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서문
목차
요약 19
제1장 연구의 목적과 방법 35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35
제2절 국내의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38
제3절 RIS 3개년 계획과 현 연구의 위치 41
제4절 1차년도의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44
1. 연구내용 44
2. 연구방법 45
제2장 지역혁신체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55
제1절 지역혁신체제론의 탄생과 전개: 국가혁신체제로부터의 독립 55
제2절 지역혁신체제의 이론적 뿌리 59
1. 국가혁신체제와 부문혁신체제 60
2. 지역혁신체제와 여타 지역과학과의 관계 64
제3절 지역혁신체제의 개념 및 특징: 폐쇄적, 자기 완결적 시스템 72
1. 지역혁신체제의 개념 72
2. 지역혁신체제의 작동원리: 네트워크 외부성 75
제4절 지역혁신체제론의 성과와 이론적 한계 78
제3장 분석의 틀 및 핵심요소 81
제1절 혁신의 공간적 다중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 81
제2절 다중적 혁신공간구조의 통합 노력 83
제3절 분석의 틀과 주요 분석의 내용 85
1. 개방형 지역혁신체제의 틀 86
2. 주요 분석의 내용 88
제4장 주요 혁신주체의 집적패턴의 시계열적 변화 및 상관관계 분석 92
제1절 분석의 개요 및 기법 92
1. 분석개요 92
2. 분석기법 93
제2절 제조업체의 집적패턴 96
1. 제조업체의 분포와 산업단지 96
2. 집적패턴의 변화 99
3. 소결 102
제3절 기업연구소의 집적패턴 102
1. 지역별 분포 현황 102
2. 집적패턴의 변화 106
3. 소결 107
제4절 벤처기업의 집적패턴 109
1. 지역별 분포 현황 109
2. 집적패턴의 변화 112
3. 소결 115
제5절 대학 및 정부출연·공공 연구기관의 집적패턴 116
1. 지역별 분포 현황 116
2. 집적패턴 118
3. 소결 120
제6절 혁신주체의 집적패턴 간의 관계분석 122
1. 혁신주체의 집적패턴 변화의 비교분석 122
2. 혁신주체의 집적패턴 간의 상관관계 123
제5장 동아시아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전개와 혁신클러스터 131
제1절 문제제기와 분석개요 131
1. 문제제기 131
2. 분석개요 132
제2절 글로벌 생산네트워크(GPN)와 혁신클러스터 134
1.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등장과 특징 134
2.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클러스터의 결합 135
3.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전개와 지역적 대응 138
제3절 자동차산업의 GPN 142
1. 세계 자동차 생산네트워크의 전개와 지리적 통합 142
2. 자동차부품 산업의 동아시아 교역구조 145
3. 동아시아 주요국별 자동차 생산네트워크의 특징 149
4. 현대자동차의 GPN 155
제4절 전자산업의 GPN 160
1. 전자산업 생산네트워크의 전개와 지리적 확장 160
2. 전자부품 산업의 동아시아 교역구조 164
3. 동아시아 전자산업 GPN의 국별 차이점 168
4.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해외진출과 LG 전자의 GPN 사례 170
제5절 통신 및 통신기기 산업의 GPN 173
1. 통신산업의 가치사슬의 변화와 국제생산 네트워크의 출현 173
2. 통신기기 및 부품 산업의 동아시아 교역구조 175
3. 통신산업의 세계화와 거대 기업들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전략 179
4. 삼성전자의 GPN과 휴대폰 사례 180
제6절 동아시아 GPN의 전개와 한국형 지역혁신체제 전략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186
1. 동아시아 GPN 전개의 특징 186
2. GPN의 변화에 따른 동아시아 클러스터의 대응 192
3. 한국형 지역혁신체제 전략에 대한 시사점 202
제6장 국가 R&D 시스템의 지역화와 지역 간 지식네트워크의 발전 206
제1절 개요 206
1. 문제제기 206
2. 분석개요 207
제2절 국가혁신체제와 지역혁신체제 208
1. 국가혁신체제와 지역혁신체제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208
