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등]

요약문

ABSTRACT

목차

I. 서론 15

II. 연구내용 및 방법 17

1. 자료 및 문헌조사 17

2. 조사대상 신규 유해물질 17

3.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의 시험방법(안) 작성 18

가. 중금속 18

나. 유기오염물질 18

4. 업종별 공정별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의 배출특성 조사 20

가. 표본사업장 현지조사 20

나. 업종별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의 배출특성 조사 22

다.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의 시험방법 최종(안) 제시 22

III. 결과 및 고찰 23

1. 자료 및 문헌조사 23

가. 국내ㆍ외 유해폐기물 규제항목 및 관리기준 조사 24

나. 국내ㆍ외 조사대상 물질의 분석방법 조사 43

2. 조사대상 신규유해물짙 49

3. 지정폐기물 중 신규 중금속류의 시험방법(안) 작성 및 배출특성조사 51

가. 신규 중금속류 시험방법(안) 52

나. 지정폐기물 중 신규 중금속류의 배출특성조사 60

다. 지정폐기물 중 신규 중금속류의 최종(안) 제시 64

4.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기오염물질류의 시험방법(안) 작성 및 배출특성조사 65

가. PBDE 시험방법(안) 제시 65

나. PCT시험방법(안) 제시 74

다. PCDD/DF 시험방법(안) 제시 77

라. HCB 시험방법(안) 제시 81

5.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 권고기준(안) 제시 82

IV. 결론 86

참고문헌 89

부록 93

약어 167

연구사업 참여자 170

표목차

표 II-2-1.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 목록 18

표 II-3-1. 조사대상 물질 19

표 II-4-1. 중금속류 현지조사 표본사업장 20

표 II-4-2. 유기오염물질 표본조사 시료 현황 21

표 II-4-3.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 배출시설 조사목록 22

표 III-1-1. 유럽연합의 환경규제 현황 25

표 III-1-2. RoHS 환경규제관련 국내외 대응 현황 26

표 III-1-3. 각국의 폐기물 분류기준 26

표 III-1-4. 국내 지정폐기물의 종류 27

표 III-1-5. 우리나라 해양오염방지법의 해양투기 슬러지 규제기준('05. 12) 29

표 III-1-6. 특별관리폐기물 개요 30

표 III-1-7. 일본의 특별관리산업폐기물 판정기준 31

표 III-1-8. 매립 제한 유해폐기물의 판단기준 32

표 III-1-9. 유럽연합의 다이옥신 관련 규정 39

표 III-1-10. 유럽연합의 POPs 폐기물 규제기준 40

표 III-1-11. 바젤협약의 POPs 함유 폐기물 규제기준 42

표 III-1-12. 유기오염물질의 국내 연구현황 43

표 III-1-13. 선정 대상 물질의 일반 현황 45

표 III-1-14. 할로겐화 미량오염물질의 복잡한 혼합물 46

표 III-1-15. 할로겐화합물의 GC-MS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기법 47

표 III-1-16. 선진국의 PBDE 분석법 비교 48

표 III-2-1. 우선순위 선정시 고려사항 49

표 III-2-2.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기오염물질 선정 순위 50

표 III-3-1. 연구내용 및 범위 51

표 III-3-2. 물질별 검토 시험방법 52

표 III-3-3. 불소 함량시험방법 53

표 III-3-4. CN 및 Cr(VI)의 함량시험방법 55

표 III-3-5. 중금속류의 함량 및 용출 실험결과 60

표 III-3-6. 선정대상 무기화합물질 규제현황 61

표 III-3-7. 추가조사 대상업소 시료분석결과함량 62

표 III-3-8. 지정폐기물 함유 신규 중금속 시험방법(안) 64

표 III-4-1. 제품재질별 추출용매 66

표 III-4-2. 기기분석조건 69

표 III-4-3. 선택이온질량수 70

표 III-4-4. 기기분석조건 76

표 III-4-5. 폐기물 중 다이옥신 규제기준 80

표 III-5-1. 선정 대상 중금속류의 항목별 권고기준(안) 84

표 III-5-2. 선정대상 유기오염물질류의 권고기준(안) 85

그림목차

그림 III-1-1. 국제 환경협약 및 환경규제 일정 23

그림 III-1-2. 유럽의 환경정책 개요 24

그림 III-3-1. F 인증표준물질 분석결과 54

그림 III-3-2. CN 및 Cr(VI) 인증표준물질 분석결과 56

그림 III-3-3. EPA 3050B 산분해 방법 57

그림 III-3-4. 액상폐기물 중 함량 시험방법 58

그림 III-3-5. 액상폐기물의 함량 시험분석 결과 59

그림 III-4-1. PBDE 분석방법 흐름도 65

그림 III-4-2. PBDE 추출용매별 회수율 67

그림 III-4-3. 플로리실 컬럼의 용출효율 68

그림 III-4-4. GC/MS 표준물질 크로마토그램 70

그림 III-4-5. PBDE 인증표준물질 분석결과 71

그림 III-4-6. 제품폐기물 중 PBDE 분석 흐름도 72

그림 III-4-7. ABS 제품폐기물 분석 크로마토그램 73

그림 III-4-8. m-PCT의 구조 74

그림 III-4-9. PCT 분석 흐름도 75

그림 III-4-10. PCT 표준물질 크로마토그램 76

그림 III-4-11. PCT 분석시료 크로마토그램 77

그림 III-4-12. 폐기물 시료 중 다이옥신 분석흐름도 78

그림 III-4-13. 폐기물 인증표준물질 분석결과 79

그림 III-4-14. 폐기물 중 HCB 분석 흐름도 81

이용현황보기

지정폐기물 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121216 628.54 ㄱ427ㅈ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121217 628.54 ㄱ427ㅈ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