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최종연구보고서 초록/김희근=0,3,1
요약문=i,4,14
SUMMARY=xv,18,14
CONTENTS=xxix,32,3
List of Tables=xxxii,35,2
List of Figures=xxxiv,37,2
목차=xxxvi,39,2
표목차=xxxviii,41,2
그림목차=xl,43,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45,3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4,48,3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7,51,1
제1절 중수로원전(월성) 유도방출기준 개발=7,51,1
1. 개요=7,51,2
2. 유도방출기준 방법론 분석=9,53,1
가. 핵종농도법=9,53,2
나. 시스템 분석법=10,54,3
3. 국내원전의 유도방출기준 분석=13,57,1
가. 월성원전의 기존 유도방출기준 설정배경=13,57,1
나. ICRP-60 적용에 따른 월성원전 유도방출기준 개선 필요성=13,57,2
4. 유도방출기준 분석=15,59,1
가. 캐나다 시스템 분석법=15,59,34
나. 미국의 방출관리(유도방출기준) 기준=49,93,5
다. 캐나다와 미국의 유도방출기준 비교=53,97,7
5. 유도방출기준 개선(안) 계산 및 제시=60,104,1
가. 운영기술지침서 개선=60,104,3
나. 핵종농도법(ECL 적용) 계산=62,106,2
다. 시스템 분석법 계산=63,107,28
라. 유도방출기준 계산결과 및 원전 적용성 평가=90,134,9
6. 논문 발표 및 기술간행물 발간=99,143,1
가. 논문 발표=99,143,1
나. 기술간행물 발간=100,144,1
다. 기술교류회 개최=100,144,1
7.결론=101,145,2
제2절 원전 유출물관리 종합대책 수립=103,147,1
1. 개요=103,147,2
2. 유출물관리의 기본개념 및 원칙=105,149,1
가. 방사성유출물의 관리체계=105,149,5
나. 유출물관리 관련 요건 및 인허가시 약정사항=110,154,8
3. 국내원전 유출물 관리지침 분석=118,162,1
가. 방사성액체폐기물 방출기준 조사결과=118,162,1
나. 방사성기체폐기물 방출기준 조사결과=119,163,1
다. 방사성유출물 관리기준 개선(안)=119,163,3
4. 해외원전 유출물 관리지침 분석=122,166,1
가. 미국 Regulatory Guide 1.21 분석=122,166,3
나. 미국 NUREG-1301 분석=124,168,7
다. 비방사성계통 오염 및 비정상 환경방출 사례분석=130,174,2
5. 방사성유출물 규제현안 분석=132,176,1
가. 국내현황=132,176,2
나. 미국원전의 종합폐수처리설비 운영[정재학 외,1999]=133,177,2
6. 국내원전 액체유출물 대표시료 분석=135,179,1
가. 개요=135,179,1
나. 시료채집 장비=135,179,2
다. 시료채집 방법=136,180,1
라. 시료채집 분석결과=136,180,1
7. 논문 발표 및 기술간행물 발간=137,181,1
가. 논문 발표=137,181,1
나. 기술간행물 발간=137,181,2
다. 기술교류회 개최=138,182,1
8. 결론=139,183,2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141,185,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143,187,1
제6장 참고문헌=144,188,4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31
CONTENTS=xxix,32,13
Chapter 1. Introduction=1,45,3
Chapter 2. State of the Technology=4,48,3
Chapter 3. Content and Scope of the Project=7,51,1
Section 1. Development of derived release limits(DRL) for CANDU nuclear power plants=7,51,1
1. Introduction=7,51,2
2. Analysis of DRL for CANDU nuclear power plants=9,53,1
A. Radionuclide concentration method=9,53,2
B. System analysis method=10,54,3
3. Analysis of derived release limits(DRL) for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13,57,1
A. Establishment of Wolsong DRL=13,57,1
B. Necessity of improvement of the Wolsong DRL by the application of ICRP-60=13,57,2
4. Analysis of derived release limits(DRL)=15,59,1
A. Canadian system analysis method=15,59,34
B. American NPP DRL=49,93,5
C. Comparison between a Canadian DRL and an American DRL=53,97,7
5. Calculation and suggestion of the improvement plan for DRL=60,104,1
A. Improvement in Technical Specifications=60,104,3
B. Calculation of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 method(applying the ECL)=62,106,2
C. Calculation of the system analysis method=63,107,28
D. Results of calculating the new DRL and a assessment of the practical use of the new DRL=90,134,9
6. Lists of announced papers and technical memos=99,143,1
A. List of announced papers=99,143,1
B. List of technical memos=100,144,1
C. List of technical interchanges=100,144,1
7. Conclusion=101,145,2
Section 2.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asures of radioactive effluents released from NPPs=103,147,1
1. Introduction=103,147,2
2. Basic concept and principle of radioactive effluent management=105,149,1
