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1,1,3

[판권지]=4,4,1

Contents=5,5,1

발간사/김태환(제주도지사)=6,6,1

기술개발 사업개요/강대평(축정과장)=7,7,6

시험연구 결과-감귤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돼지고기 생산기술 개발연구(The Studies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Function Characteristic(Citrus) Pork By Feeding The Citrus Byprducts)=13,13,2

감귤부산물 생산과 이용현황 및 성분특성에 대한 조사연구(The Research On The Citrus Byproducts Ingredients Analysis And The Citrus Byproducts Production Actual Conditions In Jeju-Do)/양승주 박사=15,15,2

Summary=17,17,1

I. 서론=18,18,1

II. 감귤부산물의 생산과 이용 현황=18,18,1

1. 제주도 감귤산업 현황=18,18,4

2. 감귤가공 및 가공부산물의 생산처리 실태=21,21,2

3. 감귤가공 처리업체 현황 및 가공부산물의 처리 실태=23,23,6

III. 감귤부산물의 성분 분석 및 특성 조사 연구=28,28,3

1. 재료 및 방법=30,30,3

2. 시험 결과=32,32,9

3. 고찰=41,41,1

IV. 요약 및 결론=42,42,4

V. 참고문헌=46,46,3

감귤부산물사료 급여가 육성ㆍ비육돈의 성장, 사료요구율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Citrus Byprodu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Growing-Finishing Pigs)/앙승주 박사=49,49,2

Summary=51,51,1

I. 서론=52,52,2

II. 재료 및 방법=54,54,1

1. 시험장소 및 기간=54,54,1

2. 공시가축=54,54,1

3. 시험설계=54,54,3

4. 공시재료 및 시험사료=56,56,4

5. 화학분석 및 통계처리=60,60,1

III. 시험결과=60,60,1

1. 제1차 육성 비육돈 시험결과=60,60,4

2. 제2차 육성 비육돈 시험 결과=63,63,4

IV. 고찰=66,66,1

1. 건조감귤피 첨가가 육성 비육돈의 성장 및 사료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66,66,3

2. 건조감귤피 첨가 급여가 도체품질 및 등급판정 성적에 미치는 영향=68,68,3

3. 건조감귤피의 사료 내 첨가급여가 비육돈의 영양소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70,70,2

V. 적요=71,71,2

VI. 참고문헌=73,73,2

감귤부산물사료 급여가 비육돈의 성장, 사료요구율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Citrus Byprodu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앙승주 박사=75,75,2

Summary=77,77,1

I. 서론=78,78,3

II. 재료 및 방법=80,80,1

1. 시험장소 및 기간=80,80,1

2. 공시가축=80,80,1

3. 실험설계=81,81,2

4. 공시재료 및 시험사료=82,82,4

5. 화학분석 및 통계처리=85,85,2

III. 시험 결과=86,86,1

1. 제1차 비육돈 시험결과=86,86,2

2. 제2차 비육돈 시험결과=87,87,3

IV. 고찰=90,90,1

1. 건조감귤피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및 사료이용성에 미치는 영향=90,90,3

2. 건조감귤피 첨가가 비육돈의 도체성적 및 등급판정 성적에 미치는 영향=92,92,4

V. 적요=95,95,2

VI. 참고문헌=97,97,2

감귤부산물사료 급여가 돼지고기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Feeding Dietary Tangerine Peel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biltiy Of Pork)/문윤희 교수=99,99,2

Summary=101,101,10

I. 서론=111,111,2

II. 실험재료 및 방법=112,112,1

1. 재료=112,112,1

2. 실험방법=113,113,3

III. 결과 및 고찰=115,115,1

제1실험;일반돼지 고기에 대한 결과=115,115,1

1. 일반돼지 고기의 성분, 열량 및 콜레스테롤 함량=115,115,6

2. 일반돼지 고기의 물리화학적 특성=120,120,10

3./7) 고기의 기호도=130,130,9

제2실험;개량흑돼지 고기에 대한 결과=139,139,1

1. 개량흑돼지 고기의 성분=139,139,5

2. 개량흑돼지 고기의 물리화학적 특성=143,143,9

3./7) 개량흑돼지 고기의 기호도=151,151,5

제3실험;제주 재래돼지에 대한 결과=156,156,1

1. 제주 재래돼지 고기의 성분=156,156,6

2. 제주 재래돼지 고기의 물리화학적 특성=161,161,9

3. 제주 재래돼지 고기의 기호도=169,169,5

IV. 요약=174,174,17

감귤부산물사료 급여 돼지고기 식이가 흰쥐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Porks Fed With Tangerine Peel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ats)/문윤희 교수=191,191,2