2. 우리나라에서의 국가혁신체제와 지역혁신체제 논의의 관계 211
제3절 중앙정부 주도의 연구개발정책과 지역별 R&D 투자패턴의 변화 215
1. 우리나라 혁신체제의 전개와 공공부문 연구개발의 특징 0
2. 중앙정부 연구개발 투자의 지역별 분포의 변화 219
3. 지방과학기술 관련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투자실적과 분야, 국비 지방비 비율 225
제4절 지역별 국내외 지역 간 지식의 연계패턴 233
1. 국내 지역 간 연계의 변화 233
2. 국내 지역별 해외 지역과의 연계 236
제5절 주체별 지역 간 지식연계의 변화 242
1. 민간연구소 242
2. 4년제 대학 246
3. 정부출연연구소 249
제6절 지역 간 지식네트워크의 발전과 지역혁신체제 253
제7장 주요 산업클러스터의 연계 네트워크 및 혁신성과의 비교 257
제1절 지역혁신체제의 분석단위의 도출 257
1. 지역혁신의 분석단위 혹은 규모에 대한 논의와 방법론 257
2. 클러스터 도출 결과 265
제2절 혁신클러스터 네트워크 구조의 비교분석 269
1. 분석개요 및 방법 269
2. 정보통신 클러스터 273
3. 자동차 클러스터 279
4. 소결 285
제3절 혁신활동의 특징 및 성과 비교 286
1. 분석의 개요 286
2. 산업간·지역간 비교 288
3. 정보통신 클러스터의 지역 간 비교 290
4. 자동차 클러스터의 지역 간 비교 292
5. 통계검증 293
6. 소결 298
제8장 한국형 지역혁신체제의 공간적 틀 300
제1절 참여정부의 지역혁신체제 정책 300
제2절 우리나라 지역혁신체제의 현재적 조건 302
1. 지역혁신 주체의 집적패턴의 분석 결과 302
2. 혁신의 공간적 다중성 분석의 결과 304
제3절 한국형 지역혁신체제의 공간적 틀과 다층적 가버넌스 전략 310
1. 한국형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다층적 가버넌스의 구조 310
2. 글로벌 차원의 가버넌스 전략 313
3. 국가 차원의 가버넌스 전략 315
4. 지역 차원의 가버넌스 전략 318
제4절 결론 : 향후 과제 321
[참고문헌] 324
[부록 1]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른 대만과 싱가포르의 대응 337
[부록 2] 세 가지 글로벌 가버넌스 전략 353
[SUMMARY] 358
[그림 1-1] 3개년 연구계획의 틀 43
[그림 1-2] 연구의 틀 44
[그림 1-3] 샤워효과를 표현하는 네트워크 그림 예 48
[그림 2-1] 지역혁신 관련 주요 이론의 계통 56
[그림 2-2] 지역혁신체제와 클러스터의 관계 73
[그림 2-3] 지역혁신체제 개념에서 제도와 조직간 관계 73
[그림 3-1] UNIDO의 클러스터 기반의 산업발전전략 84
[그림 3-2] 글로벌, 국가, 지역의 통합에 기초한 OECD의 클러스터 모델 85
[그림 3-3] 지역혁신체제 분석틀 87
[그림 3-4] 공간차원별 분석의 초점 90
[그림 4-1] 제조업체 Moran's I 지수의 변화경향 99
[그림 4-2] 제조업체의 지역별 분포 현황(1999, 2001, 2003) 100
[그림 4-3] 제조업체의 Hot Spot 분석결과(2003) 101
[그림 4-4] 기업부설연구소의 지역별 분포 현황 106
[그림 4-5] 기업부설연구소 Moran's I 지수의 변화 107
[그림 4-6] 기업부설연구소의 Hot Spot 분석결과(2004) 108
[그림 4-7] 연도별 지역별 벤처기업 현황 109
[그림 4-8] 벤처기업의 지역별 분포 113
[그림 4-9] 벤처기업 Moran's I 지수의 변화경향 114
[그림 4-10] 벤처기업의 Hot Spot 분석결과(2005) 115
[그림 4-11] 연도별 대학 수의 변화 116
[그림 4-12] 공공 R&D 기관지표의 지역별 분포 현황 119
[그림 4-13] 대학, 정부출연 및 공공연구기관의 Hot Spot 분석결과(2004) 121
[그림 4-14] 4가지 혁신주체의 Moran's I 지수 변화 경향 122
[그림 4-15] 제조업체와 벤처기업의 산포도(2001) 124
[그림 4-16] 제조업체와 벤처기업의 산포도(2003) 124
[그림 4-17] 제조업체와 연구소의 산포도(2001) 125
[그림 4-18] 제조업체와 벤처기업의 산포도(2003) 125
[그림 4-19] 제조업체와 공공 R&D기관의 산포도 126
[그림 4-20] 벤처기업과 연구소의 산포도(2001) 127
[그림 4-21] 벤처기업과 연구소의 산포도(2003) 127
[그림 4-22] 기업부설연구소와 공공 R&D기관의 산포도 128
[그림 4-23] 벤처기업(2003)과 공공 R&D기관의 산포도 129
[그림 4-24] 벤처기업(2005)과 공공 R&D기관의 산포도 129