A. Management system for radioactive effluents=105,149,5
B. Conditions and authorization agreements related to radioactive effluent management=110,154,8
3. Analysis of management specification for radioactive effluents in domestic NPPs=118,162,1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discharge standard for liquid radioactive wastes=118,162,1
B. Result of an investigation of discharge standards for gaseous radioactive wastes=119,163,1
C. Improvement plan for management standard of radioactive effluents=119,163,3
4. Analysis of management specification for radioactive effluents in foreign NPPs=122,166,1
A. Analysis of Regulatory Guide 1.21=122,166,3
B. Analysis of NUREG-1301=124,168,7
C. Analysis of the case of the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non-radioactive systems and the abnormal release of radioactive effluents=130,174,2
5. Analysis of pending regulation problems related to radioactive effluents=132,176,1
A. Current state of domestic NPPs=132,176,2
B. Management of waste water disposal plants in American NPPs=133,177,2
6. Analysis of representative of samples for liquid radioactive effluents at domestic NPPs=135,179,1
A. Introduction=135,179,1
B. Sampling equipment=135,179,2
C. Sampling method=136,180,1
D. Result of analyzing the samples=136,180,1
7. Lists of announced papers and technical memos=137,181,1
A. List of announced papers=137,181,1
B. List of technical memos=137,181,2
C. List of technical interchanges=138,182,1
8. Conclusion=139,183,2
Chapter 4. Achievement of the Goal and Contribution to Related Areas=141,185,2
Chapter 5. Application of Research Outputs=143,187,1
Chapter 6. References=144,188,4
그림 1. 환경에서의 전이 모델[CSA,1987]=12,56,1
그림 2.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전이 모델=21,65,1
그림 3. 월성원전 주변 대기확산인자 최대치=63,107,1
그림 4. K-DOSE60 코드를 이용한 유도방출기준 계산 Flow Chart=67,111,1
그림 5. Wolsong-DRL에서 고려되는 Pathway=69,113,1
그림 6. 기체유출물의 연간 유도방출기준 계산치 비교-I (Ci/y)=73,117,1
그림 7. 기체유출물의 연간 유도방출기준 계산치 비교-II (Ci/y)=73,117,1
그림 8. 액체유출물의 연간 유도방출기준 계산치 비교-I (Ci/y)=74,118,1
그림 9. 시나리오의 구성 체계 및 상관성=79,123,1
그림 10. 월성 원전에 대한 시나리오 생성=84,128,1
그림 11. 육지 다각형의 블록들(육지 1)=85,129,1
그림 12. 육지 다각형의 블록들(육지 2)=85,129,1
그림 13. 월성원전 1호기의 현행 기체유출물 유도방출기준=87,131,1
그림 14. 월성원전 1호기의 현행 액체유출물 유도방출기준=88,132,1
그림 15. 기체유출물의 연간 유도방출기준 계산치 비교(Ci/y)=89,133,1
그림 16. 월성 1ㆍ2호기 기체 삼중수소(HTO)의 일일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일)=92,136,1
그림 17. 월성 1ㆍ2호기 기체 삼중수소(HTO)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3,137,1
그림 18. 월성 1ㆍ2호기 기체 C-14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3,137,1
그림 19. 월성 1+2호기 기체 C-14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4,138,1
그림 20. 월성 1ㆍ2호기 기체 Xe-133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MeV-Ci/월)=94,138,1
그림 21. 월성 1+2호기 기체 Xe-133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MeV-Ci/월)=95,139,1
그림 22. 월성 1ㆍ2호기 액체 삼중수소(HTO)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5,139,1
그림 23. 월성 1+2호기 액체 삼중수소(HTO)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6,140,1
그림 24. 월성 1ㆍ2호기 액체 Co-60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6,140,1
그림 25. 월성 1+2호기 액체 Co-60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7,141,1
그림 26. 월성 1ㆍ2호기 액체 Cs-137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7,141,1
그림 27. 월성 1+2호기 액체 Cs-137의 월간 방출량 대비 1% DRL 설정치(Ci/월)=98,142,1
그림 28. 원전 운영단계 유출물 관리의 구성요소=109,153,1
그림 29. 공정 및 유출물감시의 개념=109,153,1
그림 30. 자동시료채집기(Auto-sampler)=136,180,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