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 약 7

제1장 서 론 3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7

제3절 보고서의 구성 40

제2장 관련연구 고찰 및 연구의 틀 42

제1절 선진국의 기술혁신모형 연구 42

1. 세대별 R&D방식.기술혁신모형 이론 42

2. Rothwell의 세대별 기술혁신 모형론 50

3. 기타 주요 기술혁신 모형 49

제2절 기술추격국의 기술학습.혁신 연구 57

1. Kim(1997, 1999)의 연구 57

2. Lee et al.(1988)의 연구 56

3. Lee and Lim(2001)의 연구 63

4. Cho and Lee(2003)의 연구 65

5. 최영락 외(2005)의 연구 68

6. 기술 추격국관련 기존 연구의 한계 69

제3절 새로운 추세의 기술혁신 방식 이론 67

1. 개방형 기술혁신(open innovation) 이론 71

2. 혁신과 지식경영이론 75

3. 새로운 협력방식: 디지털 협력, R&D 아웃소싱, 네트워크 78

4. 인재경영 및 연구인프라 88

제4절 분석의 틀 92

제3장 IT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반도체를 중심으로 96

제1절 IT 산업의 진화와 특징 98

제2절 반도체 산업의 현황 및 특징 103

1. 기술적.산업적 특성 103

2.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적 특성 107

3. 국내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특성 113

제3절 반도체 산업의 세대 구분 및 기술혁신 방식 117

1. 기술혁신 세대 구분 117

2. 지금까지의 기술학습.혁신의 양상과 방식 119

제4절 반도체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126

1. 전환 필요성 126

2. 분석요소 127

3. 기술.시장특성 변화 및 새로운 기술혁신 방식의 주요 내용 129

4. 정부의 역할 140

제5절 소결 142

제4장 BT 산업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144

제1절 BT의 진화 및 특징 146

1. BT의 진화과정 146

2. BT의 체계 147

3. BT의 주요 특징들 148

제2절 BT 산업의 현황 및 특징 151

1. BT 산업의 일반적 특징 152

2. 국내 BT 산업의 외부적 환경요인 155

3. 국내 BT 산업의 능력: 우리의 위치, 약점 및 강점 159

제3절 BT산업의 세대구분 및 기술학습.혁신 방식 165

1. 기술학습.혁신 세대 구분 165

2. 지금까지의 기술학습.혁신 양상 및 방식 167

3. 1990년대 후반~2010년대 후반 세대 171

제4절 BT의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172

1. 차세대 혁신방식 168

2. BT 혁신 양상의 주요 특징들 176

3. 기업전략 및 조직 측면 179

4. 정부의 역할 188

제5절 소결 191

제5장 국내외 기업들의 미래지향적 기술혁신 방식 194

제1절 국내기업 인터뷰조사 분석 194

1. 인터뷰조사 개요 194

2. 주요 결과 198

3. 종합분석 및 시사점 207

제2절 선진국기업 사례 분석 210

1. 기업사례 210

2. 시사점 및 우리의 과제 223

제6장 요약 및 결론 225

제1절 기술혁신 방식: 전반적인 모습 226

제2절 테크노 프로듀서 역할 227

제3절 기업의 기술혁신 방식 변화 방향 228

제4절 정부정책에 대한 시사점 229

참 고 문 헌 231

[부록] 기업의 미래기술혁신 수행방식에 관한 인터뷰 조사 240

SUMMARY 251

CONTENTS 254

표목차

[표 2-1-1] R&D방식의 발전단계 (제1세대~제3세대) 45

[표 2-1-2] 제3세대, 제4세대 R&D방식의 차이 47

[표 2-1-3] 각 세대별 R&D 활동 및 관리방식의 특징 49

[표 2-2-4] 개발도상국의 기술발전 모형 60

[표 2-2-5] 총체적 모형의 각 단계별 특성 62

[표 2-2-3] 기술 추격주체들의 기술 역량 단계 66

[표 2-3-1] 개방형혁신과 폐쇄형혁신의 차이점 74

[표 2-3-2] 분석수준별 혁신과 지식경영에 관한 기존 연구 75

[표 2-3-3] 분석수준별 학습이론과 지식경영에 관한 기존 연구 77

[표 3-1-1] 미래 유망 신기술분야 101

[표 2-2-1] SoC의 특성 106

[표 3-2-2] 통합형 제품구조와 모듈형 제품구조의 비교 107

[표 3-2-3] DRAM 제품군과 SoC 제품군의 혁신체제 비교 113

[표 3-3-1] 한국과 선진국의 DRAM 개발 및 양산 시점의 격차 118

[표 3-3-2] 제품세대별 기술 구성 추이 125

[표 3-4-1] 분석요소 128

[표 3-4-2] 핸드폰 사례 130

[표 3-4-3] 새로운 조직문화의 구성요소(예시) 139

[표 4-1-1] BT의 분야 및 기술목록 148

[표 4-2-1] 주체별 BT분야 R&D활동 비교(미국과 EU) 154

[표 4-2-2] BT산업의 가치사슬변화 157

[표 4-2-3] 우리나라 분야별 주요 혁신 BT기업 161

[표 4-2-4]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 BT 수준 162

[표 4-2-5] 우리나라 지역별 바이오기업 분포현황 164

[표 4-3-1] 국내 신약 허가 현황 169