[그림 5-1] 복합 클러스터 모형 136
[그림 5-2] GPN과 클러스터 관계 개념도 139
[그림 5-3] GPN에서의 지식이전 메커니즘 141
[그림 5-4] 자동차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1995년, 수입기준) 147
[그림 5-5] 자동차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0년, 수입기준) 147
[그림 5-6] 자동차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3년, 수입기준) 148
[그림 5-7] 덴소의 아세안 GPN 150
[그림 5-8] 현대자동차의 국내외투자 현황 158
[그림 5-9] 전자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1995년, 수입기준) 166
[그림 5-10] 전자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0년, 수입기준) 167
[그림 5-11] 전자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3년, 수입기준) 167
[그림 5-12] LG전자의 국내외투자 현황 172
[그림 5-13] 세계 통신,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 175
[그림 5-14] 통신기기 및 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1995년, 수입기준) 178
[그림 5-15] 통신기기 및 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0년, 수입기준) 178
[그림 5-16] 통신기기 및 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3년, 수입기준) 179
[그림 5-17] 삼성전자의 국내외투자 현황 182
[그림 5-18] 주요 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1995, 수입기준) 189
[그림 5-19] 주요 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0, 수입기준) 189
[그림 5-20] 주요 부품의 동아시아 교역구조(2003, 수입기준) 190
[그림 6-1] 민간연구소, 대학, 정부출연연구소의 지역 간 네트워크(1994년) 235
[그림 6-2] 민간연구소, 대학, 정부출연연구소의 지역 간 네트워크(2004년) 236
[그림 6-3] 민간연구소의 지역 간 네트워크(1994년 기준) 245
[그림 6-4] 민간연구소의 지역 간 네트워크(2004년 기준) 245
[그림 6-5] 4년제 대학의 지역 간 지식네트워크(1994년 기준) 248
[그림 6-6] 4년제 대학의 지역 간 지식네트워크(2004년 기준) 249
[그림 6-7] 정부출연연구소의 지역 간 지식네트워크(1994년 기준) 252
[그림 6-8] 정부출연연구소의 지역 간 지식네트워크(2004년 기준) 252
[그림 7-1] 자동차 및 부품 제조업 사업체수 LQ Moran 산점도의 공간 분포 266
[그림 7-2] 정보통신 제조업 사업체수 LQ Moran 산점도의 공간 분포 268
[그림 7-3] 정보통신 제조업 사업체수의 공간 분포 268
[그림 7-4] 정보통신 제조업 사업체수 LQ값의 공간 분포 269
[그림 7-5] 경기권 정보통신클러스터의 전체 네트워크 274
[그림 7-6] 경기권 정보통신 클러스터의 핵심 네트워크 274
[그림 7-7] 구미권 정보통신 클러스터의 전체 네트워크 277
[그림 7-8] 구미권 정보통신 클러스터의 핵심 네트워크 278
[그림 7-9] 인천.부천권 자동차 클러스터의 전체 네트워크 280
[그림 7-10] 인천·부천권 자동차 클러스터의 핵심 네트워크 281
[그림 7-11] 울산권 자동차 클러스터의 전체 네트워크 283
[그림 7-12] 울산권 자동차 클러스터의 핵심 네트워크 283
[그림 8-1] 발전국가 시기의 생산영역과 유통영역의 접합조건 311
[그림 8-2] 개방경제체제 시기의 생산영역과 유통영역의 접합조건 312
[부록그림 1] 신주과학산업단지의 위치 338
[부록그림 2] 싱가포르 성장삼각지대 348
[부록그림 3] 싱가포르 성장삼각지대의 상호보완성 350
[부록그림 4] 개성경제특구 편입 전: 국내기업의 구조조정 차원 355
[부록그림 5] 개성경제특구 편입 후: 동북아 국제 분업체제 확대·강화 35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149664 | 338.951 ㅇ852ㅎ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