Summary=193,193,3

I. 서론=196,196,2

II. 실험재료 및 방법=197,197,2

III. 결과 및 고찰=199,199,1

제1실험;일반돼지 고기 첨가 식이의 영향=199,199,5

제2실험;개량흑돼지 고기 첨가 식이의 영향=204,204,4

제3실험;제주 재래돼지 고기 첨가 식이의 영향=208,208,4

IV. 요약=211,211,4

참고문헌=215,215,4

감귤부산물사료 급여로 생산된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 반응 조사(The Research Study On The Responses Of The Consumers Public On The Pork Produced By Feeding Citrus Byproducts(Mandarin Pork))/양승주 박사=219,219,2

Summary=221,221,2

I. 서론=223,223,2

II. 조사방법 및 내용=224,224,1

1. 조사대상=224,224,1

2. 조사도구=224,224,1

3. 조사기간=224,224,1

4. 조사방법 및 요원=225,225,1

5. 조사내용=225,225,1

6. 자료의 처리=225,225,1

III. 결과 및 분석=225,225,1

1. 제주지역 일반가정소비자 대상 조사=225,225,16

2. 서울 경기지역 소비자 대상 조사=240,240,9

IV. 요약 및 결론=249,249,1

1. 제주지역 일반가정 소비자 대상 조사=249,249,2

2. 서울경기지역 소비자 대상 조사=250,250,2

V. 참고 문헌=251,251,2

부록=253,253,2

돼지사육 전기간 및 제주재래흑돼지에 대한 감귤부산물 급여 사육결과/영농조합법인 탐라유통=255,255,24

기능성 돼지고기 브랜드(귤 먹은 도새기) 유통체계 개발/제주양돈축산업협동조합=279,279,34

기능성 돼지고기 브랜드(귤먹은 도새기) 개발 현황/손영수 교수=313,313,6

칼라목차

jpg

발간사=6,6,1

(그림1) 건조감귤피 첨가수준 및 육성비육기간에 따른 일당 증체량 변화=67,67,1

(그림2) 건조감귤피 첨가수준 및 육성비육기간에 따른 사료섭취량 변화=67,67,1

(그림3) 건조감귤피 첨가수준 및 육성비육기간에 따른 사료요구율 변화=67,67,1

(그림4) 건조감귤피 첨가수준 및 육성비육기간에 따른 도체중, 도체율변화=68,68,1

(그림5) 건조감귤피 첨가수준 및 육성비육기간에 따른 등지방 두께와 배최장근단면적 변화=69,69,1

(그림6) 건조감귤피 첨가수준 및 육성비육기간에 따른 도체등급, A등급 출현율 변화=69,69,1

(그림7) 건조감귤피 첨가수준 변화에 따른 비육돈의 영양소 이용율 변화=71,71,1

(그림1) 건조감귤피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일당증체량 변화(kg/두)=90,90,1

(그림2) 건조감귤피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사료섭취량 변화(kg/일/부)=91,91,1

(그림3) 건조감귤피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사료요구율 변화=91,91,1

(그림4) 건조감귤피 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도체중 변화(kg/두)=92,92,1

(그림5) 건조감귤피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도체율 변화(%)=93,93,1

(그림6) 건조감귤피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등지방층 두께 변화(mm)=93,93,1

(그림7) 건조감귤피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배최장근 단면적 변화(㎠)=94,94,1

(그림8) 건조감귤피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등급판정성적(A등급출현율) 변화(%)=94,94,1

Fig.1-1. 일반돼지 고기의 pH=121,121,1

Fig.1-2. 일반돼지 고기의 VBN 함량(mg%)=121,121,1

Fig.1-6. 일반돼지 고기의 황색도(b*)=123,123,1

Fig.1-7. 일반돼지 고기의 보수력(%)=123,123,1

Fig.1-8. 일반돼지 고기의 동결감량(%)=123,123,1

Fig.1-9. 일반돼지 고기의 해동감량(%)=123,123,1

Fig.1-10. 일반돼지 고기의 열탕 가열감량(%)=124,124,1

Fig.1-11. 일반돼지 고기의 팬 가열감량(%)=124,124,1

Fig.1-1-12. 일반돼지 고기의 종합적기호도(열탕 가열육, 기호척도법)=131,131,1

Fig. 1-1-13. 일반돼지 고기의 종합적기호도(팬 가열육, 기호척도법)=131,131,1

(그림1) 구매횟수에 따른 동향분석=227,227,1

(그림2) 연령별 구매횟수 동향분석=228,228,1

(그림3) 직업별 구매횟수 동향분석=228,228,1

(그림4) 구입처에 따른 동향 분석=228,228,1

(그림5) 연령별 구입처 동향분석=228,228,1

(그림6) 직업별 구매처 동향 분석=229,229,1

(그림7) 제주산과 육지산 돼지고기의 차이점=229,229,1

(그림8) 연령별 제주산과 육지산 돼지고기의 차이점=230,230,1

(그림9) 직업별 제주산과 육지산 돼지고기의 차이점=230,230,1

(그림10) 일반돈육과 감귤돈육의 차이점=231,231,1

(그림11) 일반돈육과 감귤돈육 차이점에 대한 연령별 인식 특성=231,231,1

(그림12) 성별 일반돈육과 감귤돈육의 차이점에 대한 성별 인식 특성=231,231,1

(그림13)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시식후 차이점에 대한 인식=231,231,1