[표 4-4-1] 시장과 제도에 따른 기업조직 형태 예측 186

[표 5-1-1] 환경변화에 따른 기술개발 상의 고려사항들 196

그림목차

[그림 1-2-1] STEPI 1차년도.2차년도 연구와의 연계성 및 차별성 39

[그림 2-1-1] 제3세대, 제4세대 R&D방식 관리의 차이 47

[그림 2-1-2] 단계별 3세대, 4세대 R&D방식 관리 48

[그림 2-1-3] 제1세대 기술혁신모형 50

[그림 2-1-4] 제2세대 기술혁신모형 50

[그림 2-1-5] 제3세대 기술혁신모형 51

[그림 2-1-6] 제4세대 기술혁신모형 51

[그림 2-1-7] 제3, 4, 5세대 프로세스 52

[그림 2-1-8] 세대별 R&D방식 및 기술혁신모형 53

[그림 2-1-9] 체인링크(Chain-Linked) 모형 54

[그림 2-1-10] 총체적 과정 모형 55

[그림 2-1-11] Henderson and Clark의 혁신 유형 56

[그림 2-2-1] 기술추격 모델 58

[그림 2-2-2] 기술이전의 틀 59

[그림 2-2-3] 통합 모형 59

[그림 2-2-4] 기술추격의 세 가지 패턴 64

[그림 2-2-5] ‘동태적 결합모형’의 개념도 69

[그림 2-2-6] 기술추격과 미래신산업 육성 70

[그림 2-2-1] 선순환 과정 72

[그림 2-2-2] 기업 R&D 관리를 위한 폐쇄형 패러다임 72

[그림 2-3-3] 선순환의 붕괴 72

[그림 2-3-4] 기업 R&D관리를 위한 개방형 패러다임 73

[그림 2-3-5]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R&D 방식의 변화 73

[그림 2-4-1] 분석의 틀과 요소 94

[그림 2-4-2] 기술혁신 방식 변화의 이해 95

[그림 3-1-1] IT 산업의 진화과정 99

[그림 3-1-2] IT 산업의 세대 구분 102

[그림 3-2-1] SoC의 구성 사례 104

[그림 3-2-2] SoC 제품군의 기술기반 105

[그림 3-2-3] DRAM 제품군의 혁신체제 109

[그림 3-2-4] 반도체 산업내 기업활동의 분화 및 핵심능력 111

[그림 3-2-5] SoC 제품군의 혁신체제 112

[그림 3-2-6] 국내 SoC 산업의 혁신체제 116

[그림 3-3-1] DRAM 산업의 세대 구분 117

[그림 3-3-2] DRAM 산업의 세대 구분상의 특징 119

[그림 3-4-1]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기술특성면 129

[그림 3-4-2]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시장특성면 132

[그림 3-4-3]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경쟁환경, 능력, 연계성면 134

[그림 3-4-4]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R&D 기획.관리면 135

[그림 3-4-5] R&D 기획 및 수행: 예시 136

[그림 3-4-6]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개방성면 137

[그림 3-4-7] 기존과 차세대의 기술혁신방식 비교: 조직문화면 139

[그림 4-1] BT 부문의 범위 145

[그림 4-1-1] BT의 진화과정 147

[그림 4-1-2] BT와 IT의 결합: 신약개발의 경우 149

[그림 4-2-1] BT산업의 개념 및 범위 152

[그림 4-2-2] BT분야 기술 및 제품 수명주기 153

[그림 4-2-3] BT산업의 가치사슬(바이오제약 중심) 155

[그림 4-2-4] 바이오시장의 분야별 세계시장 전망 156

[그림 4-2-5] BT 제품화 과정에서 식품안전청의 역할 159

[그림 4-2-6] 미국과 한국의 바이오산업 발전단계 (기업 설립과 신약 승인 기준) 160

[그림 4-3-1] 제약산업의 기술혁신 세대구분 166

[그림 4-3-2] 제 1세대(모방기)의 기술혁신과정 168

[그림 4-3-3] 제 2세대(개량기)의 기술학습.혁신과정 170

[그림 4-3-4] 추격.선도기의 기술혁신 과정 172

[그림 4-4-1] BT 부문의 차세대 혁신모형 174

[그림 4-4-2] 산업조직 관점에서 본 BT 혁신시스템 175

[그림 4-4-3] 산업조직 내의 사회적 그룹들 175

[그림 4-4-4] 바이로메드와 팬제노믹스의 기술혁신과정 181

[그림 4-4-5] 팩티브 정의 개발과정 183

[그림 5-1-1] 기술개발의 발전단계 196

[그림 5-1-2] 미래 기술혁신환경의 특성과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변화방향 208

[그림 5-1-3] 시기별 우리나라 선도기업들의 주요 기술혁신 방식 변화방향 209

[그림 5-2-1] IBM의 기술혁신 발전과정 212

[그림 5-2-2] DuPont의 APEX 프로세스 215

[그림 5-2-3] 3M Accelerlation 217

[그림 5-2-4] Aikzo Novel의 Promising R&D Pipeline 220

[그림 5-2-5] The Drug Discovery Process at NIBR 222

[그림 5-2-6] Degussa의 “The Routes to New Business” 223

이용현황보기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혁신 방식 : 분석 및 전략제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149713 338.926 ㄱ373ㅁ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