율과 기생율 변화=163,164,2
바. 밤나무혹벌 기생천적류의 기생양식=164,165,3
2. 중국긴꼬리좀벌의 생태형=166,167,1
가. 중국긴꼬리좀벌의 형태비교=166,167,2
나. 지역별 중국긴꼬리좀벌의 우화소장비교=168,169,2
다. 중국긴꼬리좀벌의 RAPD에 의한 유전자변이 분석=170,171,4
3. 토착천적 중국긴꼬리좀벌을 이용한 생물적방제의 검토=174,175,1
가. 채집시기의 선정 및 수집방법=174,175,3
나. 중국긴꼬리좀벌의 방사방법별 구제효과=177,178,14
4. 도입천적을 이용한 생물적방제 검토=190,191,1
가. 도입천적의 생태특성=190,191,3
나. 도입 천적의 이용과 관련한 문제점=192,193,2
5. 생물적방제 수행체계=193,194,5
제5장 결론=198,199,10
제6장 인용문헌=208,209,7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23
CONTENTS=23,24,6
Chapter 1 Introduction=29,30,1
Section 1 Purpose and background of study=29,30,1
1. Purpose=29,30,1
2. Background=30,31,2
Section 2 Range and system of study=31,32,1
1. Range of study=31,32,2
2. System of study=33,34,1
Chapter 2 Ecology and Damage analysis of D. kuriphilus=34,35,1
Section 1 Introduction=34,35,3
Section 2 Materials and Methods=37,38,1
1. Damage analysis=37,38,1
2. Annual damage fluctuation=37,38,1
3. Morphology in each stage and genetic variation=37,38,5
4.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damage analysis=41,42,6
Section 3 Results and Discussion=47,48,1
1. Damage analysis=47,48,3
2. Annual damage fluctuation=49,50,3
3. Morphology in each stage and genetic variation=51,52,9
4.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damage analysis=60,61,20
Chapter 3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main parasitoids=80,81,1
Section 1 Introduction=80,81,2
Section 2 Materials and Methods=82,83,1
1. Exploration of parasitoids for D. kuriphilus=82,83,3
2. Mrophology and life history of main parasitoids(3 species)=84,85,7
Section 3 Results and Discussion=90,91,1
1. Natural enemy and composition of species=90,91,8
2. Morphology and life history of main parasitoids=98,99,24
3. Adult emergence of main parasitoid(3 species)=121,122,8
Chapter 4 Study on systemizing the biological control of D. kuriphilus=129,130,1
Section 1 Introduction=129,130,3
Section 2 Materials and Methods=131,132,1
1. Relationship between D. kuriphilus and T. sinensis=131,132,5
2. Ecotype of T. sinensis=136,137,2
3. Biological control by using T. sinensis=137,138,7
Section 3 Results and Discussion=143,144,1
1. Relationship between D. kuriphilus and T. sinensis=143,144,24
2. Ecotype of T. sinensis=166,167,8
3. Biological control by using T. sinensis=174,175,24
Chapter 5 Conclusion=198,199,10
Chapter 6 Reference=208,209,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