(그림14)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시식후 차이점에 대한 연령별 인식특성=233,233,1

(그림15)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시식후 차이점에 대한 성별 인식특성=233,233,1

(그림16)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시식후 차이점에 대한 직업별 인식특성=233,233,1

(그림17)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을 구이요리하여 시식한 후 차이점 인식 분석=233,233,1

(그림18)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을 구이요리하여 시식한 후 차이점에 대한 연령별 인식특성=234,234,1

(그림19)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을 구이요리하여 시식한 수 차이점에 대한 성별 인식특성=234,234,1

(그림20)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을 구이요리하여 시식한 후 차이점에 대한 직업별 인식특성=234,234,1

(그림21)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을 찌게 요리하여 시식한 차이점 인식 분석=235,235,1

(그림22)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을 찌게 요리하여 시식한 후 차이점에 대한 연령별 인식특성=235,235,1

(그림23)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을 찌게 요리하여 시식한 후 차이점에 대한 성별 인식특성=235,235,1

(그림24) 감귤돈육과일반돈육을 찌게 요리하여 시식한 후 차이점에 대한 직업별 인식특성=235,235,1

(그림25) 감귤먹은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 구매 의향 조사분석 결과=236,236,1

(그림26) 감귤먹은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연령별 구매의향 조사분석 결과=236,236,1

(그림27) 감귤먹은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학력별 구매의향 조사분석 결과=237,237,1

(그림28) 감귤먹은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직업별 구매의향 조사분석 결과=237,237,1

(그림29) 감귤먹은 돼지고기의 가격차별화(인상율) 수준에 대한 동향분석=237,237,1

(그림30) 감귤먹은 돼지고기의 가격차별화(인상율)수준에 대한 소비자 연령별 동향분석=238,238,1

(그림31) 감귤먹은 돼지고기의 가격차별화(인상율)수준에 대한 소비자 학력별 동향분석=238,238,1

(그림32) 감귤먹은 돼지고기의 가격차별화(인상율)수준에 대한 소비자 직업별 동향분석=238,238,1

(그림33) 감귤먹은 돼지고기의 특화 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239,239,1

(그림34) 감귤먹은 돼지고기의 특화 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령별 분석=239,239,1

(그림37)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차별성 유무에 대한 소비자 인식=242,242,1

(그림38)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차별성 유무에 대한 연령별 반응=242,242,1

(그림39)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차별성 유무에 대한 직업별 반응=242,242,1

(그림40)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다른점의 내용=242,242,1

(그림41)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다른점에 대한 연령별 분포=243,243,1

(그림42) 감귤돈육과 일반돈육의 다른점에 대한 직업별 분포=243,243,1

(그림43) 시식 후 감귤돼지고기와 일반돼지고기 맛에 차이가 있는가?=244,244,1

(그림44) 감귤돼지고기와 일반돼지고기 맛의 차이에 대한 연령별 반응=245,245,1

(그림45) 감귤돼지고기와 일반돼지고기 맛의 차이에 대한 직업별 반응=245,245,1

(그림46) 감귤돼지고기 시식후 느껴지는 맛이 내용=245,245,1

(그림47) 감귤돼지고기 시식후 느끼는 맛이 내용에 대한 연령별 특성=246,246,1

(그림48) 감귤돼지고기 시식후 느끼는 맛의 내용에 대한 직업별 특성=246,246,1

(그림49) 감귤돼지고기에 대한 구매 의향=247,247,1

(그림50) 감귤돼지고기에 대한 구매 의향에 대한 연령별 반응 특성=247,247,1

(그림51) 감귤돼지고기에 대한 구매 의향에 대한 직업별 반응 특성=247,247,1

(그림52) 가격수준(차이)에 따른 구매의향 동향=247,247,1

감귤박 유통 체계도=283,283,1

유통망을 활용한 감귤박 판매계획=283,283,1

9.3 국내 육가공식품시장의 점유율 현황=310,310,1

심볼마크 & 로고타입=314,314,1

메인케릭터=315,315,1

서브케릭터=316,316,1

스티커=317,317,1

베너=318,318,1

이용현황보기

감귤을 이용한 기능성 돼지고기 생산기술 개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98159 636.413 ㅈ361ㄱ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