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8
SUMMARY=10,11,8
CONTENTS=18,19,3
목차=21,22,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23,24,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5,26,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27,28,1
제1절 연구개발수행 내용=27,28,1
1. 특이 항체 생성을 위한 항원의 탐색 및 제조=27,28,1
1) 항원의 탐색=27,28,2
2) 항원 peptide 제조=28,29,2
3)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항원의 대량생산=29,30,1
① 한우 특이 단백질 유전자의 확보=29,30,2
② 발현 vector의 구성 및 발현 조건 설정=30,31,3
③ 특이 단백질의 대량 확보=32,33,3
2. 특이 항체 생성 및 검출=35,36,1
1) 흰쥐(Sprague-Dawley rat)를 이용한 예비시험=35,36,1
① 시험동물=35,36,1
② 항원의 준비와 면역주사=35,36,2
③ 항혈청 및 육즙의 생산=36,37,3
2) 면양에서의 특이항체 생성=38,39,1
① 시험동물 및 면역화 과정=38,39,2
② 항혈청 및 육즙의 생산=39,40,3
③ Affinity column을 통한 항체의 정제=41,42,1
④ 최적의 항체검출 조건 설정=41,42,2
3) 브랜드육 식별 기술 개발을 위한 한우 면역화 시험=42,43,1
① One-shot 처리구=42,43,3
② Boosting 처리구=44,45,2
3. 한우 브랜드육 식별 진단 rapid kit의 제조=45,46,1
1) 항체 생성을 위한 다양한 조건 탐색=45,46,1
2) ELISA 및 Dot-blot을 통한 항체 생성도 측정=45,46,2
3) Gold conjugate의 제조=47,48,1
4) Assay strip의 제조=47,48,1
5) Half test=47,48,2
6) Prototype kit의 준비=48,49,1
제2절 연구개발수행 결과=49,50,1
1. 항원의 선발 및 제작=49,50,1
1) 항원의 선발=49,50,1
2)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항원의 대량 생산=49,50,4
2. 특이 항체 생성 및 검출=52,53,1
1) 흰쥐(Sprague-Dawley rat)을 이용한 예비시험=52,53,4
2) 면양을 이용한 육즙 내 항체 생산 시험=56,57,10
3) 브랜드육 식별 기술 개발을 위한 한우 면역화 시험=65,66,7
3. 한우 브랜드육 식별 진단 rapid kit의 제조=72,73,1
1) 최적의 항체 형성을 위한 조건 탐색=72,73,1
① 항원 주사량이 항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72,73,2
② Boosting이 항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73,74,2
③ Alum 및 FCA와 같은 Adjuvant의 선택이 항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74,75,1
2) Rapid kit 제조=75,76,1
① Rapid kit의 strip 제조를 위한 조건 탐색=75,76,2
② Dot blot을 이용한 조건 탐색=76,77,1
③ 육즙의 희석배율에 따른 strip에서의 반응 변화=76,77,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81,82,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83,84,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84,85,1
제7장 참고문헌=85,86,5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18
CONTENTS=18,19,5
Chapter 1. Introduction=23,24,2
Chapter 2. The pres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25,26,2
Chapter 3.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27,28,1
Part I. Contents of the study=27,28,1
1. Screening and synthesis of antigens to produce specific antibodies=27,28,1
1) Screening of antigens=27,28,2
2) Synthesis of antigenic peptides=28,29,2
3) Production of the antigens using recombinant DNA technology=29,30,1
① Cloning of genes responsible to specific proteins of Hanwoo=29,30,2
② Establishment of conditions for vector expression=30,31,3
③ Production of specific proteins=32,33,3
2. Antibody production and detection=35,36,1
1) Preliminary study using Sprague-Dawley rats=35,36,1
① Experimental animals=35,36,1
② Preparation of antigens and immunization=35,36,2
③ Production of antiserum and meat juices=36,37,3
2) Development of specific antibodies in sheep=38,39,1
① Experimental animals and immunization=38,39,2
② Production of antiserum and meat juices=39,40,3
③ Purification of antibodies using affinity column=41,42,1
④ Establishment of optimum conditions to detect antibodies=41,42,2
3) Immunization of Hanwoo to identify branded Hanwoo beef=42,43,1
① One-shot treatment=42,43,3
② Boosting treatment=44,45,2
3. Development of rapid kit to identify Hanwoo beef=45,46,1
1) Screening of various conditions to develope antibody=45,46,1
2) ELISA and Dot blot analysis=45,46,2
3) Preparation of gold conjugate=47,48,1
4) Preparation of the immunostrip=47,48,1
5) Preparation of half test=47,48,2
6) Preparation of prototype kit=48,49,1
Part II. Results of the study=49,50,1
1. Screening and synthesis of antigens=49,50,1
1) Screening and synthesis of antigens using data base=49,50,1
2) Production of antigens using recombinant DNA technology=49,50,4
2. Development and detection of specific antibody=52,53,1
1) Preliminary study using Sprague-Dawley rats=52,53,4
2) Development of antibody in meat juice of sheep=56,57,10
3) Immunization of Hanwoo to identify branded beef=65,66,7
3. Development of rapid diagnostic kit to identify branded Hanwoo beef=72,73,1
1) Screening of optimum conditions to develope antibody=72,73,1
① Effects of the amount of antigens=72,73,2
② Effects of boosting injection=73,74,2
③ Effects of adjuvants=74,75,1
2) Development for rapid kit=75,76,1
① Screening of conditions to make strip for rapid kit=75,76,2
② Screening of conditions using dot blot=76,77,1
③ Changes in reaction in strip according to dilution factors of meat juice=76,77,5
Chapter 4. Degree of attainment and contribution to the related field=81,82,2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83,84,1
Chapter 6. Foreign technical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is R&D=84,85,1
Chapter 7. Reference=85,86